• 제목/요약/키워드: Final height

검색결과 375건 처리시간 0.031초

Comparative Effects of Sodium Gluconate, Mannan Oligosaccharide and Potassium Diformate on Growth Performances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of Nursery Pigs

  • Poeikhampha, T.;Bunchasak, 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6호
    • /
    • pp.844-850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odium Gluconate (SG), Mannan Oligosaccharide (MOS) and Potassium Diformate (PDF) on growth performance and small intestinal morphology in nursery piglets. One hundred forty four female piglets ($11.69{\pm}0.71\;kg$)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s with six replicates of six pigs each. The pigs received a control diet or diets supplemented with SG, MOS and PDF at 2,500, 3,000 and 8,000 ppm; respectively, for 6 weeks. Supplementation of SG, MOS or PDF increased final body weight, average daily gain and tended to improve feed to gain ratio (p = 0.02, 0.04 and 0.16; respectively), other than average daily feed intake, intestinal pH and the bacterial populations were not influenced by the dietary treatments. SG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mmonia concentration in the caecum (p<0.05) and supplementation of SG, MOS or PDF tended to increase lactic acid and total short chain fatty acid concentration in the caecum (p = 0.08, 0.09; respectively), in addition SG, MOS or PDF slightly increased butyric acid concentration in the caecum (p = 0.14). SG highly significant increased the villous height in jejunum (p<0.01) and supplementing SG, MOS or PDF significantly increased crypt depth in jejunum (p<0.05), moreover, PDF significantly increased villous height and crypt depth ratio in jejunum (p<0.05) compared with control. The dietary treatments did not influence villous height and crypt depth in duodenum and villous height in jejunum (p>0.05). It can be concluded that supplementing SG, MOS or PDF as a feed additive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the growth performance, the intestinal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 intestinal short-chain fatty acid concentration and the intestinal morphology of pigs.

실안개와 상대적 높이 단서 기반의 깊이 지도를 이용한 2D/3D 변환 기법 (2D/3D conversion method using depth map based on haze and relative height cue)

  • 한성호;김요섭;이종용;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351-356
    • /
    • 2012
  • 본 논문은 단일영상의 실안개 정보와 상대적 높이 단서를 기반으로 깊이 지도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2D/3D 변환을 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실안개 정보만을 깊이 지도로써 이용하는 경우, 안개가 없는 영상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 높이 단서 기반의 깊이 지도를 생성하고, 실안개 정보와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Mean Shift Segmentation을 이용한 gray scale 영상과 실안개 정보의 깊이 지도를 결합하여 객체의 경계를 선명화함으로써 3D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입력영상과 최종 깊이 지도를 DIBR(Depth Image Based Rendering)을 통해 좌영상과 우영상의 시점영상을 생성하고, 적청영상의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3D 영상을 생성하였고, 깊이 지도간의 PSNR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만추 방목기간의 연장이 이듬해 봄 목초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on Grass Growth in Following Spring)

  • 조익환;이주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1-168
    • /
    • 2000
  •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on grass growth in following spring, in order to improve the rate of self-sufficiency for roughage feed. Plant height, total biomass and litter production of herbage were increased when the grazing was finished early in late autumn. The proportions of clover and litter, and amounts of animal intake were decreased, with extended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But when the grazing was finished late in autumn,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 of herbage were increased, contents of acid detergent fiber (ADF, %), neutral detergent fiber (NDF, %) and crude ash (%) were decreased in pasture after grazing, therefore the content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 and relative feed value (RFV) of herbage were improved. The early end grazing showed that plant height, total biomass and litter production of herbage in following spring were higher than those in late end grazing. However, increased yield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nd grazing treatments (0.12-0.15 tonha), except for the final end grazing in late autumn (0.01 tonha). With extended grazing duration in late autumn, the contents of CP of herbage in following spring were increased, contents of ADF, were decreased, and RFV were improved. (Key words : Extension of grazing duration, Plant height, Biomass, Amount of intake, Increased yield, Crude protein, TDN) rll\ulcorner c# qiil x i 9 ~ 1 a% * (College of Natural Resources, Taegu Univ., Kyongsan, 71 2-714, Korea) * $4 4 qiil 34 qq(Co1lege of Liberal Arts & Sciences, Yonsei Univ., Wonju, 220-701, Korea) '* 8 * jL@%ft@ &@%(Faculty of Agriculture, Hokkaido Univ., Sapporo, 060 Japan)

  • PDF

The Cyclosporine-A Treatment does not have Harmful Effect on the Linear Growth of Pediatric Patients with Steroid-dependent and Steroid-resistant Nephrotic Syndrome

  • Lee, Sang Soo;Kim, Ji Hoon;Kim, Chung Ho;Cho, Byoung-Soo;Kim, Deog Yoon;Hong, Il Ki;Suh, Jin-Soo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0권2호
    • /
    • pp.45-4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yclosporine-A (CsA) on linear growth in pediatric patients with steroid-dependent (SDNS) or resistant nephrotic syndrome (SRNS). Methods: Thirty-five pediatric patients with SDNS or SRNS undergoing glucocorticoid (GC) and/or CsA treatmen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Sevente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GC alone and 18 were treated with GC and CsA. The cumulative doses of GC and CsA were quantified (mg/kg/day). Linear growth during the follow-up period was defined as the difference in Z-score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height according to the follow-up period (${\Delta}$ height Z score/year). The associations between linear growth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analyzed. Results: The linear growth of patients i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262). The ${\Delta}$ height Z score/year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umulative doses of CsA,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umulative dose of GC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Z score for height at the time of diagnosis. Conclusion: In children with SDNS or SRNS undergoing GC therapy, added CsA treatment may not have harmful effects on linear growth.

Cervical Stand-Alone Polyetheretherketone Cage versus Zero-Profile Anchored Spacer in Single-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 Minimum 2-Year Assessment of Radiographic and Clinical Outcome

  • Cho, Hyun-Jun;Hur, Junseok W.;Lee, Jang-Bo;Han, Jin-Sol;Cho, Tai-Hyoung;Park, Jung-Yu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8권2호
    • /
    • pp.119-124
    • /
    • 2015
  • Objective : We compared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stand-alone polyetheretherketone (PEEK) cage and Zero-Profile anchored spacer (Zero-P) for single 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ACDF).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121 patients who underwent single level ACDF within 2 years (Jan 2011-Jan 2013) in a single institute. Total 50 patient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who were evaluated more than 2-year follow-up. Twenty-nine patients were allocated to the cage group (m : f=19 : 10) and 21 for Zero-P group (m : f=12 : 9). Clinical (neck disability index, visual analogue scale arm and neck) and radiographic (Cobb angle-segmental and global cervical, disc height, vertebral height) assessments were followed at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post-3, 6, 12, and 24 month periods. Results : Demographic features and the clinical outcom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change between final follow-up (24 months) and immediate post-op of Cobb-segmental angle (p=0.027), disc height (p=0.002), vertebral body height (p=0.033) showed statistically better outcome for the Zero-P group than the cage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Zero-Profile anchored spacer has some advantage after cage for maintaining segmental lordosis and lowering subsidence rate after single level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4년생(年生) 우리나라 사시나무 클론의 수고유전력(樹高遺傳力) 및 개량효과(改良效果) (Heritability and Genetic Gain of Height in Populus davidiana in 4-year-old Clonal Test)

  • 노의래;이성규;구영본;변광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39-245
    • /
    • 1994
  • 전국 4개소에 식재된 사시나무 25개 클론중 18개 클론의 평균치에 대하여 광의(廣義)의 수고유전력(樹高遺傳力)(반복력(反復力))을 구한 결과 $H^2_{CM}=0.883$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에 따라 18클론중에서 최우수 l클론(5%), 즉 백담 15호를 선발하는 경우 35.3%의 개량효과(1.02m의 실질적 수고개량)가 있으며, 최우수클론 2클론, 즉 백담(百潭) 15호(號)와 선녀(仙女) 4호(號)를 선발(選拔)하면(10%) 25.6%의 개량효과 (0.74m의 실질적 수고개량)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종 선발수령(選拔樹齡)에 가면 수고유전력(樹高遺傳力)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되며, 따라서 더욱 높은 개량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산소발생 폐쇄식 SCBA의 서비스 수명 예측 프로그램 -예비연구- (Program for Estimating Service Time for Oxygen Generating Closed-Circuit SCBA -Pilot Study-)

  • 한돈희;김동천;강민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0-130
    • /
    • 2007
  • A oxygen generating closed-circuit SCBA for escape from fire will be newly developed and then a program for estimating service time for it should be required. A SCBA made on an experimental basis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such as half facepiece (mask), $KO_2$ box, oxygen reservoir, $CO_2$ remover and hood. The half mask had a good fitting performance since fit factors for 10 subjects were all above 100. It was found that height of subjects should be the best variable to estimate service time. Measured service tim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height of subjects. Service life time could be estimated by interpolation and extrapolation using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height and measured service time, for example, 28 minutes for male and female of 170 cm during resting, 10 minutes at the walk of 4 km/h and 5 minutes at the walk of 6 km/h considering safety margin of 20%. The study implies that program for estimating service time for the SCBA should require subject's height, speed of walk (4 km/h and 6 km/h) and fit testing. Considering safety margin, selecting younger subjects would be better. The study on the number of subjects and selecting facial dimensions should be more needed for the final program.

하악전돌증 환자의 수술후 안모길이 및 폭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st-operative changes in facial height and width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김은주;문철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7-375
    • /
    • 2000
  • 하악전돌증(mandibular prognathism or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 환자의 경우 전후방과 수직적 악골(maxilla)의 부조화정도가 심하거나 안면측모(facial profile)에 대한 심미적 인식도가 클 때에는 교정치료만으로는 심미적으로 만족한 결과를 얻기가 어려우므로 악교정수술(orthognathc surgery)과 병행되어야만 한다. 이럴 경우 심미적인 개선은 환자의 치료결과에 대한 만족도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지만 미에 대한 기준을 객관화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어 그 평가도 환자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에 의하여 내려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얼굴심미에 대한 기준이 서구인의 외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전통적인 둥그런 얼굴보다는 달걀형의 갸름한 얼굴모양을 선호한다. 이 연구는 하악전돌증으로 인한 악교정수술결과 술후 얼굴폭이 넓어져 수술전보다 얼굴의 모양이 둥그렇게 되었다고 호소하는 환자가 있어 시도하게 되었다. 악교정수술전후의 안모길이 및 폭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악교정수술을 받은 총 14명 환자(남자 8명, 여자 6명)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skull PA analysis)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술후의 안모변화 및 환자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4명의 환자중 3명($21.4\%$)이 얼굴이 넓어졌다고 답하였다. 2. 악교정수술(orthognathic surgery)후 하악골폭경 (mandibular width)은 A군은 변화가 없었으며, B군은 0.7mm 감소하였고, 안면폭경 (zygomatic width)은 A군에서는 0.45mm, B군에서는 0.66mm의 증가를 보였다. 3. 악교정수술후 얼굴길이의 변화는 A군에서는 상안면 고경(upper facial height)이 0.52mm증가, 하안면고경(lower facial height)이 1.19mm감소, 하악골 고경(mandibular height)이 0.7mm감소하였으며, B군에서는 상안면 고경이 0.67mm 감소, 하안면고경이 3.66mm 감소, 하악골 고경이 5mn감소하였다. 4. 수술후 안면폭경에 대한 안면고경(facial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서 $1.5\%$, B군에서 ,$3.6\%$ 감소하였다. 5. 수술후 안면폭경에 대한 하악골 길이(mandibular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선 $1.3\%$, B군에서 $4.4\%$ 감소하였다. 6. 수술후 하악골폭경에 대한 하악골 길이(mandibular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서 $1.3\%$, B군에서 $4.3\%$ 감소하였다. 7. 수술로 인한 얼굴폭의 변화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판단되나 수술후 얼굴의 길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얼굴의 폭이 넓어보일 수 있으므로 수술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환자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 PDF

조기 사춘기 여아에서 단기간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와 성장호르몬 병합투여의 성장촉진 효과 (Growth promoting effect of short-term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gonist with or without growth hormone in girls with early puberty)

  • 이은주;한헌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2호
    • /
    • pp.198-204
    • /
    • 2007
  • 목 적: 성조숙증에서 관찰된 최근의 연구 결과를 보면 사춘기 발육이 빠른 당시에는 신장이 커보일 수 있으나 결국 최종성인신장은 감소하게 된다. 이에 사춘기를 중단시킴으로써 최종 성인신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를 사용하여 골성숙의 기간을 연장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기 사춘기로 인하여 최종성인신장의 예후가 불량한 소아에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및 성장호르몬의 병합요법 효과를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약제 단독 사용 시의 효과와 비교하여 각각의 성장 촉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역연령에 비하여 골연령이 증가되어 있으며 조기 사춘기를 보이는 여아를 대상으로 GnRHa 및 성장호르몬을 단기간 투여하였다. 제 1군은 triptorelin을 단독으로 4주에 한 번씩 근육주사하였고, 제 2군은 성장호르몬을 병합하여 치료하였다. 치료 기간은 약 1년이었으며 치료 시작시와 치료 후의 두 군간의 역연령, 골연령, 역연령과 골연령의 차이, 예측성인신장, 표적키, 표적키와 예측성인신장과의 차이, 혈청 IGF-1 및 IGFBP-3치를 비교하였다. 결 과: 치료 시작시 두 군 간의 골연령, 표적키, 예측성인신장, 예측성인신장과 표적키의 차이는 없었으나 골연령과 역연령의 차이 및 역연령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청 IGF-1 및 IGFBP-3값의 차이는 없었고 평균 치료기간은 $1.06{\pm}0.93$년이었다. 치료 후의 골연령과 역연령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두 군간에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치료 후의 예측성인신장은 치료전과 비교했을 때 모두 증가하여 단기간의 치료에도 효과가 있었으며 두 군 모두 의미 있는 값을 가지나 특히 성장호르몬을 같이 사용한 2군에서 더욱 큰 차이를 보여 병합요법의 성장촉진효과를 알 수 있었다. 표적키와 예측성인신장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치료전보다 의미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두 군을 비교했을때 역시 2군에서 더욱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혈청 IGF-1과 IGFBP-3는 GnRHa 사용 후에 성장호르몬-IGF 축이 억제되어 1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성장호르몬을 병합한 2군에서는 모두 증가하였고 이때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결 론: 조기 사춘기로 인하여 역연령에 비해 골연령이 증가함으로써 성인신장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경우에는 단기간의 GnRHa의 사용으로 사춘기의 빠른 진행을 억제하고 골성숙의 기간을 연장시킴으로써 예측성인신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성장호르몬 병합요법으로 예측성인신장이 표적키에 도달하는데 있어 GnRHa 만으로 성장호르몬-IGF 축이 억제된 경우보다 성장촉진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는 단기간 사용 시의 치료효과이므로 최종성인신장의 비교를 위해서는 향후 장기적인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홍로'/M.9 사과나무의 세장방추형에서 수고가 투광율, 투약율, 수체 생육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e Height on Light Transmission, Spray Penetration, Tree Growth, and Fruit Quality in the Slender-spindle System of 'Hongro'/M9 Apple Trees)

  • 최동근;송주희;강인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54-462
    • /
    • 2014
  • '홍로'/M.9 사과나무 세장방추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수고에 따른 투광율, 투약율, 수체생육, 과실 품질, 그리고 노동 생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고가 높을수록 수관내부, 특히 낮은 수관위치에서의 투광률은 감소하였다. 엽면적지수(LAI)는 수고가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나 엽면적지수의 증가는 수관 내부 농약 살포 효과를 감소시켰다. 신초 생장은 수고가 높을 때 가늘고 길게 자라는 경향이었고, 과실의 착색도는 수고가 높을 때 감소하였으나, 과실 경도와 산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수고가 높을 때 주당 착과수는 증가하였으나, 305g 이상의 대과 생산량은 감소하였다. 수고가 높아질수록 적화, 적과, 전정, 수확 등에 필요한 노동력은 증가하였으나, 높은 수고에서의 노동력 증가는 고소작업차를 투입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4.5m 수고에서 적화 작업의 경우 사다리보다 전동고소작업차를 이용했을 때 작업시간은 14.6분/주가 절약되었다. 투광율 향상과 과실착색도 증진을 위하여 수관내부의 광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