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lament shap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고감성 의류용 Nylon/PP 온감 니트 소재의 물성 (The Physical Property of Nylon/PP Warm-up Knitted Fabric for High Emotional Garment)

  • 김현아;장홍원;허경;김승진;권상준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2-31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rm up yarns and their knitted fabrics including the dye affinity and color fastness to washing of these knitted fabrics according to the various dyeing times and temperatures on dyeing proces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enacity of Nylon/PP warm-up yarn was 4g/d and breaking strain was 4.5%. The wet and dry thermal shrinkages were higher than those of PET warm-up yarn. The maximum heat flow rate(Qmax) of Nylon/PP warm-up knitted fabric was lower than that of PET warm-up knitted fabric and heat keeping rate(a) of Nylon/PP warm-up knitted fabric was higher as 47% than that of PET warm-up knitted fabric. It was shown that the shape retention and wearing comfort of Nylon/PP warm-up knitted fabric were better than those of PET warm-up knitted fabric. The dye-affinity(K/S) of Nylon/PP warm-up knitted fabric showed maximum value at the dyeing condition of 40minute or 50minute dyeing time with $80^{\circ}C$ dyeing temperature, but PET warm-up knitted fabric showed maximum value at the 30minute or 40minute with $110^{\circ}C$ dyeing temperature. Finally, the color fastness to washing of Nylon/PP warm-up knitted fabric showed good value as between 4 and 5 grade.

소라, Batillus cornutus 아가미의 미세구조 (Gill Ultrastructure of the Spiny Top Shell, Batillus cornutus (Gastropoda: Turbinidae))

  • 정귀권;박정준;주선미;전미애;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9-76
    • /
    • 2011
  • 광학 및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소라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기재하였다. 소라의 아가미는 bipectinate형이다. 새엽 상피층은 단층으로 상피세포, 섬모세포, mitochondria-rich cell 그리고 분비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상피세포들은 원주형이며, 자유면에는 미세융모들이 발달되어 있었고 인접한 세포들과는 상부측면에 세포연접들로 연결되어 있었다. 섬모세포들은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들을 가지며, 세포질에는 잘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무리지어 존재하고 섬모의 기저 뿌리 끝이 연결되어 있었다. Mitochondria-rich cell은 기저부에 원형의 핵을 가지며, 세포질의 대부분은 발달된 미토콘드리아들이 차지하고 있었다. AB-PAS와 AF-AB 반응 결과, 분비 세포들은 주로 산성점액을 함유하고 있었다. 분비세포는 단세포선으로 세포의 형태와 분비과립의 미세구조적 특징에 따라 4 종류 (A, B, C, D)로 구분할 수 있었다.

FUV Spectral Images of the Vela Supernova Remnant: Comparisons with X-ray and $H{\alpha}$ images

  • 김일중;선광일;민경욱;한원용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99.2-99.2
    • /
    • 2012
  • We updated the far-ultraviolet (FUV) spectral images of the entire Vela supernova remnant (SNR) using newly processed FIMS/SPEAR data.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 the newly produced FUV images with the X-ray and $H{\alpha}$ images, and examine how the Vela SNR evolves and interacts with the ambient medium on a global scale. The comparison with X-ray images has revealed a FUV filamentary feature corresponding with the boundary of the northeast-southwest asymmetry of the X-ray shell. The relatively low O IV] ${\lambda}1404$ to O III] ${\lambda}{\lambda}1661$, 1666 ratio estimated on the FUV filament is compatible with the previous proposal that the observed asymmetry of the Vela SNR could be due to the ${\gamma}2$ Velorum stellar wind bubble (SWB). The southwest FUV features surrounding a faint extended X-ray region are characterized as the region where the Vela SNR is interacting slightly stronger with ambient mediums within the dim X-ray southwest section. From a comparison with the $H{\alpha}$ image, we identify a ring-like $H{\alpha}$ feature overlapped with an extended hot X-ray feature of similar size and two local peaks of C IV ${\lambda}{\lambda}1548$, 1551 emission. Their morphologies are consistent with the expected shape when the $H{\alpha}$ ring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near or far side of the Vela SNR. We suggest that the B3V-type star HD 76161 found at the center of the $H{\alpha}$ ring would be the exciting source of the H II region.

  • PDF

금속 보스 압력분포비 설계 변경에 따른 복합재 연소관 파열압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rst Pressure of Composite Motor Case due to the Change of Metal Boss PDR Design)

  • 김남조;정승민;윤경수;정상기;황태경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1-27
    • /
    • 2019
  • 연소가스에 의한 내압 조건에서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되는 복합재 연소관은 돔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압력분포비(PDR) 변화에 따른 복합재 돔의 파열압력을 비교하기 위해 유한 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돔 내/외면 응력, 금속 보스 체적을 산출함으로써, 정량적으로 복합재 연소관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PDR 2.5-3.0에서 파손 모드의 임계점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PDR 2.5-3.5 설계는 연소관 파열압력의 변동 없이 금속 보스 무게 감량이 가능하며, 돔 형상 및 오프닝 크기에 대해 설계 기준값이 변경되므로 해석 및 시험을 통한 규명이 필요하다.

폴리에틸렌 기반 자기강화복합재료의 성형성 및 기계적 특성에 따른 최적 제직형상 수치해석적 연구 (Study of Optimal Weaving Shape according to Form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ethylene-based Self-reinforced Composite)

  • 유성훈;이필규;이종혁;김늘새롬;심지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8-67
    • /
    • 2022
  • In this study, self-reinforced composite(SRC) was prepared using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fabric(2×2 plain) and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The optimal conditions were derived by manufacturing specimen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100 ~ 140℃ using a hot stamping at a pressure of 100bar for 10 minutes in order to fin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SRC. The manufactured SRC was analyzed for tensile properties, compressive strength and shear strength through a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P3 specimen prepared by hot stamping at a temperature of 130℃ and a pressure of 100bar for 10 minutes was found to be higher than other specimens with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modulus of 210MPa and 19GPa, compressive strength 69MPa and shear strength 13MPa and it was considered to be optimal condition. Finally,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fabric structure was modeled using experimental value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material according to the fabric structure were predicted using GeoDict and Digimat.

세균성(細菌性) 아가미병(病)에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된 무지개송어에 있어서 Flavobacterium branchiophila에 대한 전자현미경학적(電子顯微鏡學的) 연구(硏究)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Flavobacterium branchiophila in experimentally induced gill disease of rainbow trout)

  • 허강준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81-387
    • /
    • 1992
  • 건강한 무지개송어의 치어와 실험적으로 세균성 아가미병을 감염시킨 무지개송어의 치어에 있어서 아가미 조직과 그 병원균인 Flavobacterium branchiophila에 대하여 주사형 전자현미경(SEM)과 투과형 전자현미경(TEM)으로 관찰하였다. F branchiophila는 길이 $5{\sim}8{\mu}m$, 폭 약$0.5{\mu}m$의, 2~3균체가 서로 연결된 길고 가는 장간균으로서 균체의 주위에는 다수의 선모(pili)를 갖고있었다. 세균성 아가미병의 초기병소는 초미세 형태학적으로 이차새변의 비후에 의해 시작되며 병원균은 아가미 표면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부착되어 있었다. 주사형 전자현미경의 관찰에서 건강한 물고기의 아가미 표면은 미로와 같은 모양과 미세 섬모상의 돌기로 특정지어 질 수 있는 상피세포가 보이나 실험적으로 감염된 아가미 표면에서는 새변의 선단에서 부터의 증생 융합과 함께 표면의 미세구조가 붕괴되어 잘 관찰되지 않았다. F branchiophila는 표면에 실뭉치와 같이 엉클어져 부착되어 있었으며 5% 식염처리후에는 그 형태가 일정치 않았다.

  • PDF

배추흰나비 후뇌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1. 신경세포의 종류와 그 미세구조

  • 최월봉;정진웅;안의태;이봉희;서지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5-98
    • /
    • 1985
  • 종족발생학적 계통에 따른 소뇌에 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발생과정이나 기능이 비슷한 무척추동물인 곤충강의 배추흰나비 (Pieris rapae Linne) 후뇌를 택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본 실험의 성적에서는 배추흰나비의 후뇌에서 출현하는 세포를 각각의 미세구조, 즉 세포의 크기, 모습, 세포질의 많고 적음, 세포소기관의 발달 정도등을 기준으로 삼아 분류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배추흰나비의 후뇌에서는 세포층은 구분되지 않았고 각각 다른 6가지의 세포형을 구분하였다. 제I형 세포는 가장 큰 세포이며, 긴 난원형 내지 방추형인데 핵도 긴 난원형이었다. 핵의 염색질은 비교적 적으나 세포질 양은 월등히 많고 세포소기관도 발달되었는데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의 발달은 미약하였다. 제II형 세포는 방추형이나 그 크기는 I형보다 작고 핵의 염색질의 양은 역시 적었다.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을 비롯하여 세포소기관이 발달하였다. 제III형 세포는 둔 삼각형으로서 핵은 구형이며 제I형세포보다 크기가 작고 세포소기관이 비교적 발달하였으며 특히 mitochondria가 많으며 주변세포질에 filaments가 많이 출현하였다. 제IV형 세포는 난원형이며 그 크기나 세포소기관의 발달 정도가 제III형보다 미약하나 다량의 polysome을 포함하고 있었다. 제V형 세포는 대체로 난원형이지만 긴 세포질 돌기를 많이 가져서 불규칙한 모습이며 핵은 난원형으로서 염색질양은 적은 편이었다. 세포질 내의 소기관의 발달은 불량한 편이나 많은 polysome이 세포질 전반에 걸쳐 출현하였다. 제VI형 세포는 방추형이고 핵은 긴 난원형이며 세포 크기는 III형과 IV형의 중간에 해당하였다. 세포소기관의 발달은 대체로 미약하였으며 다수의 polysome과 소수의 granular endoplasmic reticulum 및 mitochondria가 있었고, 세포질 내에 이따금 유모성 물질이 출현하였다.

  • PDF

Elimination of Grapevine leafroll associated virus-3, Grapevine rupestris stem pitting associated virus and Grapevine virus A from a Tunisian Cultivar by Somatic Embryogen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 Somaclones Using Ampelographic Descriptors

  • Bouamama-Gzara, Badra;Selmi, Ilhem;Chebil, Samir;Melki, Imene;Mliki, Ahmed;Ghorbel, Abdelwahed;Carra, Angela;Carimi, Francesco;Mahfoudhi, Naim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6호
    • /
    • pp.561-571
    • /
    • 2017
  • Prospecting of local grapevine (Vitis vinifera L.) germplasm revealed that Tunisia possesses a rich patrimony which presents diversifie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However, viral diseases seriously affect all local grapevine cultivars which risk a complete extinction. Sanitation programs need to be established to preserve and exploit, as a gene pool, the Tunisian vineyards areas. The presence of the Grapevine leafroll associated virus-3 (GLRaV-3), Grapevine stem pitting associated virus (GRSPaV) and Grapevine virus A (GVA), were confirmed in a Tunisian grapevine cultivar using serological and molecular analyses. The association between GRSPaV and GVA viruses induces more rugose wood symptoms and damages. For this reason the cleansing of the infected cultivar is highly advisable. Direct and recurrent somatic embryos of cv. 'Hencha' were successfully induced from filament, when cultured on $Ch{\acute{e}}e$and Pool (1987). based-medium, enriched with $2mg1^{-1}$ of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and $2.5mg1^{-1}$ of Thidiazuron, after 36 weeks of culture. After six months of acclimatization, RT-PCR carried on 50 somaplants confirmed the absence of GVA, GRSPaV as well as GLRaV-3 viruses in all somaplants. Ampelographic analysis, based on eight OIV descriptors, was carried out on two years acclimated somaplants, compared to the mother plan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hape and contours of 46 somaclones leaves are identical to mother plant leaves and four phenotypically off-type plants were observed. The healthy state of 100% 'Hencha' somaclones and the high percentage of phenotypically true-to-type plants demonstrate that somatic embryogenesis is a promising technique to adopt for grapevine viruses elimination.

3D 프린터 빌드시트용 무용제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제의 제조 (Solvent-free UV-curable Acrylic Adhesives for 3D printer build sheet)

  • 이배화;박동협;김병직
    • 접착 및 계면
    • /
    • 제21권3호
    • /
    • pp.93-100
    • /
    • 2020
  • 적층제조법 기반의 3D 프린팅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출력하여 제공하지만 고온의 사용 환경 및 용융된 필라멘트 수지의 냉각 과정에서 변동적 수축현상이 발생하여 상품의 출력편차를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출력물의 들뜸과 뒤틀림을 방지하고 정밀한 형상의 고품질 출력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3D 프린터 빌드시트용 아크릴 점착제를 연구하였다. 고온에서 점착특성이 유지되고 점착제로부터 출력물의 안착과 원활한 탈거를 위해 부착성과 강인성이 우수하고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4-acryloylmorpholine (ACMO)를 첨가하여 무용제 타입의 점착제 조성물을 설계하였다. 단량체의 후첨가방식을 사용하여 두 단계를 통해 아크릴 조성물을 합성하였고, 합성된 조성물로 코팅한 점착제 필름을 다각도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조된 점착제는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보이고 열처리 전/후에 따른 박리강도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유변학적 물성 분석을 통해 점착제의 우수한 접착력 뿐만 아니라 변형 없이 탈착이 가능한 물성을 갖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조된 점착제를 3D 프린터의 빌드시트로 활용하였을 때 안착성 및 작업성이 양호하고 출력편차가 적은 출력물을 얻었다. 기존 판매중인 빌드시트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점착제 위에서는 출력물이 원활하게 탈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FDM 방식 3D프린터의 사용자들에게 작업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육상 수조에서 사육 중인 숭어 (Mugil cephalus)의 Amyloodinium sp. 감염 (Amyloodinium sp. Infestation in Mullet (Mugil cephalus) cultured in a pond on land)

  • 박성우;유진하;이천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15
    • /
    • 2006
  • 육상수조에 양식중인 폐사가 발생하는 숭어 (Mugil cephalus)를 조사한 결과 아가미와 지느러미에 Amyloodinium sp.의 감염이 확인되었다. 아가미의 무염색표본을 검경하면 충체는 불투명한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중심부에 밝게 보이는 핵을 가지고 있는데, Lugol 액 이나 Diff-Quick III액을 적하하여 충체는 각각 검은색과 청색으로 염색된다. 또 충체를 May-Grunwald Giemsa염색하면 세포질의 주변부는 과립성의 호산성이지만 가운데 부위는 과립성의 호염기성으로 염색되는데, 도은염색에서 세포질의 과립은 음성, 중심부의 과립은 양성이었으며, 도은 양성과립은 Lugol 액에 갈색으로 염색되었다. 분리한 충체를 여과멸균해수에 넣어 20℃에서 배양하였을 엷은 이중막인 시스트막이 형성되면서 2분열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시스트막이 파열되면서 수많은 dinospores가 방출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아가미 상피세포의 증생으로 인한 새변의 유착, 곤봉화 및 변형이 일어나 병어는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