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canceriz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Epigenetic Field for Cancerization

  • Ushijima, Toshikazu
    • BMB Reports
    • /
    • 제40권2호
    • /
    • pp.142-150
    • /
    • 2007
  • Epigenetic alterations, represented by aberrant DNA methylation, are deeply involved in human cancers. In gastric cancers, tumor-suppressor genes are inactivated more frequently by promoter methylation than by mutations. We recently showed that H. pylori infection, a potent gastric carcinogenic factor, induces methylation of specific genes in the gastric mucosae. When the methylation levels were analyzed in the gastric mucosae of healthy volunteers, cases with a single gastric cancer, and cases with multiple gastric cancers, who have increasing levels of risks for gastric cancer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ing trend in the methylation levels among the individuals without current H. pylori infection. This finding unequivocally showed the presence of an epigenetic field for cancerization. The degree of the field defect was measured more conveniently using methylation levels of marker genes than using those of tumor-suppressor genes. The presence of an epigenetic field for cancerization has been indicated for liver, colon, Barrett's esophageal, lung, breast, and renal cancers. Since decreased transcription is involved in the specificity of methylated genes, it is likely that specific genes are methylated according to carcinogenic factors.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usefulness of DNA methylation as a marker for past exposure to carcinogens and future risk of cancer development.

Carcinoma of the Tongue: A Case-control Study on Etiologic Factors and Dental Trauma

  • Bektas-Kayhan, Kivanc;Karagoz, Gizem;Kesimli, Mustafa Caner;Karadeniz, Ahmet Nafiz;Meral, Rasim;Altun, Musa;Unur, Mera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225-2229
    • /
    • 2014
  • Background: Carcinoma of the tongue is the most common intra-oral malignancy in Western countries. Incidence and mortality rates have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survival has not improved.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etiologic factors for tongue cancer with age-sex matched case-control data. Materials and Methods: 47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tongue referred to our oral medicine clinic between years 2005-2006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data. The medical records, including family history of cancer, dental trauma, and history of abuse of alcohol and tobacco products was recorded for all subjects. Chi square comparison test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for statistics. Results: Patient and randomly selected control groups each consisted of 30 male and 17 female subjects with mean ages 53.2 (${\pm}12.6$) and 52.6 (${\pm}11.5$) years respectively. Smoking and alcohol abuse propor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atient group (p=0.0001, p<0.0001 respectively). Chronic mechanical trauma was observed in 44.7% of the patients and 17.0% of the control group (p=0.004). Similarly, family history of cancer of any type (for the first degree relatives) was found to be more common in the patient group (p=0.009). On regression analysis, alcohol abuse, family history of cancer, smoking, chronic mechanical traumas appeared as significant etiologic factors (p=0.0001). Conclusions: We believe that field cancerization may become evident in oral and oropharyngeal mucosa with multiple steps of molecular changes starting from the first sign of dysplasia with chronic exposure to etiological factors. Chronic trauma cases need particular attention to search for very early signs of cancer.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발견된 2부위의 기관지 병변에 관한 연구 (Double Bronchial Lesions Detected by Bronchoscopic Examination)

  • 이창희;윤종길;곽영임;김현각;이춘택;이진오;강태웅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3호
    • /
    • pp.277-288
    • /
    • 1994
  • 연구목적 : "Field Cancerization"의 개념에 따르면, 폐암의 경우에도 여러 기관지들이 발암물질에 동시에 노출되어 다발적 암의 발생이 가능하고, 또한 암발생의 전단계인 precancerous lesion이 발견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폐암의 주요 진단방법인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이용하여 방사선학적으로 나타난 병변뿐 아니라 전체 기관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방법 : 1990년 4월부터 1993년 12월사이에 원자력 병원 내과에서 시행한 총 1855예의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2부위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각각 조직검사를 시행한 총 21예를 대상으로 대상 환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흡연력, 각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 및 방사선학적 소견, 병변위치, 치료 및 생존기간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결과 : 총 21예중 14예에서 두 병변 모두 악성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서로 조직학적 소견이 다른 경우는 6예, 서로 조직학적 소견이 같은 경우는 8예이었고, 총 21예 중 7예에서 한 병변은 악성, 나머지 병변은 양성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11예의 동시성 다발성 원발성 폐암이 있었으며 진단 당시 연령의 중앙치는 63세로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흡연력은 40PY이었고, 조직학적 조합으로는 편평상피암의 조합이 5예, 소세포암과 편평상피암의 조합이 4예, 선암과 편평상피암의 조합이 1예, 편평상피암과 저분화암의 조합이 1예이었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상 2부위의 기관지 병변을 보인 총 21예중 15예에서 기관지 내시경 술전 방사선학적 검사상 한 병변만 나타났으며, 기관지 내시경 술전 방사선학적 검사상 두 병변 모두 나타난 6예종 5예에서 다발성 원발성 폐암이 나왔다. 결론 : 폐의 기관지 상피는 여러 발암물질에 동시에 노출되어 다발성 암의 발생 및 precancerous lesion이 생길 가능성이 높으므로, 폐암의 진단과정에 있어 방사선학적으로 나타난 병변뿐 아니라 전체 기관지에 대한 면밀한 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조직학적 확인이 필수적이다.

  • PDF

백서 혀에서의 4-nitroquinoline 1-oxide 유도 발암과정에서 Bcl-2 계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Bcl-2 Family in 4-Nitroquinoline 1-Oxide-Induced Tongue Carcinogenesis of the Rat)

  • 최재욱;정성수;이금숙;김병국;김재형;국은별;장미선;고미경;정권;최홍란;김옥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3호
    • /
    • pp.301-317
    • /
    • 2005
  • 전 세계적으로 구강암의 빈도는 점점 증가 추세이며, 특히 한국인의 있어 혀(tongue)는 구강암이 가장 호발하는 장소이다. 구강암은 발암 단계에서부터 과증식 병소(hyperplastic lesion), 이형성(dysplasia) 및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 을 거쳐 악성 암종으로 발전하는 다단계 발암과정을 보이며, 분자 생물학적 변이가 구강암을 진행시킴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구강암은 일반적으로 암세포의 증식 및 고사(apoptosis)의 억제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알려져 있다. 그리고, Bcl-2 family 는 세포 고사에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과 관련한 구강암 발생과정의 변화에 대해서는 널리 연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백서에서 발암 물질인 4-NQO로 구강암을 유도시키고, 구강암 발생 다단계별로 Bcl-2 family의 mRNA 변화를 RT-PCR을 이용해 살펴보았다. Bcl-2 family는 크게 3군, 즉 1) anti-apoptotic, 2) pro-apoptotic, 그리고 3) BH3 only protein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anti-apoptotic molecules인 Bcl-w는 모든 군에서 발현이 감소되었으며, Bcl-2는 발현이 증가 되었다. pro-apoptotic molecules에서는 Bad가 제 3군 (편평세포암종)에서 발현이 증가 되었고, 나머지는 감소하였다. BH-3 only protein에서는 Bmf가 제 2군에서, BBC3가 제 3군에서 발현이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모든 군에서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4-NQO로 유도된 백서의 발암단계에서, Bcl-2 family의 mRNA 양상은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나, Bad 및 BBC3 mRNA가 제 3군에서, Bmf mRNA가 제 2군에서의 발현이 특별함을 알 수 있어, 다단계 발암과정에서의 구강암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