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5초

주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질문 촉진 수업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 및 장독립성-장의존성의 영향 (The Influence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Strategy and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in Instruction Enhancing Student Questions by Using Weekly Reports)

  • 강훈식;권은경;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2-9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주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질문 촉진 수업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 및 장독립성-장의 존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152명을 주단위 보고서(WR) 집단과 주단위 보고서-상호동료교수 전략(WR-RPT) 집단으로 배치한 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 변화와 에너지' 단원에 대해 총 18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기간 동안 두 집단의 학생들은 주단위 보고서를 총 6회 작성하였으며, WR-RPT 집단의 학생들은 주단위 보고서에서 만든 질문들을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통해 해결하는 활동도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관계없이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 WR-RPT 집단의 점수가 WR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는 장의존적인 학생들의 경우 WR-RPT 집단의 점수가 WR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으나,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경우에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에서 모두 장의존적인 학생들보다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및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많은 학생들, 특히 장의존적인 학생들보다 장독립적인 학생들이 WR-RPT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인지양식과 대인 문제 해결력 - 5세, 7세, 및 9세 아동을 대상으로 - (Cognitive Style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5-, 7-, and 9-year-olds)

  • 정윤주;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7-89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1) children's field dependence by age and sex, (2)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by age, sex, and contextual factors, (3)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by field dependence. The subjects were 120 five-, seven-, and nine-year-olds. Children's field-dependence was measured with the Children's Embedded Figures Test (CEFT).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was measured with the Preschool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est (PIPS Test).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s. Major findings were that (1) The older children were more field-independent than the younger ones (2) The older children suggested more problem solving methods and higher-level problem solving strategies than the younger ones. (3) Children suggested higher-level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contexts involving familiar as opposed to unfamiliar participants and contexts involving children as opposed to adults. (4) 9-year-olds' field-independenc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bility.

  • PDF

다중 표상을 활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학생들의 연계 오류 감소를 위한 처방적인 교수 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the Prescribed Instructional Strategy for Reducing Students' Connecting Errors in Learning Chemistry Concepts with Multiple External Representations)

  • 강훈식;김유정;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75-684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다중 표상을 활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연계 오류 감소를 위한 처방적인 교수 전략의 효과를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따라 조사했다. 남녀공학 중학교 1학년 126명을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배치한 후,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에 대해 2차시 동안 수업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학습 동기 검사에서는 학습 동기 전체와 하위 영역 중 '주의집중' 영역에서, 처치 집단 학생들의 점수가 통제 집단 학생들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그러나 두 검사에서 모두 수업 처치와 장독립성-장의존성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처치 집단 학생들의 대부분이 새로운 교수 전략에 대해 인지적, 동기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리 문제,그림 및 문장으로 제시된 개념 문제의 생취도 및 인지변인들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s in Algorithmic Problems, Achievements in Figure-Formatted and Textual-Formatted Conceptual Problems, and Cognitive Variables)

  • 노태희;임희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78-285
    • /
    • 1996
  •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s in algorithmic problems, and figure-formatted and textual-formatted conceptual problems concerning stoichiometry, gaseous state, and solution, were measured by the Chemistry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chievement scores in the three types of problems and cognitive variables such as logical thinking ability, mental capacity, and field dependence/field independence were examined. The portion of variance of explanation for each achievement score was also studied b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logical thinking abil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chievement score in the algorithmic problems, and accounted for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variance of the score. Mental capacity accounted for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variance of the score in the figure-formatted conceptual problems. Although field dependence/field independenc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the achievement scores, it did not significantly account for any scor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However, the magnitud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achievement scores were higher than those between the achievement scores and cognitive variables. The best predictor for each score was also found to be one of the other achievement score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과학 학습을 위한 개별적인 CAI에서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특성과 개념 이해도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Cognitive .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from Individual CAl for Science Learning)

  • 노태희;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28-7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특성과 컴퓨터 보조 수업을 한 후의 개념 이해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에게 컴퓨터 보조 수업을 실시한 후에 '분자의 운동'에 관한 개념 검사를 하였다.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는 인지적 특성들 중에서 장의존-장독립성, 학습 전략, 자기 조절 능력, 정의적 특성 중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성취 목적,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CAl에 대한 태도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개념 이해에 관한 인지적 특성들의 중다 회귀 분석 결과, 장의존-장독립성은 가장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자기 조절 능력과 심층적 학습 전략도 유의미한 예언 변인 이었다. 정의적 특성들에 관한 분석 결과에서는 시각적 학습 선호도, 능력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에 유의미한 예언 변인이었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직무만족도와 인지양식과의 관계 (Rel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Cognitive Style of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y)

  • 유길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7-96
    • /
    • 1998
  • 직무만족 행동은 동일한 환경조건하에서도 개인적 특성이나 성격, 인지구조에 따라서 반응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것은 개인의 심리적 차이와 관련된 문제이며, 직무만족이 주관적인 개념임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심리적 개인차 특히, 인지양식을 분석하여 보고 이것이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차이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그 관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는 부산시내 소재하는 11개 4년제 대학도서관 사서 160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전체적인 직무 만족도는 보통수준을 약간 상회하고 있으며 승진요인에서 가장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적 특성에 따른 인지양식은 차이가 없으나, 직무만족도와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나이가 많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인지양식은 직무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독립적인 사서보다 장의존적인 사서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장독립적인 사서는 기술봉사업무에 적합하고 장의존적인 사서는 공공봉사업무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무만족도의 개인차를 이해하는 데에는 개인의 인지양식에 따른 심리적 개인차를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 PDF

비유물의 개수, 출처 및 순서가 중학생들의 개념 회상 및 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umber, Source, and Sequence of Analogs on Middle School Students' Concept Recall and Application)

  • 노태희;김창민;권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45-652
    • /
    • 1999
  • 비유물의 개수, 출처 및 제시 순서가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회상 및 응용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비유물의 개수(1개/2개)와 출처(일상/과학)에 따라 네 종류의 학습 교재를 제작하여 예비 연구를 통해 수정하였다. 수업 처치 이전에 장의존성/독립성 검사를 실시하여 구획 변인으로 사용하였다. 88명의 중학생들에게 네 가지 유형의 학습 교재를 무선 배포하여 읽게 한 직후 과학 개념 회상 및 응용 검사를 실시하고, 4주 후에 개념의 파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비유물의 개수, 출처 및 제시 순서가 과학 개념 회상 및 응용에 미치는 주효과는 없었다. 파지 개념 응용 검사에서 학습자의 장의존성/독립성에 따라 비유물의 개수 및 비유물의 제시 순서가 과학 개념 회상 및 응용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장독립적인 학습자는 비유물을 한 개 사용하였을 때보다 두 개 사용하였을 때 더 높았고, 비유물을 두 개 사용할 경우 장의존적 학습자는 과학 일상 비유물의 순서보다 일상-과학 비유물의 순서로 제시했을 때 더 높았다.

  • PDF

정보검색자의 인지양식이 정보검색에 미치는 영향 (Field Dependence/ Independence and the Performance of the Online Searcher)

  • 유재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9권
    • /
    • pp.189-241
    • /
    • 1990
  • This study identified cognitive styles of online searchers in terms of Field Dependence (FD) and Field Independence (FI) dimension and determined whether searching performance was affected by FD / FI cognitive differences between online searchers and the extent to which searching performance was affected by the FD / FI dimension of cognitive style. This study used a quasi experimental design with 41 student subjects using the Lockheed DIALOG system and ERIC ONT AP database. Cognitive styles of student subjects were measured by using GEFT (Group Embedded Figure Test) a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cognitive groups- FD and FI based on the GEFT scores. Each subject was assigned two predetermined searches which had different search goals-a 'high precision search' and a 'high recall search.' Search performance of the two cognitive groups on the two problems was compared in order to see how these two groups responded to achieving different search goals in terms of search strategy, search inputs, and resulting search outpu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1. The pattern of approaching a search problem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a high precision search or a high recall sear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cognitive groups. 2. The FI group tended to use significantly more terms for the high recall search than the FD group but slightly less time than the FD group.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nect tim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revealed. 3. For both search problems the FI group achieved a significantly higher success rate than the FD group. The FI group were significantly more successful searchers than the FD group. As for unit / cost, although the FI group were more cost effective than those of the FD group for both searches, these differences were too small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Mean differences of the search performance variables between the FD / FI groups were consistent across the two types of search questions. The FI group seemed to be equally effective for both types of search questions. In conclusion, the differences found in number of terms used and success rate between the two cognitive groups apparently resulted from different cognitive styles.

  • PDF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장독립·장의존 인지양식과 기술적 문제해결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gnitive styles and a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mong the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 이창훈;김기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6-5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emp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gnitive styles(field-independence/dependence, Fl/D)and a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TPS) among the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When it comes to perception, remembrance and consideration, we all have our own individual and steady patterns. We call them cognitive styles. FI/D is one kind of cognitive styles and it is about how dependently we perceive the field which each object has. Custer(1995) presented the technological problem among problem solving existed in various types as organizing it with four conceptional frames, which are invention, design, trouble shooting and procedures. We tested 56students belong to B industrial high school in A city, Korea. We used Group Embedded Figures Test(GEFT) to experiment the FI/D cognitive styles. We also did the TPS test by using an appliance which a researcher has developed. The appliance was made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problem and its validity was justified by an expert. We came up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FI/D cognitive styles and TPS to figure out what kind of relationship those two variable factors have and how much they are correlated each oth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urned out ".59" which means they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To find out the TPS difference between FI group and FD group, we compared each group's TPS sco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 group's TPS scor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FD group's one.

5 세아의 창의성과 장독립성 인지양식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Creativity and Field Dependent-Independent Cognitive Style at Age Five)

  • 조성연
    • 아동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3-80
    • /
    • 198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children's creativity to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cognitive style and demographic variables at age 5. The subjects for the present study were 86 five-year-old boys and girls selected from two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ir parents, who replied to the questionnaire about demographic variables. Children were tested in groups, with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Figural, and individually with the Preschool Embedded Figures 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 way ANOVA, t-test,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s. Children's fluency and originality in creativ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field dependent-independent cognitive sty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ity according to sex.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eld dependent-independent cognitive style according to sex. The score of field independent cognitive style of boy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irls. Children's creativity showed low correlations with demographic variab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