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36초

복령균핵,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용매별 생리활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mycelium, sclerotium, and fruiting body of Wolfiporia cocos (F.A. Wolf) Ryvarden & Gilb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안기홍;조재한;김옥태;이찬중;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53
    • /
    • 2020
  • 복령 발달단계인 균사체(mycelium), 균핵(sclerotium) 및 자실체(fruiting body)에 대한 열수(hot-water), 70% 주정(70% EtOH) 및 70% 메탄올(70% MeOH) 용매별 생리활성 성분과 발달단계별 건조시료의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단계별 시료 중에서 균사체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균핵과 자실체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별 결과, 균사체의 경우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균핵은 70% 주정추출물(70% EtOH)에서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으며, 자실체는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균사체, 균핵 및 자실체 건조시료 중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균핵에서 균사체와 자실체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자실체와 균사체에서 균핵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그 중 알기닌(Arg)과 페닐알라닌(Phe)이 높게 검출되었다.

색도를 동일하게 조정한 Model Melanoidin들의 항산화효과 및 특성 (Antioxidative Effect an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odel Melanoidins with Same Color Intensity)

  • 임원용;김정상;문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1045-1051
    • /
    • 1997
  • Model melanoidin으로서 glucose-glycine, glucose-lysine, xylose-arginine melanoidin을 색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제하여 항산화효과 및 항산화효과와 관련된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melanoidin들은 대조군에 비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lanoidin들의 갈색도의 정도를 동일하게 하여도 당과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 항산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도 실험에 사용한 세 model melanoidin중 가장 커서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항산화성과 전자공여성이 관계있음을 알 수 있었다.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 관련 물질의 특성을 알기위하여 melanoidin을 Sephadex G-50에서 분리하여 그 특성을 조사한 결과 melanoidin의 종류에 따라 다른 분리 패턴을 나타내었다. 분획별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 xylose-arginine melanoidin이 가장 강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다음이 glucose-lysine melanoidin이었으며 glucose-glycine melanoidin이 가장 낮은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어 당의 경우 glucose보다 xylose에서, 아미노산의 경우 glysine보다 lysine에서 항산화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분획물의 특성 중 melanoidin의 항산화 효과가 큰 물질은 갈색도가 높으면서 ninhydrin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환원성이 강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50에서 65사이의 광범위한 영역에서, glucose-lys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5에서, glucose-glycine melanoidin의 경우 fraction 60에서 각각 강한 항산화 효과물질이 검출되었다. Xylose-arginine melanoidin의 경우 광범위한 갈색물질의 용출범위에서 환원작용을 나타내어 앞에서 model melanoidin 중 가장 강한 항산화 효과 및 DPPH에 의한 전자공여성을 나타낸 성질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핑크팝 보리수 열매와 잎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Various Solvent Fractions from Fruit and Leaf of Pinkpop Borisu)

  • 강선경;정창호;허호진;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69-78
    • /
    • 2010
  • 핑크팝 보리수 열매와 잎을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도 열매와 잎의 여러 분획물 중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과 FRAP 활성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과 FRAP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과 FRAP 활성을 보였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은 잎과 열매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각각 106.34 및 252.46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핑크팝 보리수 잎 부탄올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에 의한 것이며, 이는 자유 라디칼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양배추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Red Cabbage Extract)

  • 하현주;이춘복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생리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적양배추를 이용하여 에탄올 및 열수 추출을 하여 마크로파지 세포에 LPS로 유도하여 염증성 질환 모델에서 세포생존, NO생성 억제, 단백질 단계에서 iNOS와 COX-2의 발현을 분석하였고 항산화 활성 측정을 위해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활성을 확인하였다. 각 추출물의 세포생존, NO생성 및 단백질 발현 분석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LPS에 대해 억제 및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고 특히 0.25, 0.5 그리고 1.0 mg/mL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 및 FRAP 활성은 합성 항산화제인 BHT보다 활성이 좋지 않았지만 천연 항산화제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훌륭한 식품소재로서 기능성 식품 및 각종 질병에 대한 예방의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삼지구엽초의 부위별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이성현;장미란;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8-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의 뿌리, 줄기, 잎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부위를 7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FRAP를 추출 농도별(1, 2, 10, 20 mg/mL)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총페놀 함량의 경우 뿌리(2.468 mg), 잎(2.307 mg), 줄기(2.277 mg)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2.071 mg), 잎(1.875 mg), 줄기(0.616 mg)로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그리고 FRAP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적은 줄기에 비하여 잎과 뿌리의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경우 뿌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는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지구엽초는 주로 잎 부분이 식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 지상부만을 제한적으로 식품원료로 허용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지상부 외에 지하부에서도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vitro system에서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using an in vitro System)

  • 김지혜;정창호;최귀남;곽지현;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12-716
    • /
    • 2009
  •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특성 및 $H_2O_2$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ABTS radical 소거 및 FRAP방법을 이용하여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H_2O_2$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72-99% 정도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였고, LDH release assay 결과 0.5 mg/mL 농도에서 47% 정도의 LDH 방출량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neutral red uptake assay 결과 모든 농도에서 vitmain C에 비해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의 뛰어난 보호효과는 알츠하이머성 신경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늙은 호박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Effec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 from Different Aerial Parts)

  • 김민지;홍충의;남미현;이광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5-19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늙은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의 부위별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잎과 과피, 과육과 씨 네 부분으로 나누어 일반성분을 측정하고, 환류 추출과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을 얻은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호박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함량은 잎이 $29.62{\pm}0.88mg$ GAE/g DM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잎이 가장 높고 과피, 과육, 씨의 순서로 측정되어 폴리페놀 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ABTS radical 소거 활성에서 SC50값을 측정하였을 때는 잎에서 가장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DPPH: $1.27{\pm}0.14$, ABTS: $2.28{\pm}0.05$).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실험한 결과에서도 잎에서 가장 높은 환원력이 관찰되었다. 한편, 생리활성적인 측면 중 tyrosinase 효소 억제 활성 능력은 대조군인 kojic acid와 비교하였을 때 같은 농도인 0.1 mg/mL에서 20.70%이었던 반면 실험군인 잎은 49.58%, 과육은 40.20%을 보였고, 과피는 41.30%, 씨는 36.79%가 관찰되어 모두 이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므로 kojic acid 보다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당화산물(AGEs) 생성억제 효능에서는 잎(65.85%), 과피(50.14%), 과육(13.72%), 그리고 씨(11.18%)의 순서로 관찰되었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씨 부분의 저해활성이 63.58%로 67.28%를 나타낸 대조군 0.06 mM acarbose에 근접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Enhanced Produ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Pumpkin Leaves by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 Ko, Jeong-Yeon;Ko, Mi-Ok;Kim, Dong-Shin;Lim, Sa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132-137
    • /
    • 2016
  • Enhanced production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by subcritical water hydrolysis (SWH) of pumpkin leaves was investigated at various temperatures ranging from 100 to $220^{\circ}C$ at 20 min and at various reaction times ranging from 10 to 50 min at $160^{\circ}C$. Caffeic acid, p-coumaric acid, ferulic acid, and gentisic acid were the major phenolic compounds in the hydrolysate of pumpkin leaves. All phenolic compounds except gentisic acid showed the highest yield at $160^{\circ}C$, but gentisic acid showed the highest yield at $180^{\circ}C$. The cumulative amount of individual phenolic compounds gradually increased by 48.1, 52.2, and $78.4{\mu}g/g$ dry matter at $100^{\circ}C$, $120^{\circ}C$, and $140^{\circ}C$, respectively, and then greatly increased by $1,477.1{\mu}g/g$ dry matter at $160^{\circ}C$. The yields of caffeic acid and ferulic acid showed peaks at 20 min, while those of cinnamic acid, p-coumaric acid, p-hydroxybenzoic acid, and procatechuic acid showed peaks at 30 min.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values gradually increased with hydrolysis temperature and ranged from 6.77 to 12.42 mg ascorbic acid equivalents/g dry matter and from 4.25 to 8.92 mmol $Fe^{2+}$/100 g dry matter, respectively. Color $L^*$ and $b^*$ values gradually decreased as hydrolysis temperature increased from $100^{\circ}C$ to $140^{\circ}C$. At high temperatures ($160^{\circ}C$ to $220^{\circ}C$), L* and b* values decreased suddenly. The $a^*$ value peaked at $160^{\circ}C$ and then de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from $160^{\circ}C$ to $220^{\circ}C$.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H of pumpkin leaves was strongly influenced by hydrolysis temperature and may enhanced the produc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사과주스의 품질에 미치는 pulsed electric field 연속 처리효과 (Effect of continuous pulsed electric fields treatments on quality of apple juice)

  • 안성환;임정호;김영호;정석진;박기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50-658
    • /
    • 2013
  • 전기장의 세기 20 kV/cm, 펄스 폭 25 ${\mu}s$에서 펄스 빈도 35 Hz(40 kJ/L), 55 Hz(70 kJ/L), 72 Hz(100 kJ/L) 및 85 Hz(130 kJ/L)로 달리하여 투입 에너지를 기준으로 사과 착즙액의 PEF 연속처리 살균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일반세균수은 초기 5.3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로 처리하였을 때 3.0 log CFU/mL로 감소하였고 효모 및 곰팡이는 초기 4.6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로 처리로 < $10^1$ CFU/mL 이하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대장균군수도 초기 4.7 log CFU/mL에서 130 kJ/L의 에너지 처리로 < $10^1$ CFU/mL 이하로 감소하였다. PEF 처리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 유리당 등에는 처리 조건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p<0.05), 총 페놀함량, DDPH 및 FRAP 값은 처리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지만 $65^{\circ}C$에서의 가열처리보다는 감소량이 작았다. 전기장 세기 20.0 kV/cm, 펄스 빈도 85 Hz, 펄스 폭 25 ${\mu}s$에서의 반복처리는 미생물 살균 효과가 제한적이었고 처리회수에 따라 총 페놀함량, DPPH 및 FRAP 값을 유의적(p<0.05)으로 감소시켰다.

사과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Apple Extracts)

  • 정희록;조유나;정지희;진동은;송병기;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97-6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총 페놀화합물 함량(84.25, 318.25 mg GAE/g)을 나타낸 사과 과육 및 과피의 EtOAc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과 과육 및 과피의 EtOAc 분획물의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FRAP assay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 나타났으며, 과피에서 높은 in vitro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미백 효능을 알아보기 위한 자외선 흡수도 측정 결과 역시 두 시료 모두 UV-B (270-290 nm) 영역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였으며, 특히 과피의 경우 UV-A (350-370 nm) 영역에서도 높은 흡수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멜라닌 함량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시료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인 멜라닌 함량의 감소를 나타냈으나 특히 과피의 경우 positive control로서의 arbutin보다도 높은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더불어 사과 과피의 EtOAc 분획물은 500 ${\mu}g$/mL의 농도에서 46.40%의 elastase 저해활성 역시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한 사과 과피의 EtOAc 분획물은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