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mycelia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초

상황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다시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Fermented Saccharina japonica with Phellinus linteus Mycelia Enhances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 김연숙;박표잠;정재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59-365
    • /
    • 2017
  • To develop new functional materials, Saccharina japonica (S. japonica) was cultivated with Phellinus linteus (P. linteus) mycelia by solid culture. S. japonica was fermented with P. linteus mycelia. The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of fermented S. japonica with P. linteus mycelia (FSPM)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e antioxidant capabilities of unfermented S. japonica and P. linteus mycelia.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SPM extracts were evaluated using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PM showed stronger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than P. linteus mycelia or S. japonica alon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ermentation of S. japonica changes its chemical nature and could provide beneficial antioxidant effects.

버섯 균사체 및 배양곡물의 혈당강하 효과 (Hypoglycemic Effects of Basidiomycetes Mycelia and Cereals Fermented with Basidiomycetes)

  • 최희돈;석호문;박용곤;박영도;김정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57-1262
    • /
    • 2007
  • 혈당강하 효능을 갖는 버섯배양곡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종의 버섯균과 버섯배양곡물의 식후 혈당상승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균사체의 포도당 투과지연 효과를 측정한 결과 120분 동안 투석후 전체 포도당 중 $13.1{\pm}3.6{\sim}41.8{\pm}8.0%$의 포도당이 투석막 내액에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균사체가 pectin보다 포도당의 투석막 밖으로의 투과를 지연시키는 효과가 컸다. 당뇨쥐에 균사체를 투여한 후 혈당변화를 조사한 결과 맥아당 섭취후 30분 경과시 $389.4{\pm}43.8{\sim}426.3{\pm}49.4mg/dL$로 대조구의 $535.3{\pm}78.6mg/dL$에 비해 상당히 낮은 값을 나타내어 버섯균사체의 식후 혈당상승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Phellinus linteus와 Paecilomyces japonica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Paecilomyces japonica를 배양한 버섯배양곡물을 당뇨쥐에 투여한 후 혈당변화를 조사한 결과 버섯 균사를 배양하지 않은 곡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식후 혈당상승을 나타내어 버섯배양곡물이 우수한 혈당강하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버섯배양 보리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Undaria pinnatifida Extracts Fermented with Cordyceps militaris Mycelia

  • Kim, Yon-Suk;Kim, Eun-Kyung;Hwang, Jin-Woo;Han, Young-Ki;Kim, Seong-Eun;Jeong, Jae-Hyun;Moon, Sang-Ho;Jeon, Byong-Tae;Park, Pyo-Ja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6호
    • /
    • pp.820-827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fermented Undaria pinnatifida by the mycelia fermentation method. U. pinnatifida was fermented with Cordyceps militaris (C. militaris ) mycelia using solid culture and compared with unfermentated U. pinnatifida and C. militaris mycelia for antioxidant activities. The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s from U. pinnatifida fermented with C. militaris mycelia (FUCM) were evaluat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UCM extracts were assayed for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2,2'-azinobis-(3-ethy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oxygen radical absorption capacity.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FUCM extracts was higher than that of C. militaris mycelia or U. pinnatifida alone. FUCM extracts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up to 35 times, 10 times, and 16 times that of U. pinnatifida extracts on DPPH, alky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UCM extracts have different chemical ingredients from U. pinnatifida and could provide beneficial antioxidant activity.

3종의 버섯균사체로 발효한 천년초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Opuntia humifusa with 3 Different Mushroom Mycelia)

  • 김미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20-627
    • /
    • 201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fermented Opuntia humifusa with 3 different mushroom mycelia: Phellinus linteus, Lentinula edodes, and Pleurotus ostreatus. Fermented Opuntia humifusa by Phellinus linteus (FOP) and Lentinula edodes (FOL) showed mor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non-fermented Opuntia humifusa (NFO) and fermented Opuntia humifusa by Pleurotus ostreatus (FOPO). At a concentration of 250 ppm,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FOP and FOL were similar to that of BHA, a synthetic antioxidan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had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owever, the flavonoid content was increased in the order of NFO, FOL, FOPO, and FOP. At all concentrations,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FOP and FOP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kojic acid. Dur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NFO and FOL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FOP and FOPO showed a higher fat accumulation inhibitory effect than NFO and FOL. These results provide baseline data for Opuntia humifusa as a novel functional food.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로 제조한 발효두부 추출물의 면역 활성 (Immuno-Activities of Extracts of Tofu Fermented with Pleurotus eryngii Mycelia)

  • 이상원;강종우;김재용;박경욱;박석규;주옥수;이성태;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5-30
    • /
    • 2010
  • 두부의 기능성 및 저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두부를 제조하여 물과 메탄올로 추출하여 면역세포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배양하기 위한 최적 배지는 PD broth 배지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큰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두부의 최적 발효기간은 7일 정도가 적당하였다.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이용하여 발효한 두부의 물 및 메탄올추출물은 $0.01 {\mu}g/mL$ 농도 이상에서 비장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은 IL-6, IFN-$\gamma$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두부 물 추출물은 대조군에 비해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 생산을 $1 {\mu}g/mL$ 농도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 추출물은 $10 {\mu}g/mL$ 농도 이상에서 그 생산을 증가시켰다. 발효두부 추출물들은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IL-6, TNF-$\alpha$, IL-1$\beta$ 및 GM-CSF 분비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따라서 큰느타리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두부는 기능성 두부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버섯균사체로 발효시킨 인삼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 (Effect of Fermented Ginseng Extract by Mushroom Mycelia on Antiproliferation of Cancer Cells)

  • 김현영;정은미;황인국;정재현;유광원;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6-41
    • /
    • 2010
  • 상황버섯, 영지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된 인삼추출물이 암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암세포(MKN-45), 대장암세포(HCT116), 유방암세포(MCF-7), 폐암세포(NCIH460), 전립선암세포(PC-3) 및 간암세포(HepG2)에 농도별(0.25~1.5 mg/mL)로 처리하여 암세포 성장억제율을 측정하였다. 전립선암 세포에서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는 영지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1.5 mg/mL 농도에서 3.07%로 가장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상황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35.05%,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44.29%의 생존율을 보였다. 폐암세포에 대한 세 가지 버섯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의 1.5 mg/mL 농도에서 영지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은 5.31%로 우수한 항암활성을 나타낸 반면, 상황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53.52%,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발효 인삼추출물이 35.27%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영지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킨 인삼추출물이 다른 균사체 인삼발효물보다 다양한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의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rom Acanthopanax senticosus-Fermented Mushroom Mycelia)

  • 조주현;최구희;박인재;백순옥;김형하;김충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11-418
    • /
    • 2014
  •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의 잎과 줄기를 천연물배지로 발효미생물인 영지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및 상황버섯균사체를 각각 최적조건으로 발효하여 3종의 가시오가피-버섯발효물인 가시오가피 영지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발효물, 가시오가피 상황버섯균사체 발효물을 얻었으며 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우선적으로 배양용 시험관과 실험실용 배양병을 사용하여 버섯균사체별 가시오가피의 천연배지로서 최적혼합비율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및 상황버섯균사체의 가시오가피 줄기와 잎의 혼합비율을 각각 80:20, 50:50, 50:50으로 확립하였으며, 이 조건을 가지고 산업용 배양포트(2,000 mL)에서의 최적배양시간을 검토한 결과 영지버섯균사체 14일, 노루궁뎅이버섯균사체 40일, 상황버섯균사체 30일로 확립하였다. 상기와 같이 최적화된 조건으로 배양된 3종의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들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 여과, 농축,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인 열수추출물(FM-5111, FM-5121, FM-5131)과 70% 에탄올추출물(FM-5112, FM-5122, FM-5132)을 얻었다. 이 가시오가피 버섯균사체 발효물 추출분말의 eleutheroside B와 eleutheroside E를 분석한 결과, eleutheroside B는 FM-5111 $0.050{\pm}0.003mg/g$, FM-5121 $0.067{\pm}0.001mg/g$, FM-5131 $0.026{\pm}0.001mg/g$, FM-5112 $0.038{\pm}0.002mg/g$, FM-5122 $0.053{\pm}0.005mg/g$, FM-5132 $0.025{\pm}0.001mg/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eleutheroside E는 FM-5111 $0.052{\pm}0.014mg/g$, FM-5121 $0.047{\pm}0.003mg/g$, FM-5131 $0.078{\pm}0.003mg/g$, FM-5112 $0.045{\pm}0.002mg/g$, FM-5122 $0.040{\pm}0.002mg/g$, FM-5132 $0.080{\pm}0.011mg/g$의 함량을 보였으며, ${\beta}$-glucan의 경우 FM-5111 $4.47{\pm}0.14%$, FM-5121 $3.41{\pm}0.15%$, FM-5131 $4.15{\pm}0.06%$, FM-5112 $5.18{\pm}0.36%$, FM-5122 $3.74{\pm}0.40%$, FM-5132 $4.37{\pm}0.32%$의 함량이 측정되었다.

쥐눈이콩-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발효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Fermented Small Black Soybean (Rhynchosia volubilis) with a Solid State Culture of the Bearded Tooth Mushroom (Hericium erinaceum) Mycelia)

  • 김훈;신지영;이아름;황종현;유광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48-1358
    • /
    • 2017
  • To enhanc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Rhynchosia volubilis (RV), R. volubilis (RVHE-A) and R. volubilis-added herbal powder (RVHE-B) were fermented with a solid state culture of Hericium erinaceum mycelia (HE). The total isoflavone contents of the non-fermented RV-A ($489.9{\mu}g/g$) and RV-B ($571.1{\mu}g/g$) were remarkably increased in fermented RVHE-A ($1,836.4{\mu}g/g$) and RVHE-B ($1,276.7{\mu}g/g$). In particular, aglycone isoflavones such as daidzein and genistei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VHE-A than any other sample. When hot-water (HW) and EtOH extracts (E) were fractionated from the RV and RVHE, both extracts from the RVHE-A were higher than those from the RV-A i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However, the RVHE-B-HW showed a lower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level than did RV-B-HW. RVHE-A-HW and -E also had more poten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an any extract from the non-fermented RV and other ferments (RVHE-B). In the meanwhile, RVHE-A-HW potently stimulated the production of macrophage activation-related cytokines such as $TNF-{\alpha}$, IL-6 and IL-12 ($841.7{\pm}71.3pg/mL$, $3.9{\pm}0.1ng/mL$, $179.3{\pm}30.2pg/mL$) from peritoneal macrophage more than RV-A-HW ($92.5{\pm}1.5pg/mL$, $0.1{\pm}0.0ng/mL$, $37.4{\pm}5.4pg/mL$) as well as RVHE-B-HW ($557.0{\pm}21.3pg/mL$, $1.8{\pm}0.0ng/mL$, $90.0{\pm}10.0pg/mL$). However, all the EtOH extracts did not show significant activity. In addition, the RVHE-A-HW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testinal immune system modulating activity through Peyer's patch and GM-CSF production than did any other extract from RV and RVHE-B.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ermented R. volubilis with H. erinaceum mycelia possesses a possible use as an industrial application as functional food or material.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민들레잎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Taraxacum platycarpum D. Leaves Using Hericium erinaceum Mycelia)

  • 김연숙;정미연;유범석;박표잠;정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26
    • /
    • 2016
  • 본 연구는 민들레잎을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로 발효한 후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용매별 및 발효 전과 발효 후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RAW 264.7 대식세포를 이용하여 NO 생성량, 염증관련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민들레잎을 발효한 후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항염증 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NO 생성 및 iNOS 단백질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항염증 소재로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민들레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