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rmented Anchovy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2초

멸치액젓의 위생적 품질향상을 위한 감마선 조사기술 이용 (Sanita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 by Gamma Irradiation)

  • 김재현;안현주;김정옥;류기형;육홍선;이영남;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035-1041
    • /
    • 2000
  • 멸치 액젓의 새로운 위생화 방법으로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고, 산업적 생산에 응용하고자 기존의 가열살균 및 정밀여 과방법과 비교하여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감마선을 조사한 멸치 액젓은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색이 밝아지는 등 외관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저장 기간 중 pH, 염도 및 점도 등의 변화 없이 품질이 유지되었고, 색, 향, 맛 및 종합적 기호도 등 관능적 측면에서도 대조구와 가열살균 시험구에 비해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어 정밀여과 시험구와 마찬가지로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었다 감마선 조사구 중 5kGy의 선량을 적용할 때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멸치액 젓 에 감마선을 조사함으로써 가열살균 및 정밀여과 방법과 비교할 때 품질의 변화 없이 우수한 멸치 액젓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산업적 대규모 생산에 새로운 위생화 기술로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멸치 어간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HTP-8 이 생산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HTP-8 Isolated from Korean Fermented Anchovy Sauce.)

  • 임형택;정순경;김기남;하정욱;백현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6-32
    • /
    • 2002
  • 저염상태에서 속성 발효를 통한 멸치 어간장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시중 어간장에서 단백질 분해효소 생산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동정하여, B. amyloliquefaciens HTP-8로 명명하였다. 효소생산을 위한 배양 최적온도, 초기 pH, 그리고 배양시간은 각각 $30^{\circ}C$, pH 7.0과 3일이었다. Jar fermenter 배양시 pH를 7.0으로. 조절한 경우가 조절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효소활성이 최대에 이르는 시간이 단축되었다. 효소의 부분정제는 조효소액을 80% ammonium sulfate에 의한 염석과 CM-Sephadex C-50을 이용하여 정제한 결과, 수율이 0.4%, 정제배수가 43.0배였다. 정제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pH 10.0과 $50^{\circ}C$였으며, pH 7.0~l2.0의 pH 범위와 $40^{\circ}$ 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 중 $Ag^{+}$ /, $Ba^{2+}$ /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한편, 본 효소는 PMSF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활성이 억제됨으로써 활성부위에 serine을 가진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산 시판 멸치(Engraulis japonicas) 액젓의 품질평가 (The Quality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s Sauces Produced in Korea)

  • 엄인선;서정길;김희대;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67-672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of 12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Engraulis japonicas sauces by measur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s, bacteria concentra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The sauces had a moisture content of 67.13-69.83% (mean: 68.17%), salinity of 20.00-25.84% (mean: 22.29%), pH of 5.14-6.28 (mean: 5.63),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of 119.12-273.37 mg/100 g (mean: 199.19 mg/100 g), total nitrogen content of 0.82-1.50% (mean: 1.30%) and amino nitrogen content of 550.17-1,086.62 mg/100 g (mean: 774.99 mg/100 g). The viable cell counts ranged from not detected to $1.6{\times}10^3CFU/mL$, and the number of biogenic amine-forming bacteria was very low or undetectable. The tested samples contained 372.32-2,111,61 mg/kg (mean 813.48 mg/kg) histamine, 29.62-144.29 mg/kg (mean 98.14 mg/kg) cadaverine, 87.89-530.84 mg/kg (mean 329.91 mg/kg) tryptamine, 20.89-127.17 mg/kg (mean 60.49 mg/kg) putrescine, and 13.08-109.91 mg/kg (mean 57.74 mg/kg) tyramine. Whereas no spermidine or spermine was detected in any sampl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necessary of monitoring the biogenic amine contents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sauces carefully to ensure consumer health.

수산발효식품 중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제의 특성 -1. 멸치젓갈 중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rived from Fermented Fish Product -1. Characteristics of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rived from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 김선봉;이태기;박영범;염동민;김외경;변한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1-329
    • /
    • 1993
  • 수산자원의 기능특성 해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전통수산발효식품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멸치젓갈에 함유되어 있는 angiotensin-I 전환효소저해물질을 추출하여 gel 여과에 의하여 분리된 획분들의 작용 및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ACE 저해물질의 추출 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장 높은 ACE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숙성 60일차의 멸치젓갈을 ethanol 및 acetone의 농도를 각각 10, 25, 50 및 $80\%$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 ethanol 농도가 $50\%$인 획분이 가장 우수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2. 멸치젓갈 숙성중 시료액의 $50\%$ ethanol 가용성 peptide-nitrogen 함량 및 ACE 저해효과는 아미노 질소 함량이 최고치에 달하는 숙성 60일차에 최대값을 나타내다가 그 후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Gel 여과에 의한 멸치젓갈의 획분별 ACE 저해효과를 검토한 결과, 획분 C 및 D가 가장 높은 ACE 저해작용을 나타내어 이들을 rechromatography하여 분리한 단일 획분인 C'와 D'획분의 $IC_{50}$은 각각 97, $65{\mu}g$로 나타났다. 4. 분리한 단일 획분인 C'와 D'획분의 아미노산 조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C'획분은 threonine, glutamic acid 및 lysine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D'획분은 serine과 proline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김치 및 젓갈류의 인공소화시 N-Nitrosamine의 생성 (The Formation of N-Nitrosamine in Kimchi and Salt-fermented Fish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 김경란;신정혜;이수정;강현희;김형식;성낙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4-100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애용되고 있는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와 젓갈류 중의 NA와 전구물질의 함량을 분석하고 인공타액 및 위액을 혼합하여 in vitro상에서 소화시킴에 따라 이들 식품의 섭취 후 체내에서 생성될 수 있는 NA의 함량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질산염은 김치에서 10.7~24 mg/kg, 멸치젓에서 1.5~5.6 mg/kg, 새우젓에서 1.0~2.0 mg/kg 아질산염은 모든 시료에서 평균 0.3 mg/kg이 검출되었다. DMA는 새우젓에서 함량차가 매우 커 30.3~177.9 mg/kg의 범위였고, TMA는 김치에서 0.6~0.8 mg/kg, 멸치젓에서 1.9~2.8 mg/kg, 새우젓에서는 4.4~2l.3 mg/kg으로 정량되었다. NA를 분석한 결과 NDMA가 김치에서 0.8~6.9 $\mu\textrm{g}$/kg, 멸치젓에서 불검출~l.2 $\mu\textrm{g}$/kg, 새우젓에서는 불검출~0.9 $\mu\textr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고, 인공소화시킨 후에는 모든 시료에서 약 1.5배 증가하였다. 각 시료에 아질산염을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경우 모든 시료에서 무첨가군에 비하여 아질산염의 농도에 비례하여 NDMA의 생성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새우젓에서는 8mM의 아질산염 첨가시 NDMA는 183배 증가하여 220.9 $\mu\textrm{g}$/kg이 검출되었다. 인공타액에 thiocyanate를 1.6, 3.2, 6.4mM 농도로 가하여 인공소화시킨 결과 무첨가구에 비해 NDMA생성량은 약 1.5배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인공소화시킬 경우 NDMA생성량은 아스코르브산의 농도와 반비례하였고 12.8 mM첨가시 김치는 92.4% 멸치젓과 새우젓은 각각 50.0%, 82.46%의 생성억제 효과가 있었다.

김치 숙성중 니트로스아민의 생성에 대한 주원료 및 젓갈의 영향 (Effects of Main Raw Material and Jeot-Kal (Fermented Fish Sauce) on Formation of N-nitrosamine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신효선;김준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3-339
    • /
    • 1997
  • The effects of kind of vegetables and of the kind and amounts of fermented fish sauce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 (NA) during kimchi fermentation were investigated. Kimchies made of Chinese cabbage, cucumber, and radish with fermented shrimp, anchovy and liquid sauces were fermented at 4$^{\circ}C$ for 6 weeks and the changes in the content of nitrate, nitrite, trimethylamine (TMA), dimethylamine (DMA) and NA were studied. Nitrate content in kimchies made of Chinese cabbage, cucumber, and radish increased at the initial period of fermentation, but it decreased at the later period. Nitrite was not detected at the later period of kimchi fermentation. Overall, there have not been great changes in the contents of nitrite and nitrate. However, there have been considrable changes in the contents of TMA and DMA as fermentation progressed. Only nitrosodimethylamine (NDMA) at the level of 0.5~10.3 $\mu\textrm{g}$/kg was formed in three kinds of kimchies. More NDMA was formed in radish and cucumber kimchies than in Chinese cabbage kimchi. The pH was lowered faster in radish and cucumber kimchies than in Chinese cabbage kimchi. More NDMA was formed in Chinese cabbage kimchi made with fermented shrimp sauce than those with anchovy or liquid sauces. Shrimp sauce contained higher amount of DAM than anchovy and liquid sauces. The contents of NDMA tend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shrimp sauce increased. The kind and amount of fermented fish sauce used for kimchi preparation may be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formation of NDMA.

  • PDF

멸치젓 숙성중 아질산염과 아스코르브산이 N-Nitrosamine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itrite and Ascorbic Acid on N-Nitrosamine Formation during Fermentation of Salted Anchovy)

  • 김정균;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06-613
    • /
    • 1997
  • 멸치에 일정량의 식염,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아스코르브산을 첨가하여 숙성시키면서, NA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담금직 후 7.1에서 숙성 110일 후 5.5로 산성화되었다. TMAO 질소는 숙성 중 감소한 반면, TMA 및 DMA질소는 증가하였다. 아질산염 첨가구는 숙성 중 NDMA 함랑이 증가하였고, 아스코르브산 첨가구는 NDMA 생성이 억제되었다. 모델계 실험 결과, 멸치젓의 니트로소화 최적 pH는 3.8이었고, 아스코르브산은 NDMA생성을 크게 억제시킨 반면 thiocyanate는 촉진시켰다. 본 실험 결 과, 멸치젓 자체에는 NDMA가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질산염이나 아질산염의 함량이 많은 물질과 함께 섭취된다면 위내에서 NDMA가 생성될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Koji를 이용한 멸치젓 숙성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Low-Salt-Fermented Anchovy Paste by Adding Koji)

  • Yong-Jun Cha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81-489
    • /
    • 1994
  • Koji를 첨가한 저식염 멸치젖의 숙성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대조구와 분석 비교하였다. 총 106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에서 79개의 화합물은 표준품으로 확인 동정되었다. 이들은 주로 alde-hyde, ketone, alcohol, ester, aromatic hydrocarbon, furan 및 nitrogen-containing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숙성 중 두시료에서 aldehyde 및 ester류의 화합물의 종류와 함량이 가장 많았다. 특히 koji를 첨가한 멸치젓에서는 대조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2,6-dimethylpyrazine, 2-ethyl-6-methylpyrazine, trimethylpyrazine, 2-ethyl-3,5-dimethylpyrazine 및 tetramethylpyrazine 2-phenylethanol도 검출되었다.

  • PDF

Characterization of Biogenic Amine-Producing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Myeolchi-Jeot, Korean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 Mah, Jae-Hyung;Ahn, Jun-Bae;Park, Jong-Hyun;Sung, Ha-Chin;Hwang, Han-J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692-699
    • /
    • 2003
  •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states of Myeolchi-jeot, a Korean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were investigated during 20 days of storage at $4^{\circ}C,\;15^{\circ}C,\;and\;30^{\circ}C$. A total of 314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Myeolchi-jeot samples at different time intervals were identified, and their abilities to produce biogenic amines were determined by both decarboxylating agar media and HPLC analysis. The salinity and water activity of Myeolchi-jeot changed little, while the pH increased slightly over 20 days at the tested temperatures. A significant increase of total plate count was observed in the sample stored at $30^{\circ}C$. Staphylococcus spp. were dominant in Myeolchi-jeot, and its amine productivity was very weak. Bacillus spp. appeared increasingly with the progress of storage at all temperatures tested, and the increase was considerably dependent on the increase of storage temperature. Also, 58-73%, 83-90%, 81-90%, and 83-93% of Bacillus strains had the ability to produce histamine, tyramine, putrescine, and cadaverine, respectively. Therefore, the main amine producer in Myeolchi-jeot stored for a long period seems to be the genus Bacillus, especially B. licheniformis.

한국산 멸치젓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Korean Salt-Fermented Anchovy)

  • 차용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19-724
    • /
    • 1992
  • 한국산 멸치젓의 휘발성 성분을 SDE/GC/MSD로 분석한 결과 총 73개의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aldehyde류(17종), ketone류(10종), alcohol류(12종), N-함유 화합물류(8종), ester류(7종), S-함유 화합물류(5종), furan류(5종) 및 alkane류를 포함한 9종의 기타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중 58종의 화합물은 표준품과의 Rl로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는 database에 의한 PBM search로서 잠정적으로 동정되었다. 함량면에서는 aldehyde류가 가장 많았고 다으으로 alcohol류, furan류, ester류, ketone류 순이였다. 특히 3-methylbutanal, 1-penten-3-ol, ehtylacetate, 2-ethylfuran 등의 화합물의 함량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