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narimol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7초

경기 지역 오이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sca)의 살균제 저항성 검정 (Screening of Fungicide Resistance of Cucumber Powdery Mildew Pathogen, Sphaerotheca fusca in Gyeonggi Province)

  • 김진영;홍순성;임재욱;박경열;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95-101
    • /
    • 2008
  • 오이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시험조건을 설정하고, 경기지역 오이 주산단지에서 분리한 흰가루병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 정도와 흰가루병 방제농약의 서로 다른 계통별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해 시험 약제를 농도별로 오이 잎에 살포한 잎 디스크 위에 채집한 병원균을 접종 배양하여 $7{\sim}9$일 후에 현미경을 이용, 발병도를 조사하였다. difenoconazole에 대한 약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평택 분리주들은 대체로 중도저항성이었으나, 2005년 오산에서 분리한 2개 균주들은 $300{\mu}g/ml$ 농도에서도 발병도가 높게 나타나 저항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fenarimol에 대한 약제 감수성 정도는 평택, 오산, 용인 3지역이 대체적으로 중도저항성 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오산에서 분리한 1개 분리주에서 $300{\mu}g/ml$에서도 발병하여 저항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strobilurin 계통 농약에 대해서는 대부분 저항성으로 나타났으며, $1,000{\mu}g/ml$$2,000{\mu}g/ml$에서도 발병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kresoximmethyl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carbendazim에 대한 흰가루병 채집 균주의 감수성은 $1,200{\mu}g/ml$에서도 발병하여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약제 계통별 오이 흰가루병 포장 시험 결과 잎 디스크시험에서 저항성을 보인 strobilurin 계통의 농약에 대한 방제가는 azoxystrobin이 41.2%, kresoxim-methyl이 29.6%의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금후 사용량을 줄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상추출카트리지를 이용한 잔류농약 다중분석과정에서 정제용매에 따른 회수율 비교 (Efficiency of Eluting Solvents for Solid-Phase Extraction During Multiresidue Analysis of 16 Pesticides in Cucumber)

  • 두옥주;김경식;정의근;김진곤;김명희;정보경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0-95
    • /
    • 2002
  • 채소류 중 비교적 matrix효과가 적고, 수분 함량이 적절하여 회수율이 양호한 오이를 대상으로 하여 총 16종의 농약성분을 A, B 두 group으로 나누어, 농약의 동시 다성분 분석의 전처리 과정 중 정제에 사용하는 용출용매로서 5%$\sim$20%의 acetone/hexane과 5%$\sim$2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각각의 회수율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Acetone/hexane을 사용한 경우 5% acetone에서 총 16종의 농약 성분 중 ethalfluralin, trifluralin, chlorothalonil 등 11종의 농약은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나, alachlor와 iprodione, endosulfan sulfate, bifenthrin, fenarimol은 매우 낮은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10% 이상의 acetone/hexane에서는 bifenthrin과 fenarimol을 제외한 14종의 농약에서 높은 회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bifenthrin은 20%의 acetone/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용출되지 않았고, fenarimol은 10% 이하의 acetone/hexane을 사용하였을 때는 낮은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총 16종의 농약 성분의 회수율 분석을 한 결과, 5% ethyl acetate에서 ethalfluralin,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A group), vinclozolin, tetradifon, cypermethrin fenvalerate (B group)에서만 70%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다. 1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는 trifluralin, chlorothalonil, $\alpha$-endosulfan, $\beta$-endosulfan, endosulfan sulfate(A group), vinclozolin, procymidone, tetradifon cypermethrin, 그리고 fenvalerate(B group)에서는 70%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고, 2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는 5%나 10%의 ethyl acetate/hexane을 사용하여 분석했을 때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어 전체 16종의 농약 중 14종에서 75% 이상의 회수율을 얻었으나, alachlor와 bifenthrin은 매우 낮은 회수율을 보여서 ethyl acetate와 hexane의 혼합용매가 이들 두 농약성분의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은 용출 용매임을 알 수 있었다.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우수한 계면활성제 (Surfactants Effective to the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 유주현;최경자;임희경;김흥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4호
    • /
    • pp.195-199
    • /
    • 2009
  • 현재 산업적으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온실 내에서 자연적으로 흰가루병 발생을 유도한 성체 오이에 분무 살포한 후 병 방제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약해 유발이 없으면서 병 방제 효과가 우수한 계면활성제를 선발하였다. 이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DBEDC 희석액과 혼합처리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력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합제개발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시험한 20종의 계면활성제 중에서 pentaet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 pentaethylene glycol monodecyl ether와 pentaethylene monododecyl ether의 혼합물 및 pentaethylene glycol mono-9-octadecenyl ether 등이 약해를 거의 유발하지 않으면서 흰가루병에 대한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는데, 그 효과는 fenarimol 유제보다 우수하거나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penta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는 예방효과가 우수한 DBEDC와 혼합처리 하였을 때 서로 상가적으로 작용하여 현저하게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사과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의 각종(各種) 살균제(殺菌劑)에 대한 교차내성(交差耐性) (Cross-tolerance of Alternaria mali to Various Fungicides)

  • 이창은;김기홍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1-78
    • /
    • 1986
  • 사과 반점낙엽병균(斑點落葉病菌) Alternaria mali의 단포자분리(單胞子分離) 1,200균주(菌株)는 captafol, chlorothalonil 및 folpet 100,000 ${\mu}g/ml$에서 각각 76, 96, 및 15% 그리고 iprodione및 polyoxin 10,000 ${\mu}g/ml$에서 5 및 3%의 균사생장(菌絲生長)을 보였다. 이들 내균성(耐菌性)은 상기(上記) 살균제간(殺菌劑間) 그리고 captan, garbenda, 및 thiophanate methyl에 대하여서도 균사생장(菌絲生長) 교차내성(交差耐性) 또는 포자형성(胞子形成) 교차내성(交差耐性)이 높았다. captafol, mancozeb, polydong 및 propineb는 농가사용권장농도 이하(以下)인 100 ${\mu}g/ml$에서도 포자발아(胞子發芽) 억제효과(抑制效果)가 거의 완전하여 포자발아(胞子發芽) 교차내성(交差耐性)을 보이지 않았다. benomyl, fenarimol, oxidong, 및 triademefon을 중도(中度)의 균사생장(菌絲生長), 포자형성(胞子形成) 또는 포자발아(胞子發芽) 교차내성(交差耐性)을 보였다.

  • PDF

석조문화재 및 식물 착생 지의류의 화학적 방제를 위한 살균제 선발 (Selection of Fungicide Against Lichen-forming Fungi for the Chemical Control of Lichen Colonization on Stone Heritages and Plants)

  • 김정아;정민혜;전해숙;고영진;허재선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1-265
    • /
    • 2010
  • 균류(fungi)와 조류(algae)의 공생체인 지의류는 국보급을 포함한 주요 석조문화재뿐 만 아니라 고가의 조경수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고 있어, 이들 지의류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하여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살균제 다섯 종에 대한 암석서식 지의류(Caloplaca sp., Ramallina sp., Xanthoparmelia sp., and Xanthoria sp.)와 나무서식 지의류{Parmelia sp.)에서 순수 분리한 지의류 형성곰팡이7 균주에 대하여 감수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Fenarimol EC, Etridiazole EC, Iminoctadinetriacetate SL, Difenoconazole+Iminocatadinetriacetate ME and Difenoconazole+Azoxystrobin SC를 순수 분리된 지의류 형성곰팡이의 생장억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 살균제의 사용 권장량의 1%, 10% 그리고 20% 농도로 조성된 malt-yeast extract (MY) 배지를 이용하여 생장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암 상태 $15^{\circ}C$ 배양기에서 7주 동안 배양한 결과, Difenoconazole+Iminocatadinetriacetat ME와 Difenoconazole+Azoxystrobin SC의 경우, 1% 농도에서도 모든 지의류 형성곰팡이의 생장을 완전하게 억제하였다. Etridiazole EC의 경우 다른 살균제에 비해 낮은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Fenarimol EC와 Iminoctadinetriacetate SL의 경우 고농도(20%)에서 지의류 형성 곰팡이의 생장 억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Difenoconazole+Iminocatadinetriacetat ME와 Difenoconazol+Azoxystrobin SC가 석조유물이나 식물에 부착되어 살아가는 지의류에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고가의 수목 및 문화재급 석조유물에 부착하여 피해를 유발하는 지의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1%의 Difenoconazole+Iminocatadinetriacetat ME와 Difenoconazole+Azoxystrobin SC만으로 가능하다고 판단 되었다.

Synthesis and SAR of Methoxyiminoacetate and Methoxyiminoacetamide Derivatives as Strobilurin Analogues

  • Hwang, In-Cheon;Kim, Joo-Kyung;Kim, Hyung-Ho;Kyung, Suk-H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0권7호
    • /
    • pp.1475-1480
    • /
    • 2009
  • Methoxyiminoacetate and methoxyiminoacetamide derivatives possessing 2,2-dichlorovinyl side chains, have been synthesized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against six representative plant fungal pathogens have been evaluated. Five substances in this series (3a, 4a, 3b, 3d, and 4d) were found to exhibit potent fungicidal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of the commercially available fungicides, azoxystrobin and fenarimol.

Avoidance Behavior of Honey bee, Apis mellifera from Commonly used Fungicides, Acaricides and Insecticides in Apple Orchards

  • Kang, Moonsu;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5-302
    • /
    • 2017
  • Avoidance behavior is an important life history strategy to survive hazardous environ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avoidance tendency of the honeybee Apis mellifera against commonly used pesticides in apple production. Choice test given only 50% sucrose solution and pesticide-mixed sucrose solution as food estimated the avoidance in laboratory. Most of the acaricides and fungicides tested were shown avoided. Among insecticides, honeybee showed strong avoidance to cyhexatine, carbosulfan and fenpyroximate but low to diflubenzuron, tebufenpyrad, and acrinathrin. Avoidance behavior to neonicotinoid insecticides showed bifurcated; highly avoided from thiacloprid, acetamiprid while less avoided from imidacloprid, thiamethoxam and dinotefuran. From the field study, abamectin, fenthion, amitraz and acequinocyl showed highly avoided while fungicide of fenarimol, acaricides of acrinathrin and phosphamidon, IGR insecticide of diflubenzuron, neonicotinoid insecticide of imidacloprid, and carbamate insecticide of carbaryl showed less avoidance in the field. These results partly explained high bee poisoning from carbaryl in apple flowering period, and neonicotinoids during season.

시중 유통 과채류 중의 잔류농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Fruits & Vegetables)

  • 김영국;임태곤;박상수;허남칠;홍석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63-771
    • /
    • 2000
  • 1999년도 2월부터 9월까지 광주 시내 백화점 및 마트 등지에서 유통되고 있는 과채류 12종, 총 289건에 대한 88종 농약의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289건의 과채류중 21.1%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5.2%가 잔류 농약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부적합율이 높았던 과채류는 깻잎, 상추, 시금치, 치커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채류에 사용빈도가 높았던 농약은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빈클로졸린, 클로로피리포스, 싸이퍼메쓰린, 피리미포스메칠, 펜발러레이트, 페나리몰, 모노크로토포스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성분은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엔도설판, 피리미포스메칠, 페나리몰, 모노크로토포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깻잎, 상추, 시금치, 딸기 및 방울토마토 등과 같은 과채류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되는 프로시미돈 및 빈클로졸린 농약 등의 제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8가지 세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들 세정 방법을 비교한 결과 초음파 세정법이 프로시미돈 및 빈클로졸린 농약의 제거에 가장 효과적 이었다.

  • PDF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ha)에 대한 몇가지 농약의 선택독성 (Toxicity of Some Pesticides to Twospotted Spider Mite (Acari: Tetranychidae) and its Predator Amblyseius womersleyi (Acari; Phytoseiidae))

  • C. G. Park;J. K. Yoo;J. O.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2-237
    • /
    • 1996
  • 사과원에서 사용되는 살비제 5종, 살충제 4종, 살균제 6종올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상대독성을 엽침지법으로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Dicofol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며, 이들의 난에 대해서도 각각 46%와 40%의 致死效果가 있었다. Abamectin 용액에 침지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의 사망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점박이응애의 암컷성충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다. Tetradifon, Clofentezine, Hexythiazox등 3종의 살란성 살비제는 점박이 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90%이상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Teflubenzuron, Triflumuron, Diflubenzuron, lmidacloprid 등 4종의 살충제와 Propineb, Fenarimol, Polyoxin-B.captan 등 3종의 살균제는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에 대해 살비효과가 없었으며, Chlorothalonil, Nuarimol . Mancozeb, Folpet 등 3종의 살균제도 23% 이하의 낮은 살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긴털이리응애 난이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는 4종의 살충제와 4종의 살비제 및 6종의 살균제는 사과원 병해충 종합관리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다양한 살균제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 (In Vivo Antifungal Activities of Various Fungicides against Plamodiophora brassicae)

  • 장경수;김진철;임희경;조광연;최경자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22-428
    • /
    • 2005
  • 배추 유묘를 Plasmodiophora brassicae 오염토에 이식하고 약제 용액을 폿트(35 $cm^2$)에 관주처리 하는 방법으로 기존 살균제 44종의 배추 뿌리혹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험하였다. 뿌리혹병 방제용 살균제인 fluazinam, flusulfamide 및 cyazofamid는 폿트 당 0.63 mg 처리구에서 모두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난균류 병해 살균제인 ethaboxam과 cymoxanil은 폿트 당 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완전히 방제하였다. 그러나 cymoxanil은 고농도 처리에서 배추에 심한 약해를 유발하였다. 잿빛곰팡이병 방제용 살균제인 dichlofluanid와 procymidone도 폿트 당 2.5 mg 처리 시에 배추 뿌리혹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였다. 광범위살균제인 chlorothalonil, quintozene과 trichlamide도 2.5 mg 처리 시에 각각 85%, 100%, 100%의 방제가를 나타냈다.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는 대부분 배추 뿌리혹병에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나, 이들은 배추 유묘의 생육을 억제하는 약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선발된 7종 살균제의 배추 뿌리혹병 방제효과를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이들 중 ethaboxam은 가장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fenarimol, pocymidone, nuarimol, chlorothalonil 순으로 우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