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edback usability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6초

시각장애인용 음성합성기에 대한 장/단기 사용성 평가 (A Short-term and Long-term Usability Testing of the Speech Synthesizer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이희연;홍기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3-60
    • /
    • 2015
  •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인 스크린리더용 음성합성기의 장기 및 단기 사용성 평가에 대한 것이다. 총 20명의 시각장애인이 단기 사용성 평가에 참가하였고, 그 중 10명이 장기 사용성 평가에도 참여하였다. Mean Opinion Score(MOS)를 통해 합성음 음색의 자연성과 명료성 등을 살펴보았고, 순위조사를 통해 음색의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자유 피드백을 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와 기타 요구사항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장기 사용성 평가를 통해 합성음의 장시간 청취 시 자연성, 명료성, 선호도, 귀의 피로도 등을 조사하여 단기 사용성 평가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에서의 몰입감에 대한 사용성 평가 (Usability test about immersion in the Augmented Reality based Product Design)

  • 하태진;장윤제;우운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118-12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 기반 제품 디자인 시, 논문 [1]에서 제안된 몰입감 향상 기법들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사용자에게 다차원 피드백(multimodal feedback)을 제공하는 것이 몰입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본다. 우선 기존의 데스크톱 기반의 디자인 환경과 다차원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는 증강현실 기반 디자인 환경과의 비교 후, 시각 피드백에 대한 사용성 평가로써 증강된 가상객체에 의해 가려진 손을 다시 보이게 함으로 얻게 되는 실재감 향상 정도와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컨텐츠의 시각적 맵핑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또한 청각 피드백에 대한 평가 기준으로써 시나리오 상의 상황에 따른 배경음/효과음 맵핑의 몰입감과 적절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촉각 피드백에 대한 평가로써, 물리적인 감각형 객체에 가상객체를 정합함으로써 얻게 되는 촉감과 시나리오 상의 이벤트에 따라 제시되는 진동-촉각 피드백에 의한 몰입감 향상 정도를 평가한다. 제시된 사용성 평가의 결과는 기존의 증강현실 기반 디자인 시스템의 몰입감을 향상 시키기 위한 구현에 있어, 고려될 수 있는 사항으로써 의미가 있다.

  • PDF

국내외 행정기관 웹사이트 사용성과 접근성 비교 연구;미국, 영국, 한국,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 이주영;문형남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421-426
    • /
    • 2007
  • This study considered the most crucial elements in websites as web usability and web accessibility. The web usability signified the empirical satisfaction of ordinary users on websites and how much they used the relevant websites conveniently and accurately, while the web accessibility signified the technical support that could have an easy access to web contents and the principles of cognitive aspects, by considering the users such as those who have been alienated from information. Even if the people were given lots of beneficial information, the websites would be useless if their usability and accessibility were not considered. It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the information gap by letting any users (the physically challenged, the elderly, etc.) give an access to every information without any professional abilities and to provide the efficient websites corresponding to the embodiment goal of e-government through rapidity and accuracy of contents and the feedback for systematic structure and people's demand.

  • PDF

루미노 햅틱 디바이스의 색상 사용성 연구 (A Study on the Color Usability of Lumino Haptic Device)

  • 이상진;김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1-26
    • /
    • 2012
  • 햅틱 장치는 기존 장치대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며 직관적 조작이 가능한 인간-기계 교류 장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햅틱 장치의 색상을 독립적인 설계 변수로 고려한 설계 인자의 운전자 반응을 정의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촉각 피드백을 이용한 햅틱 장치의 인지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차량용햅틱 장치에 색상 피드백을 더한 루미노 햅틱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성 분석을 통하여 운전자가 갖는 햅틱 디바이스에 대한 감성분석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운전자를 만족시키는 설계 방향의 제안이 가능하였다.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in Digital Library Website)

  • 이응봉;이주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29-15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국내·국외에서 수행된 주요 웹사이트의 사용성 평가와 관련된 연구에 적용된 기준을 비교${\cdot}$분석하여, 우리나라 디지털도서관의 웹사이트 평가에 적용 가능한 일반적인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이용자 서비스의 품질향상을 통한 효율적인 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사용성 평가기준은 서로 다른 수많은 특성과 목적을 가지고 운영되는 웹사이트에 일률적으로 적용되어질 수는 없다. 적용대상에 따라 평가 기준이 달라지거나 최소한 각 평각기준의 비중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의 경우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해당 분야별로 특성에 따른 웹사이트가 구축되어진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디지털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기준(안)은 일반적으로 준수해야 할 항목에서의 기준이라 할 수 있다.

차량용 햅틱 디바이스의 다감각 사용성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Multi-sensory Usability Evaluation of Haptic Device in Vehicle)

  • 김현석;이상진;김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4968-4974
    • /
    • 2012
  • 햅틱 장치는 기존 장치대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며 직관적 조작이 가능한 인간-기계 교류 장치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기존의 촉각 피드백만을 이용한 차량용 햅틱 장치의 인지능력을 향상 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촉각 피드백만을 이용한 차량용 햅틱 장치에 청각 피드백을 더한 다감각 피드백을 이용하여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감성 분석을 통해서는 운전자가 갖는 햅틱 장치에 대한 감성분석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들로부터 햅틱 장치의 구현에 필요한 몇 가지 고려사항과 방향을 제공하고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운전자를 만족시키는 설계 방향의 제안이 가능하였다.

척추재활운동을 위한 디지털 압력바이오피드백 장치의 사용성 평가 (Usability Testing of Digital Pressure Bio-feedback for Spinal Rehabilitation Exercise)

  • 김태호;오도봉;김다연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19-126
    • /
    • 2017
  • 임상현장에서 압력 바이오피드백 장치는 요통 환자들의 척추재활운동에 사용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신체의 움직임과 균형을 센싱하고 모니터링하여 사용자에게 바이오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척추재활운동시 실시간으로 정확한 운동방법과 자세를 제공하는 디지털화된 압력 바이오피드백 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후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여 안전성, 수행성, 조작성, 만족성 등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33명으로 전문가 평가 집단 11명, 사용자 평가 집단 22명으로 실제 개발된 장비를 사용 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사용자 집단에서는 안전성 3.59점, 조작성 4.38점, 만족성 4.49점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 집단에서는 안전성 2.86점, 조작성 3.91점, 수행성 4.28점으로 나타났다. 본 사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태블릿PC 거치대의 안정성 문제, 공기주입, 화면 표시 등의 문제점을 개선한다면 척추안정화 운동을 하면서 실시간 자신의 운동상태를 확인하여 정확한 운동과 기능 평가가 가능한 운동장치가 될 것이다.

Development of Evaluation Perspective and Criteria for the DataON Platform

  • Kim, Sunta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68-78
    • /
    • 2020
  •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to develop an evaluation framework necessary for evaluating the DataON platform. The first objective is to examine expert perceptions of the level of DataON platform construction. The second objective is to evaluate the importance, stability, and usability of DataON platform features over OpenAIRE features. The third objective is to derive weights from the evaluation perspective for future DataON platform evaluation. The fourth objective is to examine the preferences of experts in each evaluation perspective and to derive unbiased evaluation criteria. This study used a survey method for potential stakeholders of the DataON platform. The survey included 12 professionals with at least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The 57 overall functions and services were measured at 3.1 out of 5 for importance. Stability was -0.07 point and usability was measured as -0.05 point. The 42 features and services scored 3.04 points in importance. Stability was -0.58 points and usability was -0.51 points. In particular, the stability and usability scores of the 42 functions and services provided as of 2018 were higher than the total functions were, which is attributed to the stable and user-friendly improvement after development. In terms of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point, the collection quality has the highest weight of 27%. Interface usability is then weighted 22%. Subsequently, service quality is weighted 19%, and finally system performance efficiency and user feedback solicitation are equally weighted 16%.

모바일 병원정보시스템 사용성에 대한 실증연구 (A Case Study of a Mobil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ability)

  • 안명진;양준영;류효선;박찬석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7-112
    • /
    • 2013
  • This study is a proposal of quality scale and measurement for the Mobil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ability used to th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Daejeon Korea. This study is to provide decision- making guideline for hospital managers and to provide feedback for the users' information needs in Mobil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e target people of the study were medical doctors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ervice contexts of usability were request of medical Care, Vital sign check of Patient, Care Agreement of Patient, Blood management, Check of care state, Sign of choice doctors, Query of doctor order and patient measurement result. The Usability factors were the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quality model ISO9241-11. This study shows that the Mobile HIS is used for the communication and educa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s. Especially, The Care Agreement of Patient is a part of the most utilized in the Mobile HIS.

  • PDF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의 사용자 리뷰 분석 (Analysis of User Reviews of Electric Kickboard Sharing Service Using Topic Modeling )

  • 이정승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1권1호
    • /
    • pp.163-175
    • /
    • 2024
  • This study conducts topic modeling analysis on four electric scooter sharing platforms: Alpaca, SingSing, Kickgoing, and Beam. Using user review data, the study aims to identify key topics and issues associated with each platform, as well as uncover common themes across platforms. The analysis reveals that users primarily express concerns and preferences related to application usability, service mobility, and parking/accessibility. Additionally, each platform exhib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Alpaca users generally appreciate convenience and enjoyment but express concerns about safety and service areas. SingSing faces issues with application functionality, while Kickgoing users encounter connectivity problems and device usability issues. Beam receives overall positive feedback, but users express dissatisfaction with application usability and parking. Based on these findings, scooter sharing service providers should focus on enhancing application features, stability, and expanding service coverage to meet user expectations and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highlighting platform-specific strengths and providing tailored services can enhance competitiveness and foster continuous service growth and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