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eature combination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27초

문자 별 특징 모델을 이용한 한글 문서 영상에서 키워드 검색 (Keyword Spotting on Hangul Document Images Using Character Feature Models)

  • 박상철;김수형;최덕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5호
    • /
    • pp.521-52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저 품질의 한글 문서 영상에서 OCR 기반 검색 시스템의 대안으로 키워드 검출 시스템(Keyword Spotting)을 제안하고 OCR 기반 문서 검색 시스템과 비교한다. 제안 시스템은 문자 분할, 키워드 특징 추출 그리고 단어 매칭으로 구성된다. 문자 분할 단계에서는 인접한 두 문자간의 연결을 효과적으로 분리하면서 문자 넓이 값의 분산이 최소가 되도록 하는 문자 분할 방법을 제안한다. 키워드 특징은 서체별 문자 모델의 결합으로 구성한다. 단어 매칭 단계에서는 문자 매칭에 기반한 단어 대 단어 매칭 방법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키워드 검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한글 문서 영상을 대상으로 OCR 기반 문서 검색 시스템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글 글자 크기가 작고 문서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제안한 키워드 검출 시스템에 의한 검색 성능이 OCR 기반 검색 시스템 보다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멀티 신호를 이용한 환경 인식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Environment Recognition using Multimodal Signal)

  • 박준규;백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7-3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9가지 환경에서 마이크로폰과 자이로센서,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얻은 데이터를 특징 추출한 후 각 특징들을 조합하여 GMM (Gaussian Mixture Model)을 이용한 분류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주로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환경음 데이터를 통해 인식주체의 환경 상황을 인식하고자 하였으나, 여러 노이즈들이 결합한 형태로 좋은 특징을 얻기 어려운 환경음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그 인식 성능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경상황을 인식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인식주체의 움직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의 데이터를 특징에 추가 적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 따르면 마이크로폰을 통해 얻은 환경음의 특징만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식들에 비해 가속도센서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기존의 환경음 특징벡터와 조합한 경우에서 5% 이상 평균 인식률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내공간에 사용되는 재활용 신재료의 소재 및 가공방법 연구 (A Study on the Base Material Specific and Processing Methods of Recycled New Materials in Space)

  • 서지은;정희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22-30
    • /
    • 2012
  • Nowadays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logical destruction is not a simple issue but an important issue to be continuously considered. It is deemed that a study for recycled new materials is immediately required and this study is to analyze features and processing methods of new materials which can be used to interior space. We found the recycled new materials used for space through researching various web sits. And then we analyzed what the base materials are and classified that base materials are whether natural or artificial of the recycled materials. We classified processing methods of the recycled new materials after researching general processing method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an important material to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ew finishing materials with consideration of environment and to the research for a guideline of applicable new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e could classify widely 2 categories into natural material and artificial material and then 10 subcategories into metal, glass, wood, rubber, stone, plastic, leather or fabric, ceramic, concrete and so on, and analyzed that which material is mostly used and whether it is single material or multiple material. In order to analyze the feature of processing method. Second, we could classify into 4 categories such as junction, surface process, molding, and insert, and found out which processing method is applied based on objects of research. Third, as an analysis result of the recycled new material feature, in order to develop various new materials, it is required to study on combination and application of 2 materials or more rather than single material. Four, as a analysis result of the processing method featur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cessing methods are requir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grope for a way to develop new functional materials for interior space through a systemic research and analysis of processing method of other fields. Furthermore, a way to reuse recycled new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in a stage of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processing method.

  • PDF

채널 강조와 공간 강조의 결합을 이용한 딥 러닝 기반의 초해상도 방법 (Deep Learning-based Super Resolution Method Using Combination of Channel Attention and Spatial Attention)

  • 이동우;이상훈;한현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5-22
    • /
    • 2020
  • 본 논문은 채널 강조(Channel Attentin)와 공간 강조(Spatial Attention) 방법을 결합한 딥 러닝 기반의 초해상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초해상도 과정에서 질감, 특징과 같은 주변 픽셀의 변화량이 큰 고주파 성분의 복원이 중요하다. 채널 강조와 공간 강조를 결합한 특징 강조를 이용한 초해상도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초해상도 방법은 깊은 네트워크의 학습이 어려우며, 고주파 성분의 강조가 부족하여 윤곽선이 흐려지거나 왜곡이 발생한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킵-커넥션(Skip Connection)을 적용한 채널 강조와 공간 강조를 결합한 강조 블록과 잔차 블록(Residual Block)을 사용하였다. 방법으로 추출한 강조된 특징 맵을 부-픽셀 컨볼루션(Sub-pixel Convolution)을 통해 특징맵을 확장하여 초해상도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SRCNN과 비교하여 약 PSNR는 5%, SSIM은 3% 향상되었으며 VDSR과 비교를 통해 약 PSNR는 2%, SSIM은 1%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2D 전립선 단면 영상에서 영역 분류를 위한 라디오믹스 기반 바이오마커 검증 연구 (Radiomics-based Biomarker Validation Study for Region Classification in 2D Prostate Cross-sectional Images)

  • 박준영;김영재;김지섭;김광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25-32
    • /
    • 2023
  • Recognizing the size and location of prostate cancer is critical for prostate cancer diagnosis, treatment, and predicting prognosis.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classify the tumor region and normal tissue with cross-sectional visual images of prostatectomy tissue. We used specimen images of 44 prostate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prostatectomy at Gachon University Gil Hospital. A total of 289 prostate slice images consist of 200 slices including tumor region and 89 slices not including tumor region. Images were divid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umor, and a total of 93 features from each slice image were extracted using Radiomics: 18 first order, 24 GLCM, 16 GLRLM, 16 GLSZM, 5 NGTDM, and 14 GLDM. We compared feature selection techniques such as LASSO, ANOVA, SFS, Ridge and RF, LR, SVM classifiers for the model's high performances. We evaluated the model's performance with AUC of the ROC cur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feature selection techniques LASSO, Ridge, and classifier RF could be best with an AUC of 0.99±0.005.

gradCam을 사용한 얼굴인식 신경망 (Face Recognition Network using gradCAM)

  • 백찬형;권지훈;정호엽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2호
    • /
    • pp.9-14
    • /
    • 2023
  • 이 논문에서는 gradCAM를 활용한 적은 데이터로 얼굴 전체 또는 더 다양한 feature을 사용하여 얼굴인식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앙상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모델의 판단 근거는 gradCAM을 통하여 saliency map으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습된 얼굴인식 모델이 어느 부분에 편향적으로 관찰하여 판단했는지 gradCAM으로 시각화한다. 계산된 saliency map에서 일정 수치 이상의 돌출된 부분을 추가 모델이 학습에 사용할 수 없도록 노이즈를 추가해 데이터를 생산한다. 노이즈를 추가해서 만든 데이터로 학습할 경우 노이즈 부분을 활용하여 학습을 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얼굴 부분을 사용하여 얼굴인식 네트워크를 학습하게 된다. 기본 데이터로 학습한 네트워크와 돌출 부분에 노이즈를 추가해서 학습한 모델은 얼굴의 서로 다른 얼굴 feature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앙상블로 결합했을 때 얼굴의 좀 더 다양한 부분들을 사용한 임베딩 feature를 만들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앙상블 기법은 일반적인 앙상블 모델보다 정확도는 1.79% 상승하였고 equal error rate (EER)은 0.01788 감소하였다.

A Novel CNN and GA-Based Algorithm for Intrusion Detection in IoT Devices

  • Ibrahim Darwish;Samih Montser;Mohamed R. Saad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9호
    • /
    • pp.55-64
    • /
    • 2023
  •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the combination of the internet and various sensing devices. IoT security has increasingly attracted extensive attention. However, significant losses appears due to malicious attacks. Therefore, intrusion detection, which detects malicious attacks and their behaviors in IoT devices plays a crucial role in IoT security. The intrusion detection system, namely IDS should be executed efficiently by conducting classification and efficient feature extraction techniques. To effectively perform Intrusion detection in IoT applications, a novel method based on a Conventional Neural Network (CNN) for classification and an improved Genetic Algorithm (GA) for extraction is proposed and implemented. Existing issues like failing to detect the few attacks from smaller samples are focused, and hence the proposed novel CNN is applied to detect almost all attacks from small to large samples. For that purpose, the feature selection is essential. Thus, the genetic algorithm is improved to identify the best fitness values to perform accurate feature selection. To evaluate the performance, the NSL-KDDCUP dataset is used, and two datasets such as KDDTEST21 and KDDTEST+ are chosen. The performance and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other existing model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superior intrusion detection rates to existing models, where the accuracy and true positive rate improve and the false positive rate decrease. In addition, the proposed algorithm indicates better performance on KDDTEST+ than KDDTEST21 because there are few attacks from minor samples in KDDTEST+. Therefor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ovel proposed CNN with the improved GA can identify almost every intrusion.

AutoFe-Sel: A Meta-learning based methodology for Recommending Feature Subset Selection Algorithms

  • Irfan Khan;Xianchao Zhang;Ramesh Kumar Ayyasam;Rahman Al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7호
    • /
    • pp.1773-1793
    • /
    • 2023
  • Automated machine learning, often referred to as "AutoML," is the process of automating the time-consuming and iterative procedur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building of machine learning models. There have been significant contributions in this area across a number of different stages of accomplishing a data-mining task, including model selection, hyper-parameter optimization, and preprocessing method selection. Among them, preprocessing method selection is a relatively new and fast growing research area. The current work is focused on the recommendation of preprocessing methods, i.e., feature subset selection (FSS) algorithms. One limitation in the existing studies regarding FSS algorithm recommendation is the use of a single learner for meta-modeling, which restricts its capabilities in the metamodeling. Moreover, the meta-modeling in the existing studies is typically based on a single group of data characterization measures (DCMs). Nonetheless, there are a number of complementary DCM groups, and their combination will allow them to leverage their diversity, resulting in improved meta-modeling.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by proposing an architecture for preprocess method selection that uses ensemble learning for meta-modeling, namely AutoFE-Sel.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we performed an extensive experimental evaluation involving 8 FSS algorithms, 3 groups of DCMs, and 125 dataset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better performance compared to three baseline methods. The proposed architecture can also be easily extended to other preprocessing method selections, e.g., noise-filter selection and imbalance handling method selection.

음성 특성 지표를 이용한 음성 인식 성능 예측 (Speech Recognition Accuracy Prediction Using Speech Quality Measure)

  • 지승은;김우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471-47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음성 특성 지표를 이용한 음성 인식 성능 예측 실험의 내용을 소개한다. 선행 실험에서 효과적인 음성 인식 성능 예측을 위해 대표적인 음성 인식 성능 지표인 단어 오인식률과 상관도가 높은 여러 가지 특성 지표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성능 지표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지표는 각 음성 특성 지표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보다 단어 오인식률과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 음성 인식 성능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임을 보였다. 본 실험에서는 이 결과를 근거하여 조합에 사용된 음성 특성 지표를 채택하여 4차원 특징 벡터를 생성하고 GMM 기반의 음성 인식 성능 예측기를 구축한다. 가우시안 요소를 증가시키며 실험한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babble 잡음, 자동차 잡음에서 모두 SNR이 낮을수록 단어 오인식률을 높은 확률로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다중 신경망을 이용한 인식단위 결합 기반의 인쇄체 문자인식 (Machine Printed Character Recogni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Recognition Units Using Multiple Neural Networks)

  • 임길택;김호연;남윤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7호
    • /
    • pp.777-78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신경망을 이용한 인식단위 결합 기반의 인쇄체 문자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문자영상은 한글 문자 형식 6가지와 한글 이외의 기타 문자 형식의 전체 7가지 형식으로 분류되어 인식된다. 한글 문자는 2단계의 MLP 신경망 인식기에 의해 인식된다. 첫째 단계에서는 한글 문자를 자소의 조합 형태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인식단위로 나누고, 각 인식단위에서 추출된 방향각도 특징 벡터를 입력으로 하는 MLP 신경망으로 1차 인식한다. 둘째 단계에서는 첫째 단계의 인식단위별 MLP 신경망 인식기의 인식양상 특징을 추출하고 다른 MLP 신경망에 입력하여 최종 한글 문자인식을 한다. 한글 이외의 기타 문자의 인식을 위해서는 단일 MLP 신경망을 사용한다. 인식 실험에서는 실제 우편물 50,000통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문자영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는데,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