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methionin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3초

멸치액젓의 항산화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Fermented Anchovy)

  • 박종옥;윤미선;조은정;김희숙;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78-1385
    • /
    • 1999
  • 멸치액젓으로부터 항산화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용매추출 및 chromatography를 행하였다. 모든 용매분획들에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며 그 중 BuOH층과 수용액층이 소금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다. 수용액층을 투석막(MWCO 1000)으로 증류수에 대하여 투석하였을 때 투석막 내액의 항산화활성이 소실되었으므로 멸치액젓의 항산화성 물질은 분자량 1000이하의 분자량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Sephadex G-50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에서 얻은 항산화물질 분획(tube No. 230-245)로 DE-52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column에 결합하지 않고 흘러나온 분획(0 N NaCl용액) 및 0.05N NaCl용액으로 용출된 분획에서 항산화활성이 있었으나 $15\;{\mu}M$$Fe^{+++}\;ion$의 존재하에서 0 N NaCl 분획만 항산화활성이 유지되었다. Biogel P2 chromatography를 행한 결과 3번과 5번 분획의 항산화 활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TLC확인결과 아미노기가 풍부한 분자들임을 알 수 있었고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을 때 다른 분획들보다 3번과 5번 분획에 소수성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TLC로 분리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하나의 band를 HPLC의 C18 column으로 분석하였을 때 3개의 peak 중 항산화활성을 갖은 물질은 methionine 유도체이었으며 이는 멸치젓 수용액층의 많은 항산화물질 중 하나로 여러 아미노산 또는 oligopeptide의 유도체들의 상승효과가 멸치액젓의 항산화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화학적수식에 의한 Bacillus subtilis ED 213 Cytidine Deaminase의 활성부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e Site of Cytidine Deaminase from Bacillus subtilis ED 213 by Chemical Modification)

  • 박정문;박상원;서태수;김정;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3-138
    • /
    • 1999
  • Bacillus subtilis ED 213의 cytidine deaminase 의 활성부위에 존재하는 필수 아미노산잔기를 화학수식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효소는 1mM o-phenanthroline 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43% 저해되어 효소활성 발현에 Fe\sup 2+\가 요구된다고 추정되며, 1mM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이 오히려 28% 정도 촉진되었다. 본 효소는 1mM N-bromosuccinimide, 1mM chloramine-T 와 1mM $\rho$-chloromercuribenzoic acid에 의하여 100% 저해되었으며, 그의 저해 양상은 경쟁적 저해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효소의 효소활성은 1mM pyridoxal-5-phosphate 에 의항 36% 저해되었으며, 1mM 1ethyl-3-carbodiamide 와 1mM glycine methylester에 의해 저해된 효소활성이 5mM cysteine에 의해 완전히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Bacillus subtilis ED 213 cytidine deaminase의 활성부위에는 tyrosine, methionine, cysteine 과 serine 잔기가 관여할 뿐만 아니라 lysine 과 glycine 도 효소활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국내산 화분 및 화분 추출물의 성분 분석 (Components Analysis of Korean Pollens and Pollen Extracts)

  • 이부용;최희돈;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69-875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화분의 가공 및 제품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산 충매화분인 잡화분, 도토리화분, 다래화분, 풍매화분인 송화분과 제품개발시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각 화분의 물 및 n-핵산 추출물에 대하여 일반성분, 무기질, 아미노산, 지방산, 유리당 조성 및 비타민 등의 성분 분석을 실시 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단백질 함량이 $14.0{\sim}22.3%$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송화분의 경우 조섬유가 37.5%로 특이하게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조섬유를 제외한 다른 성분들은 물과 n-핵산 추출시 원료화분으로부터 거의 대부분 추출되어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분 물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당은 주로 fructose, glucose 이었으며 소량의 maltose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형분 100%에 대한 양으로 환산하면 잡화, 도토리, 송화분의 물 추출물 중 3가지 유리당의 총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각각 73.6%, 85.4%, 47.7%로 나타나 물 추출물 중 상당부분이 유리당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잡화, 도토리, 송화분 모두에 K와 P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Ca, Na, Mg, Fe, Zn등 여러 종류의 무기질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화분에 함유되어 있는 대부분의 무기질은 물 추출에 의해 거의 다 용출되었다. 화분에는 leucine, phenylalanine, methionine, lysine, valine, isoleucine, threonine 등의 필수아미노산들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B_2$는 화분과 화분의 물 추출물에서만 검출되었을 뿐 비타민 $B_1$이나 비타민 C는 검출되지 않았다. 화분에는 linoleic acid나 linolenic acid 같은 필수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송화분을 제외한 나머지 화분들은 전체 지방간 조성 중 불포화 지방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모두 5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유 첨가가 두부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w에s Milk Addition on the Quality of Soybean Curd)

  • 김중만;김형태;최용배;황호선;김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37-442
    • /
    • 1993
  • 두유에 우유를 각각 10, 20, 30, 40, 50%(v/v) 첨가하고 두부를 제조하여 일반성분의 함량변화, 수율과 pH 변화, 관능검사, 견고성, 무기이온 함량의 변화 및 amino acid 조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수분함량은 우유첨가로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당, 지방, 단백질, 회분의 함량은 우유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pH 값은 우유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높아졌다. 두부의 무게와 용적은 우유의 첨가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굳기는 우유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금속이온의 함량변화는 우유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Ca^{++}$, $K^{+}$, $Na^{+}$는 증가한데 반하여 $Mg^{++}$, Fe$^{++}$는 감소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색감은 우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감과 냄새 그리고 맛은 30~40%의 우유 첨가에서 평점이 높았다. 함황아미노산의 함량은 우유 10, 20, 30, 40, 50% (v/v) 합한 경우 각 대조구(0%)에 대하여 1.51, 1.58, 1.67, 1.85, 1.95배 증가되었다. 즉 두유에 우유를 첨가하여 두부를 만들 경우 기존 두부의 품질에 큰 변화없이 두부의 단백질이 강화되었고 부수적으로 맛도 구수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다.

  • PDF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1보. 화학성분 조성-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 Chemical Compositions)

  • 조재선;조규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57-261
    • /
    • 2003
  •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이들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밤꽃에는 sucrose와 maltose가 많은 반면, 밤잎에는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가장 많았다. 탄닌은 밤잎에 1.98%, 밤꽃은 0.16%로 밤잎이 12배정도 많았다. 지방산 조성은 밤꽂과 밤잎에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밤꽃의 불포화 지방산은 61.4%, 포화 지방산은 23.1% 였으며, 밤잎은 불포화 지방산이 76.4%, 포화 지방산이 17.1%로 나타나 밤잎이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밤꽃에 ma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의 많은 순이나, 밤잎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밤꽃에는 aspartic acid와 proline이 가장 많았고, 밤잎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밤꽃이 230.33mg/100g 인데 비하여 밤잎은 1,550.36mg/100g로 약 6.7배나 높았다. 무기질은 밤꽃과 밤잎 모두에 K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a, Mg, Fe, Mn, Al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밤꽃과 밤잎 중에ascorbic acid가 각각 5.2 mg/100 g 및 6.4 mg/100 g 함유하고 있었으며, 다른 비타민은 모두 trace로 나타났다.

Dried Sugarcane Press Residue as a Potential Feed Ingredient Source of Nutrients for Poultry

  • Suresh, B.N.;Reddy, B.S.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1595-1600
    • /
    • 2011
  • Sugarcane press residue (SPR), a byproduct from the sugar industry was evaluated for it's nutrient and energetic quality in broilers and layers. The composition of SPR included (% DM): CP-11.76 (methionine-2.21, cystine-1.05, lysine-4.85, threonine-5.48% of CP), EE-7.87 (palmitic acid-30.3, stearic acid-4.1, oleic aicd-17.2, linoleic acid-38.0, linolenic acid-5.4% of EE), CF-10.08, TA-21.08 (Ca-3.87, P-1.10, Mg-0.95%, Fe-3500, Mn-284, Zn-113, Cu-61.5, Co-5.0 ppm and AIA-4.93%) and NFE-48.35% indicating that SPR is a valuable source of both organic and inorganic nutrients for poultry. The metabolic trials revealed the average ME of SPR as 749, 842 and 1,270 kcal/kg, respectively in broilers and 844, 936 and 1,031 kcal/kg in layers, at 10, 20 and 30% inclusion levels, respectively. Further, the fortification of SPR incorporated diets with biotechnological products viz., lipid utilizing agents (lipase and lecithin) or NSP degrading enzymes and their combination did not improve the ME content of such diets.

Chemical Modification of Extracellular Cytosine Deaminase from Chromobacterium violaceum YK 391

  • Kim, Tae-Hyun;Yu, Tae-Shic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6호
    • /
    • pp.581-587
    • /
    • 1998
  • Essential amino acids involved in the catalytic role of the extracellular cytosine deaminase from Chromobacterium violaceum YK 391 were determ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studies. The enzyme activity required the reduced form of Fe (II) ion, since the enzyme was inhibited by ο-phenanthroline. The enzyme activity was completely inhibited by the chemical modifiers, such as p-chloromercuribenzoate (p-CMB), p-hydroxymercuribenzoate, and chloramine-T at 1 mM each. The enzyme activity was also markedly inhibited by pyridoxal-5'-phosphate, diethyl pyrocarbonate, and phenylmethylsulfonyl fluroride at 1 mM each. The inactivation of the enzyme activity with p-CMB was reversed by a high concentration of cytosine. Furthermore, the inactivation of the enzyme activity with p-CMB was also reactivated by 1 mM dithiothreitol, 1 mM 2-mercaptoethanol, 1 mM cysteine-HCI, 10% ethyl alcohol, and 10% methyl alcoh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ysteine and methionine residues might be located in or near the active site of the enzyme, while lysine, histidine, and serine residues might be indirectly involved in the enzyme activity.

  • PDF

숙성기간에 따른 재래 간장의 성분변화(I) (The Changes of Component in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During Ripening Period(I))

  • 정혜정;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1994
  • In this stydy, Korean traditional Meju adjusted with: the salt contents of 12%, 16%, 20% and the ripeming periods of 90, 135 and 180 days.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changes of moisture content in soy sauce by 16% salt content was slightly high and the protein was 5.88 by 12%, salt content 2. As the ripening periods was increased, the pH wa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total acidity was increased slightly. 3. In the 180 day ripened sample, the salt content increa-sed and the 12% salt content represented 30.6ft salt content. 4. The reduced sugar decreased 135 day ripening, but it increased 180 day ripening at 12fs, 16fs, 20fs salt content. 5. The amino acid content siginificantly decreased by salt content (Serine, Arginine), ripeming periods (Glutamic acid, Asparagine, Glycine, Threomine, Alanine, Methionine, Valine, Isoleucine, Lysine) and ripening time and salt content (Phenylalanine, Leucine) 6. The Fe content decreased 12% salt content while it increa-sed 16% 20% salt content. 7. According to the ripening tim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color, clearance, taste, flavor and over all acceptabilities. As the lower the acceptabilities on flavor or taste increase.

  • PDF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서 사료내 합성아미노산 첨가 효과 (Effects of Dietary Synthetic Amino Acid Supplementation in Korean Rockfish Fry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박건준;옥임호;배승철;최영준;신인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7-163
    • /
    • 2002
  • 본 실험은 섭취촉진물질로 알려져 있는 사료내 13종의 아미노산들이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 성장 및 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0.64 g인 조피볼락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실험 사료내에 유인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아미노산 13가지(Arg, Ala, Na-Glu, Gly, His, Ile, Lys, Met, Phe, Pro, Thr, Trp 및 Val)를 사료내 각각 0.3% 씩 첨가하여 총 13 실험구를 2반복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6주간의 사육실험 결과, 성장률(WG)과 일간 성장률(SGR)에서는 Pro, Thr, Met 및 Gly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이들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사료전환효율(FE)에서는 Pro 실험구가 Met과 Gly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Pro 실험구와 Thr 실험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Thr, Met 및 Gly 실험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단백질전화효율에 있어서 Pro 실험구가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Thr 실험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그리고, 비만도(condition factor)는 Thr 실험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Val 실험구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간중량지수(HSI)는 모든 실험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전어체의 단백질, 수분 및 회분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지질함량은 Met, Pro 및 Thr 실험구가 Glu, Gly, Lys, Trp 및 Val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피볼락 사료용 사료섭취촉진물질로서 아미노산을 검색한 결과 사료내 0.3% Pro, Thr, Met 및 Gly을 첨가했을 때 사료섭취촉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것들 중 Gly을 제외하고는 전어체의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1++ 등급 거세한우의 부위별 이화학적 육질특성 및 영양성분조성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Properties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Hanwoo Steer Beef with 1++ Quality Grade)

  • 조수현;김진형;성필남;조영무;정완태;박범영;정명옥;김동훈;이종문;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22-430
    • /
    • 2008
  • 본 연구는 거세한우 고기의 부위별 성분조성 및 육질특성을 조사하고자 거세한우 10두(28-30개월)에서 10부위(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흥두깨, 목심, 설깃, 양지, 우둔)를 선정하여 성분조성 및 육질특성을 분석하였다. 10부위의 pH는 5.46-5.64범위였으며 꾸리부위가 5.64로 가장 높았던 반면에 보섭, 채끝, 및 우둔이 각각 5.49, 5.46, 5.47로 다른 부위와 비교했을 때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일반성분조성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홍두깨 부위가 21.15%로 가장 높은 반면에 등심부위의 단백질 함량은 16.94%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p<0.05), 지방함량은 등심부위가 24.74%로 가장 높은 반면에 꾸리, 홍두깨 및 우둔부위의 지방함량은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p<0.05). 육색은 L간(백색도)만이 등심부위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p<0.05) 다른 부위간에는 L값, a값(적색도)및 b값(황색도)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1^{++}$ 등급 거세우고 기의 10부위의 가열감량을 분석한 결과 꾸리, 홍두깨, 우둔, 양지부위가 높게 나타난 반면에 채끝부위가 21.44%로 유의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전단력은 업진부위가 $6.24inch^2/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등심과 채끝부위가 각각 3.45 및 $3.50inch^2/kg$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보수력은 10부위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총 아미노산 함량은 홍두깨 부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methionine과 histidine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ionine과 histidine은 우둔부위에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무기물 분석결과 10 부위간에 Ca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Fe 함량은 15.09-26.68 mg/kg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p<0.05), Zn 함량은 꾸리부위가 50.56 mg/kg으로 10부위 중에서 가장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