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Pt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7초

$Mn_{1-x}Cr_xPt_3$ 박막의 자기 및 자기광학 특성 (Magnetic and Magneto-Optical Properties of $Mn_{1-x}Cr_xPt_3$ Ordered Alloy Films)

  • 박문기;조재경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374-379
    • /
    • 1998
  • Mn1-xCrxPt3 합금 박막을 유리기판상에 rf 마그네트론 스퍼터법으로 전이금속(Mn, Cr)과 Pt층을 적층하여 증착한우 열처리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제조한 박막들의 소각 및 광각 x-선 회절 분석, 자기 히스테리시스 루우프, 커 스펙트럼을 실온에서 조사했다. 제조한 박막들은 (111)면이 막면에 평행으로 강하게 우선 배향된 AuCu3 형의 규칙합금 구조를 나타냈다. 포화자화는 Cr 치환량(x)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x=0.58 부근에서 영에 가까워진 후 다시 증가하여 x=0.77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냇다. 이것은 페로자성인 MnPt3(x=0)에 Cr을 치환하며, Cr의 자기모멘트가 Mn과 반강자성적으로 결합하여포화자화가 감소하다가 Cr 치환량이 더욱 증가하면 Cr의 기여가 지배적이 되어 다시 증가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MnPt3의 경우에는 자화용이축이 막면에 평행이었으며, Cr 치환량이 증가합에 따라 수직자기이방성이 증가하여 x=0.58 이상에서는 수직자화막이 얻어졌다. 또한, 이 영역에서 Cr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자력도 증가하여 x=0.58 이상에서는 수직자화막이 얻어졌다. 또한, 이 영역에서 Cr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보자력도 증가하여 CrPt3의 경우에는 약 4 kOe의 큰 값을 나타냈다. Cr 치환량에 따른 커 회전각의 변화 추이는 포화지화의 변화 추이와 경향이 유사했다. x=0.77과 x=1의 경우에는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커 회전각이 기존의 광자기기록매체인 TbFeCo를 능가했다.

  • PDF

Thiobacillus ferrooxidans 의 전기화학적 배양에 의한 셀밀도 증가

  • 장영선;정승호;이광연;박돈희;정상문;차진명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
    • /
    • pp.428-432
    • /
    • 2003
  • 이 연구는 전기화학적 배양법과 호기성 조건을 유지함으로써 Thiobacillus ferrooxidans의 밀도가 높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적 pH는 $2.0{\pm}0.05$로 결정하고 1vvm의 Air를 공급하였다 전류와 전압은 0.15A, 4V로 유지하였고 Pt 전극에서 85%의 효율로 $Fe^{3+}$$Fe^{2+}$로 환원시켰다. 이러한 조건에의 배양에서 초기 건조셀 밀도 0.0025 g-dry cell/L에서 8일 후에는 0.0576 g-dry cell/L에 이르렀다. 이는 같은 조건에서 고전적인 배양법에 의한 것보다 7배가 높은 값이다.

  • PDF

Correlation betwee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PtxNiy alloy nanodendrites

  • Lee, Young-Woo;Kwak, Da-Hee;Park, Kyung-Won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65-170
    • /
    • 2016
  • We have synthesized $Pt_xNi_y$ alloy nanodendrites by a thermal decomposition method. The structure and composition of the as-prepared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field-emiss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FE-TEM), energy dispersive X-ray (EDX) spectroscopy, and X-ray diffraction (XRD). The growth mode of the $Pt_xNi_y$ alloy samples synthesized as a function of an intended atomic fraction of Ni was likely to be strongly affected by and reduction (or oxidation) potentials and surface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