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e(철) 함량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유통 민물어류와 연안산 패류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조사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of the Fresh Water Fish, and the Shellfish in Koran)

  • 김연천;한선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05-318
    • /
    • 1999
  •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건강상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또 수산 어패류 중의 중금속 분포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민물어류 11종 166건, 패류 14종 153건 등 총 319건을 대상으로 Pb, Hg, Cd, Cr, Fe, Mn, Zn, Cu 의 8개 금속을 A.A.S. 와 Mercury Analyzer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민물어류에서의 중금속 평균함량은 Pb 0.075, Hg 0-.053, Cd 0.002, Cr 0.135, Fe 8.695, Mn 1.078, Sn 9.491, Cu 0.548 mg/kg으로 나타났다. 패류에서의 중금속 평균 함량은 Pb 0.059, Hg 0.007, Cd 0.146, Cr 0.147, Fe 40.808, Mn 7,738, Zn 13.943, Cu 2.731 mg/kg으로 조사되어, Cd , Fe, Mn, Cu 등이 민물어류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0.001). 2. 중금속 함량은 산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물어류의 경우 Mn 과 Zn 함량이 지역간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p<0.001). 패류의 경우는 Fe, Mn, Zn 함량이 지역간의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p<0.01). 3. 계절에 따라 중금속 함량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5). 민물어류에서는 겨울철의 Pb, Zn, Cr, Cu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패류에서는 겨울철에 Pb, Zn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조사된 결과를 종합 고찰하면 우리나라 서식하고 있는 어패류에 함유된 중금속 함량은 유해농도이하이며 , Fe, Mn, Zn 등 미량 영양염류 함량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철 보충이 흰쥐의 무기질 이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ron Supplementation on Mineral Utilization in Rats)

  • 전예숙;최미경;김애정;김미현;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58-66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철의 섭취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무기질의 이용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를 대상으로 적정수준, 적정수준의 2배와 4배의 철을 6주간 공급한 후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철, 구리, 아연의 혈청 수준 및 섭취량과 배설량에 의한 평형상태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료 섭취량, 체중 증가량 및 사료효율은 철 보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철 보충에 따른 혈청 철과 아연 함량은 각 군별 차이를 보여 철 함량은 2배 공급군이 유의하게 낮았고 아연 함량은 4배 공급군이 다른 두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p<0.05). 철 보충에 따라 철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p<0.01)을 제외하고 그 밖의 무기질 섭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소변 중 무기질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라 칼슘, 나트륨, 철, 구리, 아연이 각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p<0.01, p<0.001, p<0.05, p<0.01). 대변 중 무기질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1일 무기질 보유량은 철 보충에 따라 나트륨과 철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p<0.05, p<0.01) 철 보충이 증가할수록 이들 무기질의 보유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무기질 흡수율은 철 보충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요구량의 2배와 4배의 철 보충에 따라 무기질의 겉보기 흡수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칼슘, 철, 구리, 아연의 소변중 배설량은 철 보충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장기적인 철 보충이 이루어진다면 이와 같은 무기질의 체내 보유량이 감소함에 따라 영양상태가 저하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무기질의 평형상태를 유지하기 위 해서는 무기질 보충제를 이용하는 것보다 균형 잡힌 영양섭취나 일상식사를 통해 적정한 섭취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해주며, 앞으로 이에 대한 영양지도와 지속적 인 연구가 요구된다.

토양 내 철의 이동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port Characteristics of Fe in Soil)

  • 조기철;이경호;정영헌;조상원;오광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43-1051
    • /
    • 2005
  • 이류-확산 국부적 평형흡착모델(convection-dispersion local equilibrium sorption model)과 Two-site 비평형 흡착모델(non-equilibrium sorption model)을 이용하여 철(Fe)의 토양 내 흡착 및 이동특성을 살펴보았다. 회분실험에서는 철의 주입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시간에 따른 농도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철의 흡착특성을 선형흡착등온선과 Freundlich 흡착등온선으로 살펴보았으며, 칼럼실험에서는 주입유속, 유기물함량, 철의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주입액과 유출액의 철의 농도를 측정하고, CXTFI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wo-site 비평형 흡착 모델에 사용된 매개변수(D, R, ${\beta}$, ${\omega}$)를 구하였다. CXTFIT 프로그램에 의해 구하여진 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철의 토양 내 이동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철과 같은 흡착성 물질의 이동특성은 two-site 비평형 흡착모델에 의해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화학양론적 조성이 니켈-아연 페라이트의 전파흡수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on-stoichiometry on the Microwave Absobing Properties of Ni-Zn Ferrites.)

  • 조성백;오재희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6
    • /
    • 1995
  • 비화학양론 조성의 니켈-아연 페라이트 소결체 시편에서 투자율과 유전율을 체계적으로 변화 시킴에 따라 전파흡수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Ni_{0.5}Zn_{0.5}O)}_{1-x}(Fe_{2}O_{3})_{1+x}$ 시편은 일반적인 세라믹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니켈-아연 페 라이트에서 ${\alpha}-Fe_{2}O_{3}$ 함량을 변화시킴에 따라 복수투자율과 복소유전율의 조절 방안 을 조사하였다. 철과잉량의 효과는 유전상수 증가였으며 철결핍량의 효과는 ${\mu}_{r}"$ 감소이었다. 니켈-아연 페라이트에서 ${\alpha}-Fe_{2}O_{3}$ 함량 변화에 따라 정합주파수와 정합두께 조절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 PDF

종실과 밀가루 특성이 국수 면대 색깔에 미치는 영향과 철 함량 간이 검정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Grain and Flour on Color of Noodle Dough Sheet and Simple Test for Fe Content in Korean Wheat Cultivar)

  • 강천식;김경훈;최인덕;신상현;손재한;정영근;이춘기;박광근;박철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7-3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밀 품종의 국수 색깔 및 이와 관련된 종실 및 밀가루 특성 평가를 통하여 국수 면대 색깔 향상을 위해 선발에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특히 철함량이 국수면대 밝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철 고함유 계통 선발을 위한 간이검정법의 적용을 위해 수행하였다. 국내 밀 품종의 밀가루 밝기는 회분(r = -0.634, P<0.01), 단백질 함량(r = -0.635, P<0.01)및 총 폴리페놀함량(r = -0.493, P<0.05)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면대 색깔은 밀가루 명도(r = 0.684, P<0.001)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종실특성에서 리터중, 천립중, PPO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밀가루 특성에서 회분, 단백질 함량과 총 폴리페놀함량은 면대 밝기와 부의 상관을 보였고, 연차간 및 품종간 변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은 밀가루 색 및 국수 면대 밝기와 부의 상관을 나타냈고, 간이검정법으로 Potassium hexacyanoferrate(II) trihydrate(PHT) 처리를 한 결과 푸른색으로 염색되었다. 종실을 PHT로 염색하여 측정한 색도와 종실의 철 함량은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나, 종실을 분쇄한 통밀가루에서는 PHT로 염색된 통밀가루의 적색도(r = -0.665, P<0.001)와 황색도(r = -0.658, P<0.001)와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PHT로 염색된 밀가루의 밝기는 종실의 철 함량(r = -0.640, P<0.01)과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강변 여과 취수 지역 퇴적물의 철 화학종 추출 특성 (Iron Extractio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Samples from a River Bank Filtration Site)

  • 현성필;문희선;윤필선;김보아;하규철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9-138
    • /
    • 2013
  • 최근 들어 안정된 수자원 확보를 위해 하천수를 강변의 충적층을 통과시켜 취수하는 강변 여과수 개발이 각광을 받고 있다. 지표수 및 지하수와 반응하는 주변 충적층 퇴적물에 존재하는 철은 강변 여과 후 양수정을 통해 얻어지는 지하수의 수질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물-지하수-지표수의 상호 작용에 의한 철 화학종의 존재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창원시 대산면 낙동강변의 강변여과 부지에서 채취한 대수층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철 함유량을 퇴적물 심도 및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화학적 철 추출법을 통해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전체적으로 지표로부터 20 m 부근까지는 2가철 및 총 철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다 20 m 깊이 이하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퇴적물 색깔이 지시하는 산화/환원 환경 특성과도 일치하였다. 한편, 퇴적물의 모래 부분보다 미사/점토 부분에서 추출법에 따라 2~10배의 철이 추출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추출법 중 DCB 용액에 의해 가장 많은 철이 추출되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철 분석법으로 추출되는 철 함량 특성은 퇴적물 내에서 철의 용해 및 침전을 결정짓는 심도에 따른 산화/환원 조건의 좋은 지시자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청량음료류 중 무기금속의 함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s of Inorganic Compounds in Soft Drinks)

  • 전옥경;한선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4-350
    • /
    • 2000
  • 본 연구는 가공식품 중 상용식품이라 할 수 있는 청량음료류와 현재 건강식품으로 많이 섭취되고 있는 홍삼음료의 무기 금속 함량을 분석하고 섭취 수준을 추정해 봄으로써 영양학적, 보건학적 평가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2000년 3월에서 9월말까지 서울시내 대형 유통 매장에서 판매 중인 청량음료 및 홍삼음료 총 16종 80건을 채취하여 철(Fe), 칼슘(Ca), 아연(Zn), 나트륨(Na), 마그네슘(Mg), 칼륨(K) 함량을 측정하였다. 과채음료의 경우 전반적으로 다양한 무기 금속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혼합음료 및 탄산음료의 경우 나트륨 함량이 칼륨 함량보다 높은 것에 비해 칼륨 함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로 오렌지, 사과, 토마토 등 원료에 기인된 것이었다. 칼슘 함량의 경우 키토산이 함유된 일부 혼합음료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칼슘은 뼈의 성장과 골다공증의 예방, 고혈압, 동맥경화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섭취가 장려되고 있으나, 뇨 결석등 일부 질환에 있어서는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 어린이 및 청소년층이 주 소비계층인 탄산음료의 경우 습관성 음용으로 인한 칼슘과 인 섭취의 불균형이 성장에 저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철, 구리, 아연 등 다른 무기 금속의 흡수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크롬계 내화물에서 슬래그의 산화철 농도가 (Fe,Cr)3O4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2O3 Concentration in Coal Slag on the Formation of (Fe,Cr)3O4 in Chromia Refractory)

  • 박우성;오명숙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495-500
    • /
    • 2007
  • 석탄가스화기의 내벽은 내화물로 구성되어 있다. 내화물의 침식은 가스화기 내화물의 수명 및 교체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본 논문에서는 슬래그와의 반응에 의한 내화재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침식화합물의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산화철 농도의 함수로 조사하였다. 산화철 농도가 낮은 KIDECO 탄 슬래그에 산화철을 첨가하여 정적 침식실험을 수행한 후 $(Fe,Cr)_3O_4$의 형성과 침투 슬래그에서의 Fe의 고갈 깊이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FactSage를 이용한 평형계산을 통하여 chromite 형성조건을 조사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고정된 온도인 $1550^{\circ}C$에서 약 10%의 산화철을 포함한 KIDECO 슬래그에서는 $(Fe,Cr)_3O_4$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산화철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Fe,Cr)_3O_4$ 형성이 관찰되었으며, 경계면의 $(Fe,Cr)_3O_4$ 층의 두께가 증가하였고, 산화철의 고갈 깊이도 증가하였다. 또한 산화철의 양이 많아질수록 화학적 침식이 증가하면서 슬래그와 내화물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슬래그-내화재 계의 평형계산은 슬래그의 산화철 농도가 증가할수록 가스화기 조업온도에서 chromite 형성 가능성이 높아짐을 보여주었다, 또한 내화물이 슬래그에 용해된 경우와 같이 $Cr_2O_3$가 낮은 농도로 존재할 때 chromite 형성이 가장 유리하였고, 산화철의 농도가 20% 이하에서는 슬래그와 내화물이 같은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chromite 형성에 가장 불리하였다.

Mössbauer 분광법(分光法)과 선택적(選擇的) 추출방법(抽出方法)에 의한 제주도(濟州道) 토양(土壤)에서의 산화철(酸化鐵)의 특성(特性) 구명(究明) (Characterization of Iron Oxides in Soils of Cheju Island by Mössbauer Spectroscopy and Chemical Techniques)

  • 강동우;김두철;고정대;홍성락;송관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5
    • /
    • 1997
  • 제주도(濟州島)의 8개 대표토양(代表土壤)을 대상(對象)으로 하여 X-선(線) 형광분석(螢光分析), X-선(善) 회절(回折) 분석(分析), oxalate와 dithionite-citrate를 사용한 선택적(選擇的) 추출방법(抽出方法) 및 $M{\ddot{o}}ssbauer$ 분광법(分光法)으로 일차광물(一次鑛物), ferrihydrite, 결정질(結晶質) 산화철(酸化鐵)의 종류(種類), 함량(含量) 및 비자성(非磁性) Al이온의 치환정도(置換程度)에 대하여 고찰(考察)하였다. 1. X-선(線) 형광(螢光) 분석(分析)에 의한 제주도(濟州島)의 8개 토양통(土壤統)의 산화철(酸化鐵)($Fe_2O_3$) 함량(含量)은 분석구(噴石口) 토양인 송악통(松岳統)에서 18.21%로 가장 높았고 논토양인 대정통(大靜統)에서 8.03%로 가장 낮았다. 2. X-선(線) 회절(回折) 분석(分析) 결과(結果) 8개 토양통(土壤統) 모두에서 ferrihydrite와 결정질(結晶質) goethite의 회절(回折) 피크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결정질(結晶質) hematite는 송악통(松岳統), 구엄통(舊嚴統) 및 흑악통(黑岳統)에서 검출(檢出)할 수 있었다. 3. 선택적 침출방법으로 측정한 ferrihydrite 함량(含量)은 흑색토인 송당(松堂)과 토평통(吐坪統), 농암갈색의 분석구 토양인 감산통(柑山統) 및 갈색삼림토인 흑악통(黑岳統)에서 20.9-35.2g/kg으로 높았고, 논토양인 대정통(大靜統)에서 0.85g/kg으로 가장 낮았다. 결정질(結晶質) 산화철(酸化鐵) 함량(含量)인 $Fe_d-Fe_o$ 함량(含量)은 송악통(松岳統)에서 28.7g/kg으로 가장 높았고 흑악통(黑岳統)에서 7.6g/kg으로 가장 낮았다. 4. 제주도(濟州島) 8개 토양통(土壤統)에 함유되어 있는 상자성(常磁性) $Fe^{3+}$ 광물(鑛物)들은 화학조성(化學造成)이 거의 같은 ferrihydrite, 초상자성(超常磁性) goethite, 층형 규산염점토광물(硅酸鹽粘土鑛物)로서 감산통(柑山統)에서 그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고 송악통(松岳統)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자성(常磁性) $Fe^{2+}$ 일차광물(一次鑛物)은 감산통(柑山統)과 흑악통(黑岳統)에서 olivine, illite의 함량(含量)이 우세(優勢)하였으나 그 외 토양(土壤)에서는 소량(小量)의 chlorite, augite, biotite, hornblende 등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5. 18K에서 측정된 초미세자기장(超微細磁氣場)으로 부터 대정통(大靜統)에서는 미세한 goethite만이 함유(含有)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確認)되었고, 그외 7개 토양(土壤)에서는 입자 크기가 작은(${\sim}180{\AA}$) 결정질(結晶質) hematite와 goethite인 것으로 분석(分析)되었다. 6. 제주도(濟州島) 8개 토양통(土壤統)에 함유되어 있는 산화철(酸化鐵)의 구조에서 $Fe^{3+}$와 비자성(非磁性) $Al^{3+}$이 상당량(相當量) 부분(部分) 치환(置換)되었음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 PDF

화강암류중 미량원소와 태백산분지내 석회암지역 광화작용과의 지구화학적 관계 (A Geochemical Study on Trace Elements in the Granitic Rocks in relation to Mineralization in the Limestone Area of the Taebaegsan Basin)

  • 이재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0권3호
    • /
    • pp.179-196
    • /
    • 1987
  • 태백산 광화대에는 연-아연, 철-동 및 중석-휘수연 등의 스카른광상이 캠브리아-오도비스기의 석회질퇴적암을 주 모암으로 하여 중-후기 백악기의 화강암류와 밀접한 관계을 갖고 발달하여 있다. 이들 광상들의 화강암류와의 수반관계를 보면 철-동광상은 화강섬록암-석영몬조니암, 연-아연광상은 화강암-화강섬록암, 중석-휘수연광상은 화강암, 그리고 망간광상은 석영반암에 수반되는 경향이 있다. 화강암류의 화학조성을 보면 철-동광상과 관련된 화강암류는 연-아연광상과 관련된 것보다 K은 낮고 Ca은 높은 함량을 보이며 반대로 중석-휘수연광상과 관련된 화강암은 연-아연광상과 관련된 것보다 K은 높고 Ca은 낮은 함량을 보인다. 그러나 망간광상과 관련된 화강암은 연-아연광상과 관련된 것에 유사한 변화를 보인다. 마량원소중 친석원소인 Rb과 Sr은 K과 Ca에 관련된 변화를 보이며 이와는 대조적으로 친동원소인 Cu, Pb, Zn, W 및 Mo은 이들 원소의 광상과 관련된 화강암류에서 그 함량이 높고 기타 Ni과 Co는 교대지수 (0.14) 가 같은 Mg, Fe 및 Cu와 관계된 변화를 보인다. 화강암류의 평균 K/Rb 및 Ca/Sr 비가 보이는 범위는 각각 300~150 및 150~40내에 속하는데 K-Rb함량이 낮은 영역에는 철-동광상이 그리고 K-Rb 함량이 높은 영역에는 연-아연 및 중석-휘수연광상이 점시되고 대조적으로 Ca-Sr함량이 높은 영역에는 Fe-Cu 및 Fe광상이 그리고 Ca-Sr함량이 낮은 영역에는 연-아연광상이 점시된다. 태백산 광화대내 백악기 화강암류중 원소가 보이는 함량변화는 경상분지내 백악기 화강암류의 것과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본 지화학적 연구의 결과는 어느 한 지역에서 백악기 화강암류와 관련된 광상을 대상으로 지화학탐사를 실시할 때 그 화강암체의 광종과 생산성여부를 결정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