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ester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9초

Dark oil로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에스테르화 반응 특성 (Esterification for biodiesel production from dark oil)

  • 박지연;김덕근;나종분;우상선;이진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05.1-105.1
    • /
    • 2010
  • 바이오디젤 보급 활성화에 따른 식물성 원료유의 가격 상승 및 수급 불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폐유지를 원료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폐유지의 사용은 폐자원 활용 측면에서 의미가 있으며 바이오디젤 생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다양한 폐유지가 산업체로부터 배출되며 이 중에서 dark oil은 식용유 공장에서 식물성 원료유의 정제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바이오디젤로 전환 가능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dark oil은 54.9%의 유리지방산과 28.0%의 triglyceride, 4.4%의 diglyceride, 그리고 1% 이하의 monoglyceride를 함유하고 있다. Dark oil의 초기 산가는 109.8 mg KOH/g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dark oil의 유지 부분(triglyceride, diglyceride, monoglyceride)을 유리지방산으로 전환시켜 HAAO(high acid acid oil)을 생산한 후, 고체 산 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하여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유지 부분의 유리지방산 전환 반응을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DBS(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가 사용되었다. Dark oil:황산:물의 질량비가 10:2:10이고 SDBS가 오일 대비 3%인 조건에서 dark oil의 산가는 190.8 mg KOH/g까지 증가하였고, dark oil:황산:물의 질량비가 10:4:10이고 SDBS가 2%인 조건에서는 산가가 194.2 mg KOH/g까지 증가하였다. 생산된 HAAO을 이용하여 오일 대비 30%의 Amberlyst-15 촉매 하에서 HAAO:메탄올 몰비 1:9인 조건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였을 경우 FAME(fatty acid methyl ester) 함량은 81.3%까지 증가하였다. 고체 산 촉매로써 Amberlyst-15와 가격 면에서 저렴한 PC101을 비교하였을 경우 FAME 함량은 각각 80.7%, 77.9%로 비슷한 효율을 나타내었다.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FAME 함량을 높이기 위해 증류 공정을 필요로 하였다.

  • PDF

Effects of Feeding Dried Leftover Food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Broiler Chicks

  • Cho, Y.M.;Lee, G.W.;Jang, J.S.;Shin, I.S.;Myung, K.H.;Choi, K.S.;Bae, I.H.;Yang, C.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3호
    • /
    • pp.386-393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dried leftover food (DLF)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feed conversion of broiler chicks. One hundred ninety-six of one-day old Ross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7 treatment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Each treatment had four replications with seven chicks per replication. The treatments groups included control without DLF, dietary 10% level of DLF, dietary 20% level of DLF and dietary 30% level of DLF, 5% higher protein level of diet containing 10% DLF, 10% higher protein level of diet containing 20% DLF and 15% higher protein level of diet containing 30% DLF than control diet. Body weight gain was slightly higher in control group than that of DLF-fed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gain among those groups fed diet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DLF. In general, increasing dietary level of DLF resulted in decreasing feed conversion. Content of crude protein in whole broiler body was slightly higher in control group although an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found among treatments (p>0.05). Content of crude fat in whole broiler body was lowest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30% DLF with 15% higher protein level than control diet,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from groups fed diets containing 20% DLF (p<0.05). Contents of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 and LDL- cholesterol in blood of broilers fed DLF-containing diets generally appeared to be highe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05). Fatty acid contents in broiler mea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linoleic aci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Content of DHA in broiler meat was higher in groups fed diets containing DLF than that of control group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p>0.05).

인동의 성분연구 (2) - 지방족 및 페놀성 화합물 (Phytochemical Studies on Lonicera Caulis (2) - Aliphatic and Phenolic Compounds)

  • 김주선;연민혜;서현규;이제현;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6-333
    • /
    • 2009
  • Fourtee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70% ethanol extract of Lonicera Caulis (Caprifoliaceae)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seven aliphatic compounds [long-chain alcohols (1, 2), trilinolein (3), hexacosanol (4), fatty acids (6), 9,12,13-trihydroxyoctadeca-10(E),15(Z)-dienoic acid (10), and pinellic acid (11)] and seven phenolics [bis(2-ethylhexyl) phthalate (dioctylphthalate, DOP) (5), coniferaldehyde (7), caffeic acid docosanoyl ester (8), caffeic acid (9), coniferyl aldehyde 4-O-glucoside (12), linarin (13), and coniferin (14)].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and comparison with literature values. All the compounds except for caffeic acid (9)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parts for the first time.

전기 자동차용 폴리올 에스테르계 냉동기유의 R-1234yf 냉매와의 적합성 연구 (Study on Chemical Stabilities with R-1234yf Refrigerant of Polyol Ester Refrigerant Oil for Electric Vehicles)

  • 홍지수;정근우;김남균;신지훈;김영운;이은호;고봉성;황승용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6권3호
    • /
    • pp.139-146
    • /
    • 2020
  • Global warming has led to an increase in demand of eco-friendly vehicles, such as electric car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specially, regulating carbon dioxide generation. In addition, electric vehicles are equipped with an electric drive-type hermetic scroll compressor and a refrigerant, which exhibit current and future trends of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efrigerants, including R-1234yf. In this study, polyol ester-based refrigeration oils are prepared via condensation esterification of polyol and fatty acids. The oils can be combined with R-1234yf refrigerant for applications in air conditioning and cooling systems of electric vehicles. The structure of synthetic polyol esters is confirmed via 1H-NMR and FT-IR spectrum analysis, and the composition of the polyol ester is analyzed via gas chromatogram analysis. Furthermore, kinematic viscosity, viscosity index, total acid value, pour point, and color are analyzed as fundamental physical properties of the synthetic polyol esters. The compatibility and chemical stability of the synthetic polyol ester combined with the R-1234yf refrigerant are obtained vi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oil-resistant refrigerant tests. The changes in the oil color and catalyst activity are observ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itable as a refrigerator oil.

한국 재래산양 골수의 지질 및 지방산 조성 (Lip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Goat's Bone Marrow)

  • 이영애;하정기;안병홍;강동학;기우경;김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77-181
    • /
    • 1988
  • 한국 재래산양 골수의 지질조성은 중성지질의 함량이 많고, 인지질과 당지질의 함량이 적 었다. 또한, 지방산조성에서는 $C_{18:1}$의 함량이 높고, $C_{18:0}$의 함량이 적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57.0{\sim}71.6%)$이 포화지방산$(28.4{\sim}43.0%)$보다도 매우 높았다. 중성지질에서는 triglyceride와 steryl ester의 함량이 높았으며, 당지질에서는 esterified glycoside와 cerebroside 1의 함량이 높았다. 인지질에서는 diphosphatidylglycerol과 phosphatidyl glycerol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Triglyceride중 지방산분포는 상박골과 요골, 대퇴골의 관골 및 요추는 동일하게 $C_1$ 위치에서는 $C_{16:0}(27.6{\sim}29.8%)$, $C_{18:0}(18.7{\sim}25.4%)$$C_{18:1}(26.3{\sim}30.0%)$이 많았으며, $C_2$ 위치에서는 $C_{14:0}(12.3{\sim}15.6%)$, $C_{18:2}(26.0{\sim}31.4%)$$C_{18:3}(30.2{\sim}35.6%)$이 많았다.

  • PDF

등줄숭어의 알, 근육 및 내장의 지질조성에 관한 연구 (Lipid Composition of Roe, Muscle and Viscus of Liza Carinata, a Species of the Mugilidae Family)

  • 조용계;이경희;조연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74-682
    • /
    • 1988
  • 등줄숭어의 알, 근육 및 내장 지질의 지질 조성과 각 지질 분획의 알콜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지질 함량은 알에 18.5%로 제일 많았고, 내장에는 8.5%, 근육에는 4.4%로 제일 적었다. 알의 지질 조성은 매우 특이하여 왁스 에스텔이 63.1%로 제일 많았으나, 트리글리세리드는 9.9%에 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근육 지질의 경우는 트리글리세리드가 66.1%로 제일 많이 검출되었으나, 왁스 에스텔은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내장 지질에도 왁스 에스텔이 32.8%나 검출되었다. 알콜 조성을 보면 세칠알콜(C16 : 0)이 알과 내장 왁스 에스텔의 중요한 성분으로 각각 53.0%, 61.7%였으며, 그 다음으로 주요한 알콜은 알의 경우는 올레알콜(C18 : 1), 팔미토올레알콜(C16 : 1) 및 스테아르알콜(C18 : 0)이, 내장의 경우는 펜타데카놀(C15 : 0), 스테아르알콜 이였다. 또 두 왁스 에스텔에는 C15 : 0, C15 : 1, C17 : 0, C17 : 1, C19 : 0 및 C19 : 1과 같은 기수 알콜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알과 내장의 왁스 에스텔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토올레산, 올레산 및 ???l타데카모노엔산과 같은 모노엔산이(49.7-56.6%)로 제일 많았으며 아이코 사펜타엔산도 상당히 함유(12.2%, 10.1%)되어 있었다. 또 알의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을 보면 고도 불포화지방산 함량(28.4%)은 근육, 내장의 그것보다(19.4%, 19.2%)보다 훨씬 높았으나, 스테아르산, 팔미트산과 같은 포화지방산 함량은 근육, 내장의 그것보다 약간 낮았다. 알의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근육의 그것과 비슷하여 고도 불포화지방산이 약 50%로 내장의 34.2% 보다 훨씬 높았다. 근육에 있어서 유리지방산 조성이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과 흡사한 것으로 보아, 이 유리지방산은 인지질의 가수분해물로 생각된다.. 젓갈의 pH도 숙성기간중 서서히 증가되었다.13{\sim}126Kcal/mol$로 감소하였으며, 동결속도 $-0.5^{\circ}C/min$하에서 동결에 필요한 최소 활성화에너지는 126Kcal/mol, 최대 활성화에너지는 270Kca1/mo1 이었다.$C_{22:6}$ 등이었다. 제품저장중 품질안정성에 대해 검토한 결과 진공포장함으로서 저장중 지질산패, 갈변 등 품질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가 20mM, $Na_2SO_3{\cdot}7H_2O$가 15mM 그리고 $NaHSO_3$가 25mM로 나타났다., 수원(水原)19호(號)와 제천옥(堤川玉)에서는 linoleic acid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8) 당지질(糖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MGS, MGC 그리고 MGDG를 함유(含有)하며, MGS와 MGC는 진주옥(晋州玉)에서 가장 높은 반면에, 횡성옥(橫城玉)과 제천옥(堤川玉)에서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9) 총지질(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oleic, palmitic, linoleic그리고 heptadecano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이루고, 진주옥(晋州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고, 제천옥(堤川玉)에서는 이와 반대(反對) 경향(傾向)을 보였다. 10) 순지질(燐脂質)의 구성지질성분(構成脂質成分)은 PI 및 PC를 함유(舍有)하며, 횡성옥(橫城玉)과 황옥(黃玉) 3호(號)에서 PI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11) 순지질(燐脂質)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은 palmitic, heptadecanoic 그리고 oleic acid가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횡성옥(橫城玉)에서 oleic acid가 가장 높은 반면에, heptadecanoic acid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I.

  • PDF

銀Ion 및 역상(逆相) HPLC를 이용(利用)한 입체이성체적(立體異性體的) 분석(分析)에 의한 은행종실유(銀杏種實油)의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에 관한 연구(硏究) (The Stereospecific Analysis of the Triacylglycerols of Ginkgo Nut Oils by High-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y(HPLC) in the Silver Ion and Reversed Phase Modes)

  • 조용계;우효경;김훈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76
    • /
    • 1997
  • Triacylglycerols of the seeds of Ginkgo biloba have been resolved by high-performace liquid chromatography(HPLC} in the silver-ion and reverse-phase modes. The fatty acids were identified by a combination of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and gas-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s the methyl and /or picolinyl ester. The main components are $C_{18:2{\omega}6}$(39.0mol%), $C_{18:1{\omega}7}$(asclepic acid 21.5mol%), and $C_{18:1{\omega}9}$(oleic acid, 13.8mol%). Considerable amounts of unusual acid such as $C_{20:3{\Delta}^{5,11,14}$ (5.7mol%), $C_{18:2{\Delta}^{5,9}$(2.8mol%), and $C_{18:3}{\Delta}^{5,9,12}$(1.6mol%), were checked. In addition, an anteiso-branched fatty acid, 14-methylhexadecanoic acid, was also present as a minor component(0.9 mol%). The triacylglycerols were separated into 17 fractions by reverse-phase HPLC, and the fractionation was achieved according to the partition numnber(PN) in which a ${\Delta}^5$-non methylene interrupted double bond($^5$-NMDB) showed different behaviour from a methylene interrupted double bond in a molecule with a given cahinlength. Silver-ion HPLC exhibited excellent resolution in which fractions(23 fractions) were resolv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and configuration of double bonds. In this instance, the strength of interaction of a ${\Delta}^5$-NMDB system with silver ions seemed to be weaker than a methylene interrupted double bond system. The principal triacylglycerol species are as follows ; $(C_{18:2{\omega}6)2}/C_{18:1{\omega}7}$, $C_{18:1{\omega}9}/C_{18:1{\omega}7}/C_{18:2{\omega}6}$, $(C_{18:1{\omega}7)2}/C_{18:2{\omega}6}$, $C_{16:1{\omega}7}/C_{18:1{\omega}9}/C_{20:3}{\Delta}^{5,11,14}$, $C_{16:1{\omega}7}/C_{18:1{\omega}7}/C_{20:3}{\Delta}^{5,11,14}$, $C_{18:1{\omega}9}/C_{18:1{\omega}7}/C_{18:2{\omega}6}$, $C_{18:1{\omega}9}/C_{18:2}{\Delta}^{5,5}/C_{20:3}{\Delta}^{5,11,14}$, $(C_{18:1{\omega}7)2}/C_{18:2{\omega}6}$ and $(C_{18:1{\omega}9)2}/C_{18:2{\omega}6}$, while simple triacylglycerols without $C_{18:2{\omega}6})_3$ were not present. Stereospecific analysis showed that fatty acids with ${\Delta}^5$-NMDB system and saturated chains were predominantly located at the site of sn-3 carbon of glycerol backbones. It is evident that there is asymmetry in the distribution of fatty acids in the TG molecules of Ginkgo nut oils.

저장중(貯藏中) 참깨의 결합형태별(結合形態別) 지질(脂質) 및 미량성분함량변화(微量成分含量變化) (Changes in Fractionation Pattern of the Sesame Seed Lipid and Minor Components during Storage)

  • 최상도;조무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55-260
    • /
    • 1983
  • 산가(酸價)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저장(貯藏) 4개월(個月)에서 9개월(個月)까지 뚜렷하게 증가(增加)하였다. 그러나 옥소가(沃素價)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고 또한 통기저장(通氣貯藏)이 밀봉저장(密封貯藏)보다 높았다. steryl ester는 기간(期間)이 길수록 LA에서는 증가(增加)되었으나 DS에서는 감소(減少)하였다. triglyceride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DS에서는 감소정도(減少程度)가 미약(微弱)하였으나 LA, DA와 LS에서는 감소정도(減少程度)가 컸다. 야-glycerid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LA가 가장 높고 DS와 LS가 가장 낮았다. free fatty acid는 저장(貯藏) 9개월(個月)까지는 현저(顯著)히 증가(增加)하였다가 9개월(個月) 이후(以後)는 거의 변화(變化)하지 않았다. phospholipid는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감소(減少)하였으며 밀봉저장(密封貯藏)이 통기저장(通氣貯藏)보다 감소정도(減少程度)가 적었다. 유리(遊離) sesamol은 총지방량(總脂肪量)의 $0.0021{\sim}0.0058%$이며 모든 저장조건(條件)에서 저장기간(期間)이 길수록 증가(增加)하였으나 결합(結合) sesamol과 ssamolin은 모든 조건(條件)에서 기간(期間)이 길수록 감소(減少)하였다. sesamin은 총지방량(總脂肪量)의 $0.65{\sim}1.18%$로서 저장조건(條件)에 따른 변화(變化)는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이 없었다.

  • PDF

디젤기관의 대체연료 이용에 관한 연구(III) (에스테르 연료, 연소특성해석) (A Study on Alternative Fuel as Fuel Substitutes in DI Diesel Engine III (Esterified fuel, Analysis of rate of combustion using by Wiebe's functions))

  • 오영택;정규조;촌산정
    • 오토저널
    • /
    • 제11권1호
    • /
    • pp.31-43
    • /
    • 1989
  • 제2보 (2)에서는 식물유를 연료로 사용할 경우 문제점인 시동성, 내구성 및 카본생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물리적인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기관자체는 전혀 변형시키지 않고, 점도저감을 위하여 화학적인 방법 즉, 식물유를 알콜과 반응시켜 에스테르변 환을 하여 해결하려는 방법으로, 에스테르화한 연료를 사용하였을 때의 기관성능 및 카본 퇴적 문제를 비교, 시험한 것이다. 또, 기름이 식물유와 같이 지방산으로 이루어져 있다면, 어느 기름도 에스테르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생선기름인 정어리기름의 에스테르연료도 사용하여 그 이용 가능성을 확실히 하였다. 또한, 각종 연료의 연소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한 검토를 하기 위하여, 이들의 연소율 파형을 2개의 Wiebe의 연소함수의 조합으로 표현함과 동시에 연소율 파형을 구성하는 각 변수를 해석함으로써, 기관성능치와 연소성과의 정량적인 관계에 대해서도 조사한 것이다.

  • PDF

울금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Antioxidative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 강우석;김정한;박은주;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6-271
    • /
    • 1998
  • 천연물로부터 안전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항산화성 물질을 찾기 위하여 생약류 10종을 선정하여 95% ethanol으로 추출하면서 추출 수율과 팜유를 기질로한 항산화력을 비교한 결과 울금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울금 추출물을 팜유에 대해 첨가농도를 $0.05{\sim}0.5%$까지 높혀 가면서 현재 사용되는 천연 항산화제인 mixed tocopherol, rosemary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한 결과 0.05%까지는 3종류 모두 유사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 있어서는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력이 월등히 우수하였다. 돈지에 대한 울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0.01% 첨가시 AI가 4.59로서 1.57인 팜유보다 월등하였으며, 대두유에 대해서는 첨가에 따른 항산화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각종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에 울금 추출물을 각각 0.05%, 0.1% 첨가하였을 때 oleic acid methyl ester에 대해서는 AI가 각각 3.01, 4.33으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linoleic acid methyl eser에 대해서는 각각 0.85, 0.96으로서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