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compositions

검색결과 680건 처리시간 0.032초

배양세포주(MDBK cell)내에 caffeine, 철분 및 vitamin E 혼합처리시 배양시간 경과에 따른 지질과 단백질 구성성분의 변화 (Changes of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after combined treatment of caffeine, iron and vitamin E in MDBK cells)

  • 도재철;허린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09-819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affeine or combinations of caffeine and iron or vitamin E on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in the MDBK(Mardin-Darby Bovine Kidney) cells. For the In vitro test, MDBK cells in ${\alpha}$-MEM(Minimum Essential Medium) were divided into 4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drug types and dosages as follows; the control(group A), group B was treated with 0.3mM caffeine, group C was treated with 0.3mM caffeine and 0.3mM ferric chloride, group D was treated with 0.3mM caffeine and 0.3mM vitamin E. Those groups were further divided into 5 subgroups according to the time lapsed(control, 4hrs, 8hrs, 24hrs and 48hrs lapsed group). The concentrations of the carbonyl group and malondialdehyde(MDA) and the patterns of the SDS-PAG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oxidative damages and metabolic changes on the lipid and protein components in the MDBK cell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centrations of carbonyl group and malondialdehyde in MDBK cells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and increased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But the results of groups B and D were little different in comparison to the group C. 2. As the analytical result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MDBK cells, the proportions of palmitoleic acid and linoleic acid in groups B, C and D were lower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while the proportion of arachidonic acid in groups B, C and D were significantly higher(p<0.01)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3. In order to determine the oxidative damages to the protein in MDBK cells, the patterns of the SDS-PAGE were examined and the patterns of SDS-PAGE in groups C and 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43kd and 200kd of molecular weight.

  • PDF

한국산(韓國産) 목이(木耳)와 석의(石衣)의 지방산(脂肪酸) 및 스테롤 성분(成分) 조성(組成)에 관(關)한 비교(比較) 연구(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atty Acids and Sterols of Hirneola auricula-Judae and Gyrophora esculenta)

  • 남정원;고영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2
    • /
    • 1980
  • 한국산(韓國産) 목이(木耳) 석의중(石衣中)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과 스테롤 성분(成分)의 구명(究明)을 G.L.C.와 I.R. 분석(分析)에 의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G.L.C에 의(依)한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은 목이(木耳)의 경우 linoleic acid 33.73, palmitic acid 15.52, stearic acid 5.03, oleic acid 16.03, linolenic acid 17.80 및 미지산(未知酸) 11.89%를 나타낸 반면(反面), 석의(石衣)는 linoleix acid 46.35, palmitic acid 31.71, oleic acid 16.82, 미지산(未知酸) 5.12% 및 소량(小量)의 stearic acid와 linolenic acid를 보여주었다. 스테롤 성분(成分)을 T.L.C.에 의(依)하여 분리(分離)한 후(後) I.R. 분석(分析)으로 구명(究明)한 결과(結果) 목이(木耳)와 석의(石衣) 모두 sitosterol과 ergosterol을 함유(含有) 하였다.

  • PDF

특수미 품종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조성 및 열적 특성 (Fatty Acids, Amino Acids and Thermal Properties of Specialty Rice Cultivars)

  • 최인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405-1409
    • /
    • 2010
  • 특수미 품종인 유색미, 향미, 거대배아미의 지방산 및 아미조산 조성과 호화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이며, 특히 linoleic acid와 oleic acid가 전체 지방산의 75~80%를 차지하였다. 아미노산은 품종 간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로 분석되었으며, 적진주 품종인 경우는 cysteine과 GABA가 주요 아미노산이었고, 특히, 큰눈에는 cysteine과 GABA가 유의하게 높게 함유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미의 호화특성을 DSC 분석한 결과, 찰성인 조생흑찰과 화선찰벼가 호화에 필요한 흡열 엔탈피(${\Delta}H$)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색미 품종인 흑진주와 적진주의 열적 특성인 호화개시온도, 최대호화온도 및 호화종결온도가 일반 메성 쌀인 일품현미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 유색미 품종의 취반 특성이 일반 현미에 비하여 낮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백태와 흑태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두부의 기능성 성분 분석 (Functional Ingredient Compositions of Soybean Curds(Tofu) Made with Black Soybeans(Huktae) and White Soybeans(Baktae))

  • 김강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8-163
    • /
    • 2007
  • The compositions of tofus made with Baktae and Huktae were compared to those made with other respective types of soybeans. The lipid and protein contents of Baktae were 20.8% and 39.7%, while those of Huktae were 15.8% and 41.1%, respectively. In both soybean types, linoleic acid(18:2), oleic acid(18:1), and palmitic acid(16:0)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the total fatty acids. The tofu made from Baktae was whiter than the tofu made from Huktae, as exhibited by a higher Hunter's L-value. The lipid content of the Baktae tofu(4.41%)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uktae tofu(3.26%). The amino acid compositions of the Huktae and Baktae tofus were similar, with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being the most abundant amino acids in both tofus. However, the content of the limiting amino acid, methionine, increased 2.5-fold in the tofus as compared to the soybeans, on a per gram protein basis. Isoflavones were lost during tofu making as contents for the tofu were 20${\sim}$25% of those for the soybeans.

${\omega}$-3 및 ${\omega}$-6계 지방산 첨가 사료의 급여가 어린 병아리에서 면역기관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Immune Organs in Young Chicks)

  • 안병기;연제영;지규만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9-29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omega}$-6 및 ${\omega}$-3계 지방산을 함유한 유지의 첨가비율을 달리한 실험사료를 어린 병아리에서 급여했을 때 면연 기관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5개의 처리구에 각 처리당 3반복을 두고 총 75수의 1일령 수평아리를 공시하였다. 옥수수유(CO)와 들깨유(PO)를 중량비로 각각 8%+0%, , 6%+2%, 4%+4%, 2%+6%, 0%+8% 수준으로 첨가한 반정제 실험 사료를 7주간 급여하였다. 실험 종료시 증체량 및 사료섭취량은 처리 간에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체중 100g당 간장 중량 및 면역 기관 중량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면역조직 내 지방산 조성은 EPA와 AA(arachidonic acid)를 포함하여 섭취한 사료 지방산의 조성을 잘 반영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면역기관 간에 그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들깨유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linoleie acid LA)의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였고 반면 a-linolenic acid(LNA) 비율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흉선에는 .LA와 LNA의 함량이 다른 조직보다 현저히 더 많아서 섭취하는 지방산의 조성이 가장 잘 반영되었다. 비장 조직에는 HPA 및 AA 농도와 EPA/LNA, AA/LA의 비율이 다른 조직에 비해 현저히 더 높았는데 이는 비장이 LA나 LNA로부터 AA나 EPA로 전환하는 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실험사료 급여후 2, 4주후에 조사된 anti-BSA 항체가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나 CO 8%구에 비해 PO를 첨가한 모든 구에서 더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특히 PO를 6% 및 8% 첨가한 실험구에서 20~30%나 더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섭취하는 지방산 조성에 따라 면역기관내 모든 지방산 조성이 변하였으며, 면역기관에 따라 그 반응정도가 달라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는 eicosanoids 합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금에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앞으로 더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채유방법(採油方法)이 참기름의 분획별지질(分劃別脂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Fractionatio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ach Fraction of Sesame Oil)

  • 최상도;양민석;조무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2
    • /
    • 1984
  • 1) 분획별(分劃別) 지질중(脂質中) triglyceride가 $73.4{\sim}77.2%$로 가장 높았고 채유방법별(採油方法別)로는 RWE의 triglyceride가 RTP와 RTE보다 높았다. 2) glycolipid(G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tryglyceride(TG)의 linoleic acid, free fatty acid(FFA)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phospholipid(PL)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G의 oleic acid, FFA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P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그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았다. 3) glycolipid 및 phospholipid의 $C_{18}/C_{16}$ 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의 그것은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다.

  • PDF

명태건조방법에 따른 갈변화 관련 물질의 변화 (Effects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Fatty Acids, Free Amino Acids, and Browning of Dried Alaska Pollack)

  • 최희선;김종환;김재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82-1187
    • /
    • 2007
  • 건조된 명태들은 전반적으로 다가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고 단일불포화지방산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주기적인 자연냉동과 해동을 반복하면서 건조된 명태(미숙성황태)를 장기간 숙성하여 완성한 황태의 지방산 조성은 북어나 미숙성황태와 비교해 볼 때, 원료시료(명태)간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특징적인 차이를 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황태가 북어나 미숙성황태보다 낮게 나타나 불포화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의 반응에 의한 점진적인 갈변화 현상을 설명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황태의 수용성 갈변물질은 주로 숙성단계에서 많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요소 착물형성에 의한 포화지방산 고함유 팜유 및 우지 유래 바이오디젤의 저온유동성 개선효과 연구 (Improvement of Low Temperature Property of Biodiesel from Palm Oil and Beef Tallow Via Urea Complexation)

  • 이영화;신정아;장화;이기택;김광수;장영석;박광근
    • 신재생에너지
    • /
    • 제8권4호
    • /
    • pp.38-43
    • /
    • 2012
  • Biodiesel is non-petroleum based fuel produced from vegetable oils or animal fats through transesterification. The composition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feedstocks are important factors for biodiesel quality in terms of low-temperature fluidity and oxidative stabilit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old flow property of biodiesel from vegetable and animal origin containing highly saturated methyl esters (approx. 50%). In this purpose poly-saturated methyl esters in palm and tallow biodiesel were removed via urea-based fractionation and then the recovered fractions (enriched unsaturated fatty acid methyl esters) were supplemented with cold flow improver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 methyl esters (93.8%) was obtained using a urea/fatty acid ratio of 3:1 at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0^{\circ}C$ for 17 hours in incubation, with recovery of 71% and the addition of cold flow improver (Flozol$^{(R)}$ 515, 3,000 ppm) to the enrich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methyl esters reduced the CFPP(cold filter plugging point) of palm biodiesel from $12^{\circ}C$ to $-42^{\circ}C$. In tallow biodiesel both the enrichm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methyl esters (93.71%) and the addition of cold flow improver (Infineum R408, 3,000ppm) reduced the CFPP from $10^{\circ}C$ to $-32^{\circ}C$.

동결건조 누에분말의 일반 성분 및 영양 성분 (Proximate and nutritional compositions of freeze-dried silkworm powder as edible insect resources)

  • 권해용;조유영;김현복;주완택;이지혜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33-39
    • /
    • 2019
  •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 인증을 받은 동결건조 누에분말의 일반 성분 및 영양 성분에 대하여 보고된 바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동결건조 누에분말의 일반 성분은 조단백질 57.7%, 조지방 9.5%, 조섬유 5.4%, 회분 9.3%, 수분 4.7% 내외였다. 식육성 재료나 식용 곤충에 비하여 단백질 성분이 높고 지방 성분은 낮았다. 2. 동결건조 누에분말을 이루고 있는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로 아미노산의 조성은 누에의 성장 단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3. 동결건조 누에분말은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이 약 3:7의 비율로 있으며, linolenic acid 34.7%, oleic acid 24.4%, palmitic acid 20.2%, stearic acid 9.2%, linoleic acid 7.7%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4. 동결건조 누에분말에 많이 포함되어 있는 5대 무기물은 칼륨, 인, 칼슘, 마그네숨, 황 등이 있으며, 그 외에도 구리, 망간, 아연, 철 등의 무기물을 가지고 있다.

Fatty Acid Composition of 72 Species of Korean Fish

  • Jeong Bo-Young;Choi Byeong-Dae;Moon Soo-Kyung;Lee J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1호
    • /
    • pp.129-146
    • /
    • 1998
  •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venty-two species of Korean fish muscle, 59 species of sea water fish and 13 species of fresh water fish, were studie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was the richest fatty acid group in all fish samples, accounting for $38.0\pm10.3\%$ of total fatty acids. Monounsaturated fatty acids $(MUFA,\;31.4\pm9.67\%)$ and saturated fatty acids $(SFA, 30.5\pm3.81\%)$ showed a similar leve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lipid content and MUFA (r=0.7788, p<0.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lipid content and PUFA (r= -0.7786, p<0.001) while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lipid content and SFA. The proportion of n-3 PUFA and n-6 PUFA was $29.7\pm8.73\%$ and $6,48\pm3.70\%$, respectively, in all fish samples. The n-3 PUFA was rich in sea water fish while n-6 PUFA was rich in fresh water fish. The migratory fish contained the highest level of the n-3 PUFA $(1.82\pm1.01g/100g\;muscle)$, followed by the fresh water fish $(1.09\pm1.04g/100g\;muscle)$, the reef fish $(0.90\pm0.60g/100g\;muscle)$ and the demersal fish $(0.77\pm0.38g/100g\;muscl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lipid and n-3 PUFA content, $y=0.2083\times+0.05 (r=0.9352,\;p<0.001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