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tty Acid Methyl Ester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7초

폐유지로부터 화학촉매에 의한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 (Biodiesel Production from Waste Frying Oil by the Chemical Catalysts)

  • 김덕근;이진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87-490
    • /
    • 2005
  • 재생 가능한 자원인 동식물성 기름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수송용 연료 바이오디젤은 낮은 대기오염물질 배출과 $CO_2$ Neutral 특성으로 환경친화적인 연료로 인정올 받으며 전세계적으로 그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년간 20만톤의 폐식용유가 배출되며 이중 약 10만톤이 회수 가능한 것으로 추산된다. 폐식용유의 무단 폐기로 인한 수질오염과 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및 에너지 생산 관점에서 폐식용유를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높은 함량의 유리지방산을 함유한 폐식용유를 효율적으로 전이에스테르화(methanolysis) 하기 위해서는 먼저 산 촉매를 이용한 유리지방산의 전환 제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강산성 이온교환 수지를 폐식용유의 전처리(pre-esterification)용 고체 산 촉매로 회분식 반응기에서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 Amberlyst-15가 유리지방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분식 반응기에서 도출된 최적 전처리 반응조건을 적용한 200시간 이상의 연속 전처리 운전결과 폐식용유에 함유된 $5\%$의 유리지방산이 $90\%$이상 전환제거 되었다 전처리 반응 후의 폐식용유를 균질계 염기촉매(KOH) 존재하에 메탄올과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을 시킨 결과 바이오디젤로 불리는 지방산메틸에스테르(Fatty Acid Methyl Ester, FAME)의 생산 수율은 $85\%$로 얻어졌으며 국내 바이오디젤 표준 규격에 따른 연료특성 분석 결과 FAME의 농도 규격을 제외한 모든 항목이 국내 규격을 만족하였다 폐식용유 바이오디젤의 FAME 농도가 $94.3\%$로 국내 규격$96.5\%$에 미달하는 문제는 식물성 원료유로 제조한 고순도 바이오디젤과 혼합 사용하거나 감압 증류 공정을 통해 고농도의 폐식용유 바이오디젤을 제조하여 해결 가능하다. 대전시 신성동 소재의 음식점에서 수거한 폐식용유를 원료로 하여 생산한 바이오디젤의 차량 배출가스 실증 테스트 결과 경유 차량의 주 오염물질인 PM과 Soot 및 기타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감소하였으나 NOx의 배출량은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Biodegradable Mulch Film on Soil Microbial Community

  • Moon, Jin-Young;Song, Jae-Ki;Shin, Jung-Ho;Cho, Yong-Cho;Bae, Jin-Woo;Heo, Jae-Young;Kang, Hang-Won;Lee, Young-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5-131
    • /
    • 2016
  • The biodegradable film application can escape from plastic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experiments studied the effect of biodegradable mulch film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using fatty acid methyl ester method in soybean production field. The soil $NO_3$-N content in polyethylene mulch film (PE) soi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iodegradable mulch film soil (p < 0.05).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of Gram negative bacteria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biodegradable mulch film soil than PE mulch film soil (p < 0.05). In addition, biodegradable mulch film soil had significantly low ratio of cy17:0 to $16:1{\omega}7c$ and cy19:0 to $18:1{\omega}7c$ compared with those of PE mulch film soil (p < 0.05), indicating that microbial stress decreased. The ratio of cy17:0 to $16:1{\omega}7c$ and cy19:0 to $18:1{\omega}7c$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responsible factor for the obvious differentiation that was observed between the biodegradable mulch film soil and PE mulch film soil in a upland field.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tion show the potential of using biodegradable mulch film in place of PE.

Impacts of Soil Organic Matter on Microbial Community of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 Son, Daniel;Sonn, Yeon-Kyu;Weon, Hang-Yeon;Heo, Jae-Young;Kim, Dae-Ho;Choi, Yong-Jo;Lee, Sang-Dae;Ok, Yong Sik;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83-788
    • /
    • 2016
  • Agricultural management of paddy soil depends on the effects of soil microbial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of 25 paddy soils in Gyeongnam Province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The avera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paddy soils were 32.2% of total bacteria, 16.7% of Gram-negative bacteria, 12.9% of Gram-positive bacteria, 2.0% of actinomycetes, 14.9% of fungi, and 1.3%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The communities of total bacteria (34.9%) and Gram-negative bacteria (19.4%) in soils with $30{\sim}35g\;kg^{-1}$ of organic matter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soils with other organic matter levels. However, soils with $20{\sim}30g\;kg^{-1}$ of organic matter had significantly low ratio of cy17:0 to $16:1{\omega}7c$ and cy19:0 to $18:1{\omega}7c$ as compared with soils with $30{\sim}35g\;kg^{-1}$ of organic matter, indicating microbial stress decreased (p < 0.05). In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Gram-negative bacteria should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responsible factor for the obvious microbial community differentiation that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different organic matter levels in paddy fields. Thus, soils containing $20{\sim}30g\;kg^{-1}$ of organic matter were responsible for strong effect on microbial biomass and stress in paddy fields.

Impacts of Soil Texture on Microbial Community of Orchar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 Kim, Min Keun;Sonn, Yeon-Kyu;Weon, Hang-Yeon;Heo, Jae-Young;Jeong, Jeong-Seok;Choi, Yong-Jo;Lee, Sang-Dae;Shin, Hyun-Yul;Ok, Yong Sik;Lee, Young Ha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81-86
    • /
    • 2015
  • Soil management for orchard depends on the effects of soil microbial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of 25 orchard (5 sites for sandy loam, 7 sites for silt loam, and 13 sites for loam) in Gyeongnam Province by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The average values for 25 orchard soil samples were $270nmol\;g^{-1}$ of total FAMEs, $72nmol\;g^{-1}$ of total bacteria, $34nmol\;g^{-1}$ of Gram-negative bacteria, $34nmol\;g^{-1}$ of Gram-positive bacteria, $6nmol\;g^{-1}$ of actinomycetes, $49nmol\;g^{-1}$ of fungi, and $7nmol\;g^{-1}$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addition, silt loam soils had significantly low ratio of cy17:0 to $16:1{\omega}7c$ and cy19:0 to $18:1{\omega}7c$ compared with those of loam soils (p < 0.05), indicating that microbial activity increased. The average soil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orchard soils were 26.7% of bacteria, 17.9% of fungi, 12.6% of Gram-negative bacteria, 12.5% of Gram-positive bacteria, 2.5%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2.2% of actinomycetes.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of Gram-negative bacteria in silt loam soil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andy loam and loam soils (p < 0.05).

시설딸기재배지 토양에서 염류농도가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ctrical Conductivity on the Soil Microbial Community in a Controled Horticultural Land for Strawberry Cultivation)

  • 이영한;안병구;손연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830-835
    • /
    • 2011
  • 시설딸기 재배지에서 염류농도가 생육초기 토양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FAME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토양 총 세균 함량, 그람음성 세균 함량, 그람양성 세균 함량, 방선균 함량, 곰팡이 함량, 내생균근균 함량은 염류농도가 높은 토양이 적정한 토양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1). 토양 환경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는 cy17:0과 16:$1{\omega}7c$ 그리고 cy19:0과 18:$1{\omega}7c$ 비율은 상대적으로 염류농도가 적정한 토양에서 낮은 경향을 보여 토양 환경 스트레스가 적은 것으로 판단 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세균, 그람음성 세균, 그람양성 세균, 방선균, 곰팡이 및 내생균근균 군집은 염류농도가 높은 시험구가 염류농도가 적정한 시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이었다.

지방산 조성에 의한 vibrio cholerae non-O1의 화학분류학적 관계 (The Chemotoxonoic Relationship of Vibrio cholerae non-O1 by Fatty Acid Compositions)

  • 성희경;이원재;장동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9-154
    • /
    • 1998
  • Vibrio cholerae non-O1 49균주와 V. Vibrio cholerae non-O1, V. mimicus, V. vulnificus와 V. parahaemolyticus의 균체 지방산(fatty acid methyl ester; FAME)을 gas liquid chromatogrphy로 분석하였다. 이들 분석자료를 통계학적으로 처리하여 Vibrio 종과 V. cholerae의 혈청형별 유연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검출된 지방산은 모두 41종이었고 분포량이 많은 것은 16:0, 16:1 cis 9, 18:1 trans 9/16/cis 11과 15:0 iso 2 OH/16:1 cis 9였다. 검출된 지방산 중에서 35종은 V. cholerae를 동정하는데 주요한 인자로 작용되었다 지방산분포를 UPGMA(비가중수리분석)으로 dendrogram을 작성한 결과 V. cholerae non-O!은 V. cholerae O1보다 V. choleare non-O1 중에서 O2, O5, O8, O10, O14, O27, O37, O39, O45와 O69의 총 10종류 혈청을 대상으로 지방산 조성에 의한 유사성을 검토한 결과 유사도가 92% 이상 수준에서 7개의 아종을 형성하여 혈청형과 지방산 조성간에는 유의할 만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V. cholerae non-O1의 동정 및 역학적인 조사시 지방산 분석은 유용하게 활용될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효소 촉매를 이용한 고산가 폐유지 유래 바이오디젤 합성 (Enzymatic Biodiesel Synthesis of Waste Oil Contained High Free Fatty Acid)

  • 전철환;임광묵;김재곤;황인하;나병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048-1056
    • /
    • 2018
  • 비식용 원료인 Palm Acid Oil, 동물성 폐유지 등은 상대적으로 자유 지방산 함량이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염기 촉매를 이용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적합하지 않다. 효소 촉매를 이용하면 염기 촉매에서 해결할 수 없는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가 작고, 바이오디젤 부산물인 글리세롤 회수가 쉬우며, 자유 지방산 함량이 높은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대한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화 효소 촉매를 이용하여 1 ton/day 용량의 반응기에서 비식용 폐유지를 바이오디젤로 합성하였으며, 반응 공정의 변수를 최적화하였다.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 박미란;이재준;김아라;정해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53-860
    • /
    • 2010
  •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ose, galact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함량이 2,432.53 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순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83.57 mg%로 가장 많아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threonine, phospho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caproic acid methyl ester가 58.23%, pentadecanoic acid가 41.77%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극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함량 분석으로 항산화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0.0194 mg%, 0.0184 mg% 및 0.1833 mg%로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Ca 함량이 3,135.20 mg%로 가장 많았으며, K이 1,434.60 mg%였고 다음으로 Mg, Na, Mn, Fe, Zn, Cu 순으로 검출되었고 Zn과 Cu의 함량은 미량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ma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Enzymatic Methanolysis of Castor Oil for the Synthesis of Methyl Ricinoleate in a Solvent-Free Medium

  • YANG JUNG-SEOK;JEON GYU-JONG;HUR BYUNG-KI;YANG JI-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6호
    • /
    • pp.1183-1188
    • /
    • 2005
  • Several lipases of commercial grade were screened to catalyze the methanolysis of castor oil, and an immobilized Candida antarctica (Novozym 435) had the highest activity among the lipases tested. To enhance the yield of methyl ricinoleate, several reaction parameters were optimized. The optimum temperature was $50^{\circ}C$, and the original water content of lipase was sufficient to maintain the activity of lipase, and additional water supplied inhibited the methanolysis of castor oil. Because the lipase was deactivated by methanol, the reaction was tested by three-step addition of 1 molar equivalent of methanol to the oil. However, the oil was not completely converted to its methyl esters. The final reaction mixture using 3 molar equivalents of methanol to the oil consisted of $70\%$ methyl ricinoleate, $18\%$ monoricinoleate, $11\%$ diricinoleate, and trace triricinoleate at the equilibrium state. The yield of methyl ricinoleate was $97\%$ at 6 molar ratio of methanol to the oil with 300g of castor oil and 6g of immobilized Candida antarctica at $50^{\circ}C$ within 24 h.

Neuraminidase Inhibitors from Mushroom Microphorus affinis

  • Kim, Kyung-Bum;Kim, Sang-In;Song, Kyung-S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778-782
    • /
    • 2003
  • In the course of screening anti-influenza agents from natural products, four neuraminidase inhibitors were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mushroom Microphorus affinis by purification using solvent parti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and semi-preparative HPLC.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lpha}-lupeol$, methyl linoleate, methyl palmitate, and methyl oleate by means of spectral data including GC-MS, $^1H-,\;and\;^{13}C-NMR\;with\;IC_{50}$ values of 5.65, 7.07, 7.12, and $7.52\;\mu\textrm{M}$, respectively. They did not inhibit other glycosidases such as glucosidase, mannosidase, and galactosidase, indicating that they were relatively specific inhibitors of neuraminida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ty acid structure and inhibitory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case of an aliphatic linear hydrocarbon skeleton, at least one carboxyl (presumably any carbonyl) moiety and sixteen carbons were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potent inhibition, whereas saturated, unsaturated, free, and ester form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