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actors with consumers' fashion experiential store experience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n flow and brand attitude.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fashion experiential store experiences and flow. An online survey of consumers in their 20s and 40s was conducted. The SPSS 27.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SMART-PLS program.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confirmed that consumers' rational, physic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in fashion brand experiential stores strongly influenced flow and found that relational experience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flow. The influence of rational, physical, and relational experiences and flow on brand attitude was confirmed, where flow had the strongest effect on brand attitude. The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fashion experiential store experiences and flow found that the effect in men was significant for flow and brand attitude through rational experience and that the effect in women was significant for flow and brand attitude through relational experience. These result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and by strengthening consumer flow, we intend to propose the establishment of a marketing strategy and opportunity plan that can elicit a positive brand attitud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informational messaging and eco-conscious ambiances in online virtual reality (VR) fashion stores on consumers' intentions for eco-friendly consumption. By focusing on three dimensions of message informativity and the persuasive power of eco-friendly consumption messages, we investigate how immersive VR environments can foster eco-friendly consumption. Using a three-dimensional VR store simulation with eco-friendly and modern designs, the study assessed the effects on consumers' perceptions and intention through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and cue consistency theory.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VR store under two primary visit motivation typess-browsing versus purchasing-and two store ambiance types-eco-friendly versus modern-and then completed online survey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co-friendly VR ambianc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perceived informativity and persuasiveness of eco-conscious consumption messages, particularly among exploratory shoppers. Reliability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boosting message persuasiveness and eco-friendly consumption participation inten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R technology can effectively promote sustainable fashion by creating reliable, immersive experiences. Given that current VR store visits are often motivated by interest-based browsing rather than by specific purchase inte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co-conscious consumption messaging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he new fashion retail spac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figure out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urban outdoor wear and to provide the guidelines for product quality improvement using Kano model. A total of 270 responses were analyzed by SPSS 20.0 through frequency and factor analysis. Respondents' levels for outdoor activity & outdoor products possession being still low, steady growth in urban outdoor wear market is expected. A total of eight quality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suitability, production quality, functionality, ease of care, fabric performance, portability, fashionability, and symbolism. Based on Kano model, quality factors of urban outdoor wear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one-dimensional; indifferent; and must-be quality factor.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ere satisfied with urban outdoor wear only when it meets the needs for suitability for body types and ease of care, meaning that manufactures should be cautious not to lose these features. Being must-be quality factor, production quality(form stability, quality of subsidiary materials), and fabric performance such as colorfastness should be basically satisfi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quality feature on satisfaction/dis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using CSC(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Based on the CSC, every item was classified again. Attractive quality features with large CSC were shown in suitability factor. Must-be quality features with small CSC were mainly shown in functionality and fabric performance factors. These findings imply that manufactures of urban outdoor wear should not only maintain the production quality but also focus on suitability features to differentiate their product with previous products.
본 논문은 웹 기반 3D 패션몰 구축 시 필요한 3D 모델의 패션쇼 애니메이션 설계 기법 및 구현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3D MAX를 이용하여 제작된 3D 모델을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출력시킨 후, D3D(Direct 3D)를 사용하여 제작된 ActiveX 컨트롤을 이용하여 웹상에 구현하였다. 소비자가 웹기반 패션몰에서 선택한 다양한 의상을 입은 3D 모델의 패션쇼 애니메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형태의 3D 모델에 계층적 구조를 가진 근사 의상을 이용하여 표현하였다. 근사의상은 표준 의상 조각들을 설계하고 제작한 후, 이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구현하였으며, 여기에 텍스처를 맵핑하여 소비자가 선택한 의상의 근사 모델이 표현 될 수 있도록 구현 하였다.
최근 사회적·교육적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 capstone design을 활용한 교육적 접근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Capstone design이 접목된 모델학과의 교과목 개발은 패션쇼 현장에서 패션모델로서의 실무 역량을 증진시켜 줌과 동시에 패션쇼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켜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패션모델학과의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을 적용한 교육 과정을 개발 및 그 성과를 제시하고, 교수자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함의점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캡스톤 디자인 교수법과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관련된 이론적 연구 및 캡스톤 디자인이 반영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의 과정을 안내하기 위한 모형개발연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capstone design을 접목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들의 수업 수행 방식이나 과정 및 학습 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수업 수행 과정에 대해 매우 큰 만족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Capstone design을 활용한 모델작품발표 교과목을 진행함에 있어 교수자의 측면에서 고려해야할 함의점으로, 패션과 관련된 심층적·융합적인 관점에서의 교육에 대한 필요, 공간에 대한 시간적·공간적 활용도의 개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및 산업체들간의 연계성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산업체와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통한 교육 범위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tested how the mobile impulse buying(m-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was related to shopping motives and mobile applications(apps) browsing in the context of mobile shopping. A total of 316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m-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during the most recent six month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 correlation matrix with maximum likelihood was estimated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shopping motives(e.g., hedonic shopping motive and utilitarian shopping motive), apps browsing, and m-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e.g.,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and pure impulse buying) by AMOS 21.0. Findings showed that hedonic shopping motive and utilitarian shopping motive had significant effects on apps browsing in their mobile shopping. Apps brows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but did not significantly effect on pure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Additionally, the hedonic shopping motive had directly significant effects on both fashion-oriented impulse buying and pure impulse buying, whereas the utilitarian shopping motive significantly effected on only the pure 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in their shopping.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hedonic shopping motive played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m-impulse buying of fashion products and the utilitarian shopping motive played a role in activating apps browsing relevant to mobil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retailers related to the fashion products in mobile shopping.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using computers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 virtual space created by virtual reality experiences boosted by the power of artificial intelligence, provides a new experience for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w aesthetics that the fashion industry provides to users in virtual space created by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is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virtual space and constructs a research model applied to this research. The scope of this study is the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fashion shows, fashion exhibitions, and fashion design apps on the website of professional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fashion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2014 to 2019, which actively merged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th modern fashion. We will analyze the cases one by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constructed virtual space of modern fashion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creates three kinds of physical space, perceptual space, and imaginary space based on the commutative theory of virtual space formed by Swedish scholar J. $Widestr{\ddot{o}}m$. Second, virtual reality technology applied to fashion shows, fashion exhibitions, and fashion design apps is characterized by four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presence, perceptual expansion, interactivity, and immersion in physical space, perception space, and imagination spac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ashion students are expected to work with various technologies to show creativity. This study aimed to conduct project-based learning(PBL) in collaboration with industry experts to design and operate artificial intelligence(AI) in the practice subject of fashion curation through the industrial academic teaching method. We first looked at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incorporating PBL in various academic fields. Next, we analyzed fashion projects and fashion curation services applying AI. Then through the question-and-answer method and by consulting with industry experts, we developed a curriculum for AI fashion curation, applying PBL(fashion market and trend analysis; new styles and time, place, and occasion planning; AI machine learning data set production; curation model development; and evaluation) suitable for the university's educational environment,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conditions, and fashion students. As part of a close cooperation system with the industry, we conducted a 15-week Fashion Project II (Capstone Design) course and evaluated the outcomes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new style, and time, place, and occasion categories and to utilize strategies for AI fashion curation services reflecting the unique need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Fur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y successfully applied PBL in class using AI technology in fashion education.
Despite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value of emotions and younger consumers in luxury market segments, littl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ole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play in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brands. Drawing on the identity-motivation model and the idea of self-construal, this study identifies the contributing factors of younger consumers' commitment to luxury fashion brand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consumer characteristics (i.e., self-construal), the self-expressiveness of brands, and emotional factors (i.e., brand love and brand attachment) in developing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e proposed model was tested with college students in the U.S., which supplied a representative group of younger consumers of luxury fashion brand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web-based survey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who were characterized with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had positive perceptions of self-expressive luxury fashion brands. Furthermore, the perception of self-expressive brands promotes the consumers' brand love of and brand attachmentto luxury fashion brands. Also, while both improved brand commitment, brand attachment had a greater impact on brand commitment than brand lov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dentifying driving forces of younger consumers' brand commitment. It also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luxury fashion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star marketing of on-line shopping malls affects consumers' WOM effect,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consumption behavior between female teenagers and college students. Two hundred five female teenagers and college students who had purchased fashion goods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As the results, first, recognition of celebrity advertising models wa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trust of product', 'attractiveness of product' and 'leading interest of product' factors. Second, the greater exposure to celebrity models, the greater the good feelings about them, showing respondents' positive consumption behavior. Thir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behavior of pursuing celebrities' style accounted for 37% of the explained variance WOM behavior. Finally, t-test reveal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ffected more by celebrity style and bought fashion items than female teenagers. However, female teenagers conducted more WOM behavior tha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on-line fashion marketers would use these data for more their efficient fashion marketing strategies.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