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n Ar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3초

현대공연장에 나타난 고전유형의 적용경향에 관한 연구 - 무대와 객석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lassic Styles in Contemporary Performing Art Centers - Focusing on Stage and Auditorium Space -)

  • 김성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180-187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tion tendency of the western classical style which appears in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centers. The types of space in performing arts center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times. There were somewhat fixed stage and auditorium types for each period ; the ancient times had the arena stage and round auditorium, the Renaissance the proscenium stage and the U-shaped auditorium, the Elizabethan period the thrust stage and polygonal auditorium, and the modern times the proscenium and apron stage, the horseshoe and fan type auditorium. Today since the purposes of performance are multiple, a variety of stage types are applied to each performing arts center. They use various spaces and performances of multiple purposes by moving and transforming the stage and auditorium according to the kinds of performance as a variation of the arena and proscenium stage. Recently there appear complex performing arts centers that can plan performing spaces of diverse sizes and forms to fit the functions of a performance in a large building. Since they put on performances in a large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ind of performance, the intentions and goals of the performance are well delivered to the audience.

An Adaptive Iterative Algorithm for Motion Deblurring Based on Salient Intensity Prior

  • Yu, Hancheng;Wang, Wenkai;Fan, Wensh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2호
    • /
    • pp.855-870
    • /
    • 2019
  • In this paper, an adaptive iterative algorithm is proposed for motion deblurring by using the salient intensity prior. Based on the observation that the salient intensity of the clear image is sparse, and the salient intensity of the blurred image is less sparse during the image blurring process. The salient intensity prior is proposed to enforce the sparsity of the distribution of the saliency in the latent image, which guides the blind deblurring in various scenarios. Furthermore, an adaptive iteration strategy is proposed to adjust the number of iterations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atent image and the similarity of the estimated blur kernel. The negative influence of overabundant iterations in each scale is effectively restrained in this way. Experiments on publicly available image deblurring datase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s state-of-the-art deblurring results with small computational costs.

Fast and Accurate Single Image Super-Resolution via Enhanced U-Net

  • Chang, Le;Zhang, Fan;Li, Bia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4호
    • /
    • pp.1246-1262
    • /
    • 2021
  •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strong ability of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s) to significantly boost the performance in single image super-resolution (SISR). The key concern is how to efficiently recover and utilize diverse information frequencies across multiple network layers, which is crucial to satisfying super-resolution image reconstructions. Hence, previous work made great efforts to potently incorporate hierarchical frequencies through various sophisticated architectures. Nevertheless, economical SISR also requires a capable structure design to balance between restoration accuracy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which is still a challenge for existing techniques. In this paper, we tackle this problem by proposing a competent architecture called Enhanced U-Net Network (EUN), which can yield ready-to-use features in miscellaneous frequencies and combine them comprehensively. In particular, the proposed building block for EUN is enhanced from U-Net, which can extract abundant information via multiple skip concatenations. The network configuration allows the pipeline to propagate information from lower layers to higher ones. Meanwhile, the block itself is committed to growing quite deep in layers, which empowers different types of information to spring from a single block. Furthermore, due to its strong advantage in distilling effective information, promising results are guaranteed with comparatively fewer filters. Comprehensive experiments manifest our model can achieve favorable performance over that of state-of-the-art methods, especially in terms of computational efficiency.

Bird's Eye View Semantic Segmentation based on Improved Transformer for Automatic Annotation

  • Tianjiao Liang;Weiguo Pan;Hong Bao;Xinyue Fan;Han L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8호
    • /
    • pp.1996-2015
    • /
    • 2023
  • High-definition (HD) maps can provide precise road information that enables an autonomous driving system to effectively navigate a vehicle. Recent research has focused on leveraging semantic segmentation to achieve automatic annotation of HD maps. However, the existing methods suffer from low recognition accuracy in automatic driving scenarios, leading to inefficient annotation proces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emantic segmentation method for automatic HD map annotation. Our approach introduces a new encoder, known as the convolutional transformer hybrid encoder, to enhance the model's feature extraction capabilities. Additionally, we propose a multi-level fusion module that enables the model to aggregate different levels of detail and semantic information. Furthermore, we present a novel decoupled boundary joint decoder to improve the model's ability to handle the boundary between categories. To evaluate our method, we conducted experiments using the Bird's Eye View point cloud images dataset and Cityscapes dataset. Comparative analysis against stateof-the-art methods demonstrates that our model achieves the highest performance. Specifically, our model achieves an mIoU of 56.26%, surpassing the results of SegFormer with an mIoU of 1.47%. This innovative promises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efficiency of HD map automatic annotation.

Hybrid adaptive neuro-fuzzy inference system method for energy absorption of nano-composite reinforced beam with piezoelectric face-sheets

  • Lili Xiao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41-154
    • /
    • 2023
  • Effects of viscoelastic foundation on vibration of curved-beam structure with clamped and simply-supported boundary conditions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 doing so, a micro-scale laminate composite beam with two piezoelectric face layer with a carbon nanotube reinforces composite core is considered. The whole beam structure is laid on a viscoelastic substrate which normally occurred in actual conditions. Due to small scale of the structure non-classical elasticity theory provided more accurate results. Therefore, nonlocal strain gradient theory is employed here to capture both nano-scale effects on carbon nanotubes and microscale effects because of overall scale of the structure. Equivalent homogenous properties of the composite core is obtained using Halpin-Tsai equation. The equations of motion is derived considering energy terms of the beam and variational principle in minimizing total energy. The boundary condition is assumed to be clamped at one end and simply supported at the other end. Due to nonlinear terms in the equations of motion, semi-analytical method of general differential quadrature method is engaged to solve the equations. In addition, due to complexity in developing and solving equations of motion of arches,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is design and implemented to capture effects of different parameters on the inplane vibration of sandwich arches. At the end, effects of several parameters including nonlocal and gradient parameters, geometrical aspect ratios and substrate constants of the structure on the natural frequency and amplitude is derived. It is observed that increasing nonlocal and gradient parameters have contradictory effects of the amplitude and frequency of vibration of the laminate beam.

충남 무형문화재 공작부채를 활용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 사례 연구 (Case Study of Regional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Using Peacock Fan Intangible Cultural Asset)

  • 김대기;손지영;백유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87-102
    • /
    • 2020
  • 세계화 시대에 걸맞게 문화 원형을 보존한 콘텐츠 제작으로 가장 한국적인 이미지를 재고하고자 지역 문화가 살아 있는 문화예술교류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의 특성을 찾음으로써 지역을 대표하는 춤과 음악, 미술, 대중문화, 축제, 역사기록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를 원천으로 하였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생성되어 창의성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그 지역의 대표브랜드이자 문화콘텐츠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세계화 시대에 지역 문화자원의 원초적 근원을 찾고, 그에 대한 흔적을 보전하고자 서천지역을 중심으로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춤 움직임을 통해 서천공작부채춤 모형을 콘텐츠 개발하였다. 현시대 보존가치가 있는 충남 무형문화재 제21호 이광구 장인의 작품 서천공작부채는 둥근 모양 부채로 손으로 쥘 자루와 공작새 머리의 모양을 하고 있는 공예작품이다. 무형문화재인 공작부채 공예작품을 소재로 활용 제작된 다양한 예술 장르 개발이 문화상품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콘텐츠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관객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소재들이 잘 엮어져 있어야 하기 때문에 스토리텔링 또한 문화콘텐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이다. 본 연구는 역사 속에서 내려져 오면서 원형을 보존해온 충남 서천지역의 무형문화재 공작부채가 급속한 도시화와 현대화의 변화에도 지역의 관심을 받고 재조명되기 위해 개발된 지역춤 콘텐츠로 총 4개 연작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표적인 4개 연작의 형식은 독무, 2인(人)무, 군무, 창작으로 이루어지며 각 작품의 제목은 기본 형태의 춤 <서천공작부채춤>, 남·녀 사랑의 춤 <월·하·정·인>, 군무 형태의 춤 <바람의 멋>, 마지막으로 한국 창작 춤 <휘영>이다. 4개 연작의 공통점은 공작부채를 활용한 전통춤으로 각각의 춤은 형식이 다른 주제와 음악, 의상 및 무대 등을 통해 고유한 정서와 분위기를 보여주었다. 우리의 전통문화자원인 무형문화재를 활용해 다른 지역적과 차별화된 지역춤 콘텐츠 개발을 통해 콘텐츠로서 국제교류와 미니어처, 캐릭터 제작을 통해 문화상품으로서의 성장 가능성과 지역과 국가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지역경제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문화예술 현장뿐 아닌 국제교류를 통한 세계화 작업을 통해 대중이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콘텐츠로 제작하여 지역 고유문화를 이용한 지역춤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로 개발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 문화유산의 특성을 반영하여 재창조된 지역 춤 콘텐츠 개발이 앞으로도 현대화 작업으로 꾸준히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우리의 전통문화자원인 무형문화재를 활용해 지역적 차별화라는 성장 가능성과 지역과 국가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세계화 작업을 위해 현존하는 문화자원을 보존하고 이를 대중이 접근하기 용이하도록 콘텐츠로 제작한다면 지역 고유문화를 이용한 지역춤 외에도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알바 알토(Alvar Aalto)의 유기적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 Design of Alvar Aalto)

  • 이종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2호
    • /
    • pp.91-99
    • /
    • 1997
  • Alvar Aalto has pursued National Romanticism, cultural art movement in scandinavian peninsula, organic concepts of growth and suitability, comprehensive view of nature including a possibility of coexistance of human-being and the nature well harmonized. For instance, his design expressed local features of the nature, human emotions instead of geometical arts and mathematical principles. It is noteworthy today that he built up the identity with satrical architecture vocabularies, different from modern arch-itechtural idiology. The characte-ristics of his design related to interior architecture are collectively as follows; The first, Space discontinuity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gradual process by joints which are inclined to collage with many shapes in plan and section of the space and such joints are adjusted by sensual ways and stressed with inner collectivity in his works. The second, He pursued the architectural orderfor modern irreqularity, various changes and sensual harmonies. As result, free curved line, fan shape and irregular modeling were individually expressed by technics of natural features and national characteristics of Finland. The third, Organic synthesis. A harmony through med-ums in its space, materials and space effectiveness relations are made and expressed for mixed design especially harmonized of all the materials he planned, entire harmony with total design, itemized details, materials and furnitures in entire space. The fourth, The interest of the nature based on his sense harmonized with nature made him mainly use native materials, lumbers and red bricks masonry and showed and arranged various interior sky light and grazed in to let natural light in, harmony with garden to sensually cohere to the nature and courtyard, etcetera. His major subject are to direct architectural developments through the nature and human-being in his works. At this point, it is considered that his direction of the locality and independence as a human-being made the concepts of organic space structure possible.

  • PDF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시기 왜성 축조방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the Japanese Castle at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n 1597)

  • 이형재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1호
    • /
    • pp.31-49
    • /
    • 2009
  • Periodically, the Japanese Castle was created in the domestic of Japan and then 2 Invasions into Chosun was started. The Japanese Castle in the domestic of Japan was repaired several times by the building boom of castle before & after 2 invasions and so the initially-built type of castles was changed. Accordingly, there are much difficulties to understand the original shape of Japanese Castle. Through the Japanese Castle within Korea called as the fossil of Japanese Castle, I would like to examine & consider its building period and characteristics. The terminology called as [Two Side Stone's Wall] is that of castle which is not acknowledged in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However, it means the two-fold wall of Japanese Castle which was widely applied to the fortification way in the Age of Japan Edo. The terminology of [Sori] says the stonework curve in the corner of Japanese Castle which is indicated best in the Japanese Castle. It calls the curve as like the fan frame. [Curb Stone's Wall] says the type of castle wall constructed with over 1 face in wall body of Japanese Castle. (1) About classify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Japanese Castle, the curb stone's wall and the castle having no two side stone's wall must consider the building period as that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f there was [Sori], the two-side stone's wall was used and the place which supported the documentary data, in particular, the place having the record of contraction is considered to be confirmed as the castle constructed in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2) The two-side-type stone's wall shown in the Modern Japanese Stone Castle is difficultly considered to be generated from the Japanese Castle at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in 1597. (3) The beautiful [Sori] shown in the Modern Japanese Stone Castle was started from the Japanese Castle of Korea at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It is difficultly considered which its indication was firstly generated by the Chaesung-Folded Segment Structure.

  • PDF

Wind profile management and blockage assessment for a new 12-fan Wall of Wind facility at FIU

  • Aly, Aly Mousaad;Chowdhury, Arindam Gan;Bitsuamlak, Girma
    • Wind and Structures
    • /
    • 제14권4호
    • /
    • pp.285-300
    • /
    • 2011
  • Researchers at the International Hurricane Research Center (IHRC),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FIU), are working in stages on the construction of a large state-of-the-art Wall of Wind (WoW) facility to support research in the area of Wind Engineering. In this paper, the challenges of simulating hurricane winds for the WoW are presented and investigated based on a scale model study. Three wind profiles were simulated using airfoils, and/or adjustable planks mechanism with and without grids. Evaluations of flow characteristics were performed in order to enhance the WoW's flow simulation capabilities. Characteristics of the simulated wind fields are compared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a study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and also validated via pressure measurements on small-scale models of the Silsoe cube building. Optimal scale of the test model and its optimal distance from the WoW contraction exit are determined - which are two important aspects for testing using an open jet facility such as the WoW.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 WoW capabil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test section by means of intensive tests and validations at small scale in order to apply this knowledge to the design of the full-scale WoW and for future wind engineering testing.

조선말기 백선도(百扇圖)의 새로운 제작경향 - 독일 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百扇圖) 초본(草本)>을 중심으로 - (New Trends in the Production of One Hundred Fans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One Hundred Fans Painting in the Museum am Rothenbaum Kulturen und Künste der Welt in Germany and Its Original Drawing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권혜은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239-260
    • /
    • 2019
  • 본 논고는 19세기 이후 형성된 서화(書畫)의 유통과 확산의 양상을 당시 활발히 제작된 장식병풍 중 하나인 <백선도(百扇圖)>의 예를 통해 살펴본 글이다. 백선도는 화면에 다양한 형태의 부채를 겹쳐서 배치하고 각각의 선면(扇面) 안에 여러 종류의 화제(畫題)를 그린 것을 말한다. 부채와 선면화(扇面畫)라는 소재는 이전부터 존재하였지만 장식용 회화의 소재로 등장한 것은 19세기 이후로, 호사취미 경향을 반영하여 주로 병풍(屛風)으로 활발히 제작되었다. 지난 2016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미술 속 도시, 도시 속 미술'에서 독일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백선도>가 새로이 소개된 바 있다. 6폭으로 구성된 이 병풍에는 한 폭 당 5개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부채들이 등장하고 각 부채 면에는 단순히 채색한 것 뿐 아니라 다양한 화목(畫目)의 그림들이 남아있다. 무엇보다 이 작품을 주목해야 하는 것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동일한 초본(草本)이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이전의 왕실이나 사대부들이 사적인 공간에서 향유하였던 서화(書畫)는 민간으로 확산되었고 시장을 통한 유통의 단계로 넓어졌다. 집안을 꾸미고 장식하는 풍조에 따라 화려한 장식그림들이 선호되었고, 한 폭에 다양한 형태의 화면과 다채로운 畫目(화목)의 그림을 그려 완성하는 백납도병풍 제작이 성행하였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한국 컬렉션의 상당수는 독일 주재 조선국 총영사이자 독일의 사업가였던 하인리히 콘스탄틴 에두아르 마이어(Heinrich Constantin Eduard Meyer, 1841~1926)의 수집품이다. 그는 1890년대 후반부터 1905년까지 조선과 독일을 오가며 다양한 유물들을 수집하여 독일에 돌아가 1909년까지 순차적으로 수집품을 로텐바움박물관에 전달하였으며, <백선도>도 그 중 하나이다. 새롭고 장식미가 돋보이는 <백선도>는 조선에 들어와 있던 외국인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납도>는 제2폭의 뒷면에 "동현(銅峴)"이라는 지명이 적힌 종이조각이 거꾸로 붙어있어 흥미를 끈다. 동현은 지금의 서울 을지로 1가와 을지로2가 사이에 위치했던 곳이며, 조선시대에는 도화서(圖畫署)를 비롯한 혜민서(惠民署)·장악원(掌樂院) 등의 관청과 시전(市廛)이 있어 가내수공업이 성하던 지역이었다. 실제로 1900년대 초 이곳에는 서화를 유통하는 상점들이 자리잡고 있었기 때문에, 마이어가 수집했던 서화들의 구입처가 동현에 위치했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하겠다.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는 총 6폭의 병풍으로, 1980년대에 한국 서화 소장품들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모습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백선도 초본>은 1945년부터 1950년 사이 국립민족박물관에 입수된 작품이다. <백선도 초본>은 총 7점으로, 7점 중 6면 화면의 여백에 화면의 순서까지 정해져 있어 본래 총 8폭 병풍용 초본임을 알 수 있다. 한 화면에는 5개 이상의 다양한 접선(摺扇)과 단선(團扇)들이 배열해있는데, 작은 장식에서부터 부챗살의 문양까지 초본부터 사실적으로 묘사되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에 '석간주(石間朱)', '홍(紅)', '묵(墨)', '청(靑)' 등과 같이 부채에 들어갈 색 대부분을 지정하고, 빈 부채에는 '유(油)'라고 적거나 비워두었으며 이 중 10개의 부채에는 화훼초충도(花卉草蟲圖)나 고사인물도의 밑그림이 남아있다. 이를 실제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와 비교하면 화면의 크기와 비례까지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어, 초본의 매뉴얼을 그대로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작품의 펼쳐진 부채 면에는 산수, 고사인물, 화조, 영모, 초충, 어해 등 다양한 장르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화접도(花蝶圖)나 어해도(魚蟹圖) 등은 19세기 유행하였던 소재로 당시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것은 김홍도(金弘道)의 전형적인 화풍을 연상시키는 장면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백선도나 백납도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특징이다. 서원아집도(西園雅集圖)는 상대적으로 제한된 작은 화면에 그려야 하는 백납도나 백선도의 특성상 잘 다루지 않는 소재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김홍도의 <서원아집도>병풍과 화면의 구성이나 화풍 모두 매우 흡사하다. 더구나 <백선도>병풍의 몇몇 장면은 김홍도의 작품 중에서도 1796년작 《병진년화첩(丙辰年畫帖)》과 유사한 화면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어 흥미롭다. <사인암(舍人巖)>과 흡사한 산수도(山水圖)를 비롯하여 <서원아집도>, <쌍치도(雙雉圖)> 등에서 김홍도 화풍을 연상시킨다. 따라서 부채 속 그림을 그린 인물은 김홍도 화풍의 영향을 받은 직업화가일 것으로 보이며, 작가는 《병진년화첩》을 직접 감상한 적이 있거나, 서화시장에 《병진년화첩》을 베껴 그린 부본(副本)이 유통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까지 알려진 병풍으로 된 백선도는 10점 내외인 것으로 파악되며, 이 작품들을 비교해보면 화면의 구성이 부채 1개 정도 차이가 있거나 비례와 좌우가 바뀌었을 뿐 화면구성이 매우 유사함을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일정한 패턴의 화면구성은 같은 시기 민간에서 성행한 책가도(冊架圖)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특징으로, 19세기 서화의 수요층이 넓어짐에 따라 세밀한 표현과 화려한 장식성이 요구되는 회화들의 대량 제작을 위한 초본이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특히 도안이 복잡하여 범본이 필요한 곽분양행락도나 요지연도, 백동자도, 해학반도도 등의 규모가 큰 장식병풍에서 적극 활용되었으며, 실제 남아있는 작품에서 몇 가지의 도상들이 반복하여 등장하고 있어 초본을 참고했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시장의 수요에 맞추어 대량 제작할 수 있는 초본 활용이 성행했던 당시의 경향은 화면을 다채로운 부채들로 채우고 그 부채 면에 각기 다른 그림을 그려야하는 백선도 제작에 있어서도, 초본을 요긴하게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더구나 테두리를 그은 후 다양한 화목의 그림을 담는 백납도에 비해 백선도는 다양한 형태의 부채들을 먼저 그려야하는 공정을 거쳐야 했기 때문에, 대량 제작이 어렵고 그만큼 남아있는 작품이 상대적으로 적은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처럼 로텐바움박물관 소장 <백선도> 병풍과 국립중앙박물관 <백선도 초본>은 새로운 화풍이 수용되어 시도되었던 조선 말기 화단의 경향을 잘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다수의 백선도들이 박기준의 작품과 유사한 화풍과 화면 구성 보이는 것에 비해, 김홍도의 영향이 분명히 드러나는 매우 이례적인 예라는 점에서 앞으로도 더욱 심층적인 분석이 요구되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