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 positive

검색결과 872건 처리시간 0.025초

한방병원에 입원한 환자군에서 간기능 검사 이상자의 빈도 조사 (Incidence of Liver Function Test Abnormality among Patients Hospitalized in an Oriental Hospital)

  • 한창우;김수영;민관식;이진혁;이상호;윤유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09-113
    • /
    • 2010
  • Objectives: Liver function tests are used as screening tests for liver injuries, but their inaccuracy on positive predictive values can result in numerous false positive results.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of liver function test abnormalities of patients who came to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in order to present a practical way to rule out false positive results for other studie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Korean herb medicine. Methods: We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and liver function test results proceeded at admission of all in-patients admitted to Jaseng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July 2008 to June 2009. Results: Among 1,117 inpatients, 941 executed liver function tests on admission, and 40 were excluded due to their diagnosed liver disease. 747 (82.9%) of 901 enrolled patient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of all liver function tests, and 140 (15.5%) and 14 (1.6%) were classified as "abnormalities of liver tests" and "liver injury"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IOMS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Medical Sciences) criteria.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among the outcomes of liver function tests proceeded among the patients admitted to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excluding who were diagnosed with liver disease, 17.1% showed abnormality. This means simple liver function test results are not sufficient in determining liver toxicity of Korean herb medicine (KHM).

Comparison Between Two Detection Methods for HPV16, HPV18 and P16Ink4a Biomarkers in Diagnosis of Abnormal Cervical Cytology

  • Khazaei, Sedigheh;Izadi, Babak;Mirbahari, Seyed Ghasem;Madani, Seyed Hamid;Khosravi, Shohre Malek;Alagha, Mohsen Emami;Sajadimajd, Soray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2호
    • /
    • pp.5223-5227
    • /
    • 2016
  • Background: Cervical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 cancer among women in many populations. While the Pap smear is a well established screening test it suffers from both false-positive and false-negative results in diagnosis of cancers and precancerous states. In this study, immunocytochemistry of the P16 biomarker and HPV-PCR were compared for their diagnostic potential.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study, we obtained pairs of specimens from 45 women with cervical dysplasia. One sample was placed in a liquid-based solution, and processed for staining of sections with antibodies to P16. HPV-PCR was performed on the other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v. 15. Results: Using HPV-PCR 71% of the samples were found to be infected with either HPV 16 or HPV 18, and the rate of infectio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higher grades of dysplasia (p= 0.253). In contrast, with immunocytochemistry evaluation of P16, 64% of the specimens were positive, but the percentage of positive result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grades of dysplasia (p= 0.0001). Conclusion: Employment of the P16 marker as an optional test might be preferable over HPV-PCR for cervical dysplasia in our geographical region.

Real-time PCR을 이용한 환경 중 물 시료의 레지오넬라 분석법 연구 (Study on the Enumeration of Legionella in Environmental Water Samples Using Real-time PCR)

  • 이정희;박명기;김윤성;윤희정;이창희;정아용;윤미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511-519
    • /
    • 2019
  • Objectives: The standard method for the enumeration of environmental Legionella is culturing, which has several disadvantages, including long incubation and poor sensi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real-time PCR and to improve the standard method. Methods: In 200 environmental water samples, a real-time PCR and culture were conducted to detect and quantify Legionella. Using with the results of the survey, we compared the real-time PCR with the culture. Results: Each real-time PCR assay had 100% specificity and excellent sensitivity (5 GU/reaction). In the culture, 36 samples were positive and 164 samples were neg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ulture, real-time PCR showed a high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99%, 35 samples were true positive, 105 samples were true negative, 59 samples were false positive and one sample was a false negativ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wo methods indicated a weak linear correlation ($r^2=0.29$, $r^2=0.61$,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of real-time PCR in the enumeration of environmental Legionella, it can be used as a complementary means of culturing to rapidly screen negative samples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diagnosis.

불임 검사시 자궁난관 조영술의 진단 정확도 (The Accuracy of Hysterosalpingography for Evaluating Female Infertility)

  • 박준철;김종인;이정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3호
    • /
    • pp.223-230
    • /
    • 2005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hysterosalpingography (HSG) for evaluating female infertility patients by comparison with hysteroscopic and laparoscopic examination. Methods and Material: Total 219 infertile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etween January 1, 2002 and December 31, 2003. Ninety seven patients (44.3%) were primary infertility, 122 patients (55.7%) were secondary infertility. We performed hysteroscopic and laparoscopic examination on next cycle when HSG revealed any abnormal finding, and 3~6 cycles later if HSG was normal. Results: The accuracy of HSG was 65.2% compared with hysteroscopic examination (sensitivity 88.4%, specificity 46.4%, false positive rate 53.6%, false negative rate 11.6%). The most common abnormal finding of hysteroscopy was uterine synechia (67.4%) followed by endometrial polyp, uterine anomaly (e.g. uterine septum), endometrial hyperplasia. Compared with laparoscopic examination, the accuracy of HSG was 76.9% (sensitivity 98.9%, specificity 70.6%, +LR 3.36, -LR 0.0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normal patent tube was excellent (99.6%) but that of proximal tubal blockage was only 46.7%. The unilateral tubal obstruction of HSG was poor accuracy (+LR 3.85 -LR 0.68) and 70% of those was patent by laparoscopic examination. Laparoscopic examination also revealed that 53% of patients had peritubal adhesion and 37% of patients has additional pelvic findings, especially endometriosis. Among the patients had normal HSG, 53.5% patients with normal ultrasonography was diagnosed endometriosis (25.6% of them had endometriosis stage I-II). Conclusion: Normal HSG shows a high negative predictive value. Nevertheless, the incidence of associated pelvic disease in the normal HSG group is high enough to warrant diagnostic laparoscopy if nonsurgical treatment is unsuccessful. Because HSG has poor accuracy in predicting distal tubal blockage and peritubal adhesion, and poor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proximal tubal blockage, laparoscopic examination could be considered in abnormal HSG group.

운동피질영역 주변의 뇌종양 환자에서 수술 중 직접피질자극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Direct Cortical Stimulation During Intraoperative Monitoring in Patients with Brain Tumor Near Motor Cortex: Case Report)

  • 임성혁;박상구;김동준;백재승;박찬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11-21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운동피질 주변의 뇌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피질척수로를 보존하고 운동 능력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함이다. 경두개운동유발전위는 위양성(false positive)과 위음성(false negative)이 혼재하는 검사이기 때문에 수술 중 검사상 파형의 변화가 없었다 할 지라도 검사의 내용을 완전히 신뢰할 수 없다. 보다 자세한 검사를 위해 대뇌피질을 선택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직접피질자극검사를 시행하였다. 직접피질자극 검사를 시행한 2케이스 에서는 수술 중 피질이 담당하는 부위를 찾고 지속적으로 진폭의 변화를 확인하며 검사할 수 있어 운동경로를 보존하며 수술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직접피질 자극검사를 시행하지 않고 경두개운동유발전위 검사만을 시행한 환자에서는 수술 후 환자의 운동 능력이 감소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직접피질자극 검사는 매우 유용한 검사이고 뇌종양 수술 시 경두개운동유발전위 검사와 병행하여 환자에게 올 수 있는 후유장애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결핵 진단을 위한 검사 방법간의 효율성에 관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Various Clinical Methods for Diagnosis of Tuberculosis)

  • 최석철;정천환;성희경;김태운;이원재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1-200
    • /
    • 1999
  • 최근 다약제 내성균주의 출현과 후천성 면역결핍증으로 인한 결핵발병률의 증가는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보건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신뢰할 만한 진단법은 결핵 박멸을 위한 가장 중요한 필요조건 중의 하나일 것이다. 본 연구는 1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폐결핵 진단의 전통적 방법들 (X-선, 항산성 염색, 배양)과 PCR법간의 진단적 가치와 효율성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흉부 X-선 소견 및 검사 결과 그리고 다른 임상 소견들을 통해 결핵으로 확진된 예는 전체 171건의 검체 중 39예 (22.8%)였다. 이러한 확진을 근거로 할 때 각 검사별 민감도, 특이도, 효율성, 위양성률, 위음성률을 살펴보면 흉부 X-선의 경우 각각 69.2%, 87.1%, 83.0%, 12.9%, 30.8%; 항산성 염색의 경우 79.9%,95.5%,91.8%,4.6%, 20.5%; 배양의 경우 56.4%,99.2%,89.5%,0.8%,43.6%; PCR의 경우 82.1%, 96.2%, 93.0%,3.8%, 17.9%였다. PCR의 경우 가장 높은 민감도 및 효율성과 가장 낮은 위음성률을 보였다. 배양법은 가장 높은 특이도와 가장 낮은 위양성률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PCR은 결핵 진단을 위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우수한 검사 방법이므로 일상적 임상 검사로의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하겠다. 그러나 전통적인 여러 방법들 역시 임상상황에 따라 그 나름대로의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므로 철저한 정도관리를 통해 PCR과 병행 한다면 결핵균 검출율을 보다 높일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반도체공정 이상탐지 및 클러스터링을 위한 심볼릭 표현법의 적용 (Application of Symbolic Representation Method for Fault Detection and Clustering in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es)

  • 노웅기;홍상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1호
    • /
    • pp.806-818
    • /
    • 2009
  • 반도체(semiconductor) 기술은 1950년대에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가 발명된 이후 오늘날까지 급속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하나의 완전한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매우 다양하고 긴 공정을 거쳐야 한다. 반도체 제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공정들이 종료되기 전에 미리 이상(fault)을 발견하기 위한 이상탐지 및 분류(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FDC)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반도체 장비에 갖가지 종류의 센서를 부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원하는 값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 값은 실수 값들의 연속이므로 시계열(time-series) 데이터의 일종이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공정에서의 이상탐지 및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계열 데이터를 심볼릭 표현법(symbolic representation)으로 변환하여 이상을 탐지하는 기존의 알고리즘을 수정한 것이다. 본 논문의 공헌은 일반적인 시계열 데이터에 대한 기존의 이상탐지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반도체 공정 데이터에 대해서도 활용할 수 있음을 보일 뿐만 아니라, 이상탐지 및 클러스터링의 정확성을 높이는 실험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긍정 오류(false positive) 및 부정 오류(false negative)를 모두 발생하지 않았다.

One Lambda LABTypeTM을 이용한 HLA- DR Typing시 나타나는 위양성과 위음성, High-Background 사례와 검사실 습도의 관계분석 (Association between False Positive, False Negative, High-Background Cases and Humidity in One Lambda LABTypeTM HLA-DR Typing)

  • 안향선;손민성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32-142
    • /
    • 2023
  • 서울대학교병원 진단면역검사실에서 HLA 형별 검사를 위한 결과 산출하는 과정에서 HLA-DR 검사 시행 건수 총 611건 중 Lot No.20의 시약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위양성과 위음성으로 의심되는 특이 bead 들의 반응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결과 산출과정을 모색하기 위하여 특이 bead들의 cut-off 수정을 하지 않은 검사결과 533건과 특이 bead의 cut-off 수정을 한 뒤 결과 산출을 한 78건의 사례들을 가지고 cut-off 수정을 야기시키는 요인을 여러 변수로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검체대상의 인구통계특성과 cut-off 수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검사실의 습도를 변수로 넣어 기술통계를 진행하였고, cut-off 수정 여부와 인구통계특성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시행, cut-off 수정 여부에 따른 습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습도수준에 따른 cut-off 수정비율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검사실의 습도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cut-off 수정사례는 0.986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습도가 낮아질수록 cut-off 수정률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검사실의 습도 또한 HLA typing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최근 5년간(1995-1999) 충남지역자궁경부세포진 검진결과 및 이상소견위험요인분석 (Risk Factors of Cervical Cancer and Results of Cervix Cytology Screening in Chungnam Province, Korea, 1995-1999)

  • 이무식;임연환;김은영;이충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43-57
    • /
    • 2001
  • 자궁경부암 세포 도말검사법의 사업결과를 평가하고 정확도를 추정하고, 추적조사된 검진자를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 및 분만, 유산 요인과 자궁경부 세포 도말검사 결과와의 관련성을 도출함으로써 자궁경부암 조기발견 사업의 지역보건계획 수립 및 지역보건 정책을 입안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1995년 이후 5년 동안에 충청남도에 거주하는 23세 이상 여성 146,848명을 대상으로 대한가족보건협회 대전 충남지부 및 충청남도의 자궁경부 세포도말 집단 검진을 수진한 여성의 재검 및 2차 정밀검사 등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도별로 1차 검진결과 이상자 율은 1995년 0.68%, 1996년 0.59%, 1997년도 0.70%, 1998년 0.56%, 1999년 0.62%로 전체적으로 0.63%로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시 재검 이상의 이상자율은 0.63%였으며, 3군이상을 자궁경부암 전구병변으로 추정할 경우의 조율유병률은 0.61%였으나 1차검진 및 2차 검사를 종합한 결과에서는 이형성증 이상일 경우 1,000명당 2.2명이었다. 세포도말 검사의 정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위양성율을 추정해 본 결과, 비정상을 자궁경부염 이상의 단계를 양성으로 보았을 때, 즉시재검 판정은 위양성율이 44.0%, 3군은 56.2%, 4군은 26.9%, 5군은 19.0%로 나타났으며, 비정상을 이형성증 이상 단계로 한 경우에는 즉시재검은 68.0%, 3군 75.3%, 4군 46.2%, 5군 47.6% 등으로 다소 높아 여러 요인들이 이러한 결과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판단됨으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강구되어야함을 시사하였다. 자궁경부 검사결과 비정상의 위험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변수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학력, 행정구역이 유의한 기여변수로 선정되었는 데 기존의 연구결과와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대표성이 적고 적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해석에 다소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시험적인 연구의 시도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 PDF

Helicobacter pylori 감염진단에 있어 H. pylori Ag Stool 검사 (면역크로마토그라피법)의 임상적 유용성 (Clinical Usefulness of Helicobactor pylori Ag Stool Test (Immunochromatographic Assay) for Diagnosis of H. pylori Infection)

  • 서설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8-45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linical Usefulness of Helicobacter pylori Stool Antigen (HpSA) immunochromatographic assay for the diagnosis of H. pylori infection. In this study, we had compared HpSA-immunochromatographic assay with CLO test and UBT test. From a total of 140 patients (M:F=88:52) with upper endoscopy, biopsy specimens were obtained for CLO test. Stool specimens was collected from all patients and tested using a HpSA-immunochromatic assay. H. pylori infection status was defined as infected if the results of both CLO test and UBT test were positive. CLO test and UBT test findings showed that 92 patients were H. pylori positive and 48 patients were H. pylori negative. According to this definitio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or negative predictive value (PPV, NPV) of HpSA-immunochromatographic assay were 97.8%, 100%, 100%, and 96%, respectively. Cross reactivity test of HpSA-immunochromatographic assay were performed with 10 enteric bacteria strains in fecal habitat, and there were no false positive reaction. We evaluated the usefulness of HpSA assay for eradication therapy with 10 of 92 H. pylori positive patients, positive results of them at pre-eradication therapy were converted to negative at post-eradication. The HpSA-immunochromatographic assay is a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non-invasive diagnostic method for detection of H. pylori infection, a useful diagnostic method for H. pylori in post eradication sta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