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lse Aneurysm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2초

Avoiding Venous Anastomotic Dehiscence of an Arteriovenous Graft in a Super-Obese Patient

  • Bae, Miju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6호
    • /
    • pp.417-419
    • /
    • 2020
  • Surgeons avoid creating arteriovenous fistulae in obese patients owing to deep vessels, cannulation complications, and inconsistent outcomes. We describe placing an arteriovenous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graft between the brachial artery and axillary vein to avoid these complications. A 39-year-old super-obese woman with end-stage renal disease had undergone several hemodialysis access procedures on both arms. We traced the course of the arteriovenous graft course with the patient sitting and lying down. The ideal course was more accurate with the patient sitting; thus, the patient sat when the course was drawn, before lying on the operating bed. The PTFE graft was placed between the right brachial artery and axillary vein, according to the course in the opposite arm. No anastomotic dehiscence or pseudoaneurysm has taken place during 2 years of follow-up. In super-obese patients, the ideal course for arteriovenous grafts should be drawn while they are sitting, avoiding skin folds. This tip could avoid anastomotic dehiscence and pseudoaneurysm between the axillary vein and a PTFE graft.

Tuberculous Aortitis Complicated with Pseudoaneurysm Formation in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A Case Report

  • Seo, Dong Ju;Kim, Joon Bu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5권6호
    • /
    • pp.408-411
    • /
    • 2012
  • A 51-year-old male with sustained fever was diagnosed with military tuberculosis and tuberculous aortitis complicated with pseudoaneurysm formation at the proximal descending aorta. A follow-up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showed an increased size of the pseudoaneurysm in this area, suggestive of a contained rupture. Consequently, the patient underwent emergency excision and replacement of the aorta using a left heart bypass. The patient was discharged withou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n post-operative day 12. During the one-year follow-up period, the patient was free of any complications or recurrence of tuberculosis. We report a case of pseudoaneurysm of the descending aorta that was successfully surgically repaired.

심내막염 환자에서의 Aorto-mitral fibrous skeleton의 재건술 -치험 1례- (Reconstruction of Aorto-mitral Fibrous Skeleton in Complicated Native Valve Endocarditis -A Case Report-)

  • 민경석;서동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83-187
    • /
    • 1995
  • This is a report of successful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complicated native valvular endocarditis. Initially stable patient showed sudden collapse at the end of 4th week of antibiotics coverage. Echocardiography revealed that previous vegetation at the Aorto-mitral Fibrous Skeleton[AMFS developed into a false aneurysm, perforated to left atrium and caused fistulous communication between left ventricle and left atrium. Extensive debridement was performed including part of the ascending aorta, aortic cusps, the AMFS, anterior mitral cusp and roof of the left atrium. Reconstruction of the AMFS with tailored single piece of autologous pericardium enabled the implantation of mechanical valves at the aortic and the mitral position. Ascending aorta and roof of the left atrium were repaired with autologous pulmonary artery patch graft and another autologous pericardial patch.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postoperative 16th day and followed - up till now without any residuae or sequelae.

  • PDF

Pseudoaneurysm with Arteriovenous Fistula after Arthroscopic Procedure: A Rare Complication of Arthroscopy

  • Jin, Moran;Lee, Yang-Haeng;Yoon, Young Chul;Han, Il-Yong;Park, Kyung-Taek;Wi, Jin Hong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8권4호
    • /
    • pp.302-305
    • /
    • 2015
  • Pseudoaneurysm with arteriovenous fistula is a rare complication of arthroscopy, and can be diagnosed by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angiography. This condition can be treated with open surgical repair or endovascular repair. We report our experience with the open surgical repair of a pseudoaneurysm with an arteriovenous fistula in a young male patient who underwent arthroscopy five months previously.

단일 관상동맥 기형이 동반된 급성 대동맥박리의 수술치험 (Aortic Dissection with Aberrant Origin of Single Coronary Artery -Report of 1 case-)

  • 김웅한;안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12호
    • /
    • pp.1036-1041
    • /
    • 1994
  • Emergency operation was performed in a patient with severe aortic insufficiency caused by type A acute aortic dissection with aberrant high take-off origin of single coronary artery. The single coronary artery was found to arise from an unusual position high in the ascending aorta. Dissection was begun in the aortic root and involved the single coronary ostium. Valve competance was restored by resuspension of the commissures. the false lumen was obliterated with strips of Teflon felt and surgical glue. The aortic tissues were firmly reinforced and sutured. The proximal aortic stump was anatomically reconstructed, and fortunately the aortic valve was preserved and coronary reimplantation avoided. The patient was discharged at postoperative 13 days without specific complications. Postoperative course during the 18 months follow-up was uneventful.

  • PDF

Percutaneous ultrasound-guided thrombin injection is effective even in infants with external iliac artery pseudoaneurysms

  • Cho, Min-Jung;Jeon, Ung-Bae;Choo, Ki-Seok;Lee, Hyoung-D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4호
    • /
    • pp.199-201
    • /
    • 2014
  • Iatrogenic pseudoaneurysms are extremely rare in children. Conventional management of pseudoaneurysms in adults has included surgical repair, ultrasound-guided compression, and more recently, endovascular embolization. However, in infants and children, there is little information regarding the applicability of such treatment modalities, which have been effective in adults, because of its rarity. Here, we present the case of a 6-month-old infant who developed a postprocedural pseudoaneurysm of the external iliac artery,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총간동맥 가성동맥류의 치료로 삽입한 스텐트 그라프트의 공장으로의 위치 이동 (Jejunal Migration of the Stent-Graft Used for Common Hepatic Artery Pseudoaneurysm)

  • 김지원;이병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89-193
    • /
    • 2022
  • 췌장-담도계 수술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 중에 출혈은 드물지만 사망률이 높은 합병증이다. 출혈의 주요 원인은 가성동맥류의 파열이며, 코일색전술 혹은 혈관 내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이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절제술 이후 발생한 총간동맥의 가성동맥류의 치료를 위해 삽입한 스텐트 그라프트가 공장으로 이동한 후 몸 밖으로 빠져나간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Behcet씨 병과 동반된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에서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Homograft Aortic Root Replacement for Aortic Regurgitation with Behcet's Disease)

  • 백만종;나찬영;김웅한;오삼세;김수철;임청;류재욱;공준혁;이영탁;문현수;박영관;김종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4호
    • /
    • pp.274-282
    • /
    • 2002
  • 배경: Behcet씨 병과 동반된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에서 인공 대동맥판막 치환술 후 발생하는 인공판륜 주위 누출이나 가성동맥류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로써, 재수술을 필요로 한다. 저자들은 Behcet씨 병과 동반된 대동맥판막 폐쇄부전 환자에서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술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및 대상: 1992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저자들은 6명의 Behcet씨 병 환자에서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근부치환술 7례와 1례의 Ross 술식을 시행하였다. 남자 5명, 여자가 1명이었으며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37$\pm$9세(27~51세)였다. 2명은 1차 수술에서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근부치환술을 시행하였고 다른 4명은 대동맥판막 치환술 후 발생한 인공판륜 주위 누출로 동종이식편을 이용하여 근부치환술을 시행하였다. 인공판막치환술 후 재수술까지 평균 기간은 21 $\pm$29개월(5 ~73.3개월, 중앙값, 7.6 개월)이였다. 결과: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근부치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다. 6명에서 평균 18.9$\pm$24.0개월(1.9~68.9개월, 중앙값, 8.4개월)을 추적 관찰하였다. 판막치 환술 후 동종이식편을 이용한 근부치환술 환자 4명중 2명에서 상행대동맥에 발생한 가성동맥류와 폐동맥 동종이식편의 기능 부전으로 재수술이 필요하였다. 1명은 대동맥 동종이식편을 이용하여 대동맥근부, 상행대동맥 및 부분 대동맥궁을 재치환하였으며 다른 1명은 Ross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Behcet씨 병과 동반된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에서 동종이식편이나 폐동맥 자가이식편을 이용한 대동맥근부.치환술은 양호한 조기 수술 결과를 보이며, 인공판막 치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인공판륜 주위 누출이나 가성동맥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그렇지만 Behcet씨 병의 정확한 진단과 수술 전후 적절한 내과적인 치료 및 수술시 염증 조직의 완전한 제거가 장기 결과의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형 대동맥 박리 수술 후 재발성 박리의 재수술 (Redo Opeations for Recurrent Dissection After Operation for Type A Aortic Dissection)

  • 홍유선;강정한;윤치순;이현성;박형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8호
    • /
    • pp.604-610
    • /
    • 2001
  • 배경: Stanford 제A형(type A) 대동맥 박리증은 상행대동맥이나 대동맥궁의 인조혈관 치환 수술 후에도 남은 대동맥의 가강이 확장되거나 파열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철저한 추적관리가 필요하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는 1984년 6월부터 2000년 3월까지 Stanford 제A형의 대동맥박리 수술이 124예 있었다. 수술 후 가강의 확장이나 파열로 재수술한 6예에서 Marfan 증후군과의 관련성 등 원인을 조사하고 재수술의 방법과 결과, 재수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처음 대동맥 박리로 수술시급성인 경우가 4예 만성이 2예였으며 이중 3예가 Marfan 증후군이였다.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상행대동맥내에 내막파열이 있어 대동맥판막의 폐쇄부전의 정도에 따라 상행대동맥 인조혈관 치한수술(2례) 또는 Bentall 수술을 시행하였으며(3례) 1예는 여러 개의 가강과의 연결부위가 있는 만성 박리 환자로 Bentall 수술과 더불어 대동맥궁까지 인조혈관으로 치환을 하였다. 재수술은 평균 67.6개월(4개월-14년4개월) 후에 시행하였는데 1예는 만성 하행대동맥 박리 및 동맥류로 1예는 염증성 가성동맥류로 나머지 4예는 급성대동맥 박리로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하행흉부대동맥만을 치환한 경우가 1예, Hemiarch로 시행한 경우가 1예 그리고 나머지 4예는 원위부 상행대동맥에서 대동맥궁을 포함하여 근위부 또는 중간부위의 하행 흉부대동맥까지 인조혈관으로 치환하였다. 결과: 전체 124예 중 Marfan 증후군이 동반된 경우는 18예였다.

  • PDF

우하횡경막동맥-폐동맥 문합부위의 가성동맥류로 인한 객혈로 색전술 후 성공한 예 (Successful Embolization in the Patient with Hemoptysis Due to Right Inferior Phrenic Artery-pulmonary Artery Anastomosis and Pseudoaneurysm)

  • 박현웅;이고은;박용성;손지웅;최유진;나문준;권선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6권4호
    • /
    • pp.319-323
    • /
    • 2009
  • 객혈의 원인혈관은 대부분 기관지동맥이다. 하지만 다른 전신혈관 및 폐동맥에 의한 객혈도 항상 염두에 둬야하고, 만약 기관지동맥색전술 후 객혈이 지속되거나 기관지동맥에서 출혈의 원인을 찾지 못하면 다른 전신혈관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전신혈관-폐혈관의 문합이나 폐동맥 가성동맥류는 매우 드문 폐혈관질환으로 여러원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객혈이 발생할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고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저자는 77세 남자로 우하횡경막동맥-폐동맥 문합 및 문합부위 가성동맥류로 인한 지속적인 객혈로 내원하여, 색전술로 성공적으로 치료된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