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ilure-interval-failure-criterion mode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Warranty cost anlaysis for multi-component systems with imperfect repair

  • Park, Min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Reliability and Applications
    • /
    • 제15권1호
    • /
    • pp.51-64
    • /
    • 2014
  • This paper develops a warranty cost model for complex systems with imperfect repair within a warranty period by addressing a practical case that the first inter-failure interval is longer than any other inter-failure intervals. The product is in its best condition before the first failure if repair is imperfect. After the imperfect repair, other inter-failure intervals which are explained by renewal processes, are stochastically smaller than the first inter-failure interval. Based on this idea, we suggest the failure-interval-failure-criterion model. In this model, we consider two random variables, X and Y where X represents failure intervals and Y represents failure criterion. We also obtain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failures and conduct the warranty cost analysis. We investigate different types of warranty cost models, reliabilities and other measures for various systems including series-parallel configurations. Several numerical examples are discussed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ologies derived in the paper.

  • PDF

Upside-Down 욕조 곡선 형태의 고장 강도를 가지는 세분화 모형 (A Segmented Model with Upside-Down Bathtub Shaped Failure Intensity)

  • 박우재;김상부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3권6_2호
    • /
    • pp.1103-1110
    • /
    • 2020
  • In this study, a segmented model with Upside-Down bathtub shaped failure intensity for a repairable system are propos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occurrences of the failures of a repairable system follow the Non-Homogeneous Poisson Process. The proposed segmented model is the compound model of S-PLP and LIP (Segmented Power Law Process and Logistic Intensity Process), that fits the separate failure intensity functions on each segment of time interval.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is used for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the S-PLP and LIP model. The case study of system A shows that the S-PLP and LIP model fits better than the other models when compared by AICc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corrected) and MSE (Mean Squared Error). And it also implies that the S-PLP and LIP model can be useful for explaining the failure intensities of similar systems.

사면에 설치된 억지말뚝의 활동억지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bilizing Effect of Piles against Sliding)

  • 홍원표;송영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69-80
    • /
    • 2005
  • 억지말뚝의 활동억지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련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억지말뚝이 설치된 사면에 대한 모형실험장치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모형실험시 각종 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사면활동에 따른 억지말뚝의 변형거동을 조사하였다. 모형실험결과 말뚝간격비가 1인 단독말뚝의 경우보다 일정한 간격비를 가진 줄말뚝에서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면활동시 말뚝과 말뚝사이의 지반아칭효과로 인하여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말뚝의 저항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억지말뚝의 간격비가 작아질수록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율은 증가하며, 간격비가 0.5일 때 사면활동에 대한 억지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억지말뚝의 소요억지율을 1.1로 하면 말뚝간격비는 $0.5{\sim}0.8$ 사이로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억지말뚝의 간격비가 $0.5{\sim}0.8$일 경우 억지말뚝이 휨응력을 크게 받으므로 억지말뚝의 사면활동에 대한 저항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면활동에 저항하기 위한 합리적인 억지말뚝의 간격비는 $0.5{\sim}0.8$로 제안할 수 있다.

FMEA에서 주기적인 고장원인 감시하의 기대손실모형에 대한 소고 (Comments on : An Expected Loss Model for FMEA under Periodic Monitoring of Failure Causes)

  • 윤원영;권혁무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1-324
    • /
    • 2014
  • Kwon et al. (2013) studied the optimal monitoring interval of systems with finite life cycl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several failure modes from several failure causes and the occurrence of causes follows a homogeneous Poisson process. The total expected cost is used as an optimization criterion. In this article, we derive newly the total expected cost under the same assumptions and consider some extended models.

암석 절리면 거칠기의 정량화에 대한 연구 (I) - 문제점의 규명 (A New Quantification Method of Rock Joint Roughness (I) - A Close Assessment of Problems)

  • 홍은수;남석우;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69-283
    • /
    • 2005
  • 기존의 전단강도 모델에서 거칠기와 전단강도를 실제보다 과소평가 하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먼저 거칠기의 발현 특성, 거칠기 계수의 특성, 거칠기 계수에 미치는 측정 간격과 만곡 (waviness)의 효과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문제에는 거칠기의 발현특성의 고려 부족, 거칠기 계수의 오용, 거칠기의 측정 과정에서의 엘리어싱 (aliasing)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확인된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법을 제안하였다. 거칠기 측정 방법에서는 카메라 방식의 3D 스캐너를 사용하는 것이 기존의 방법보다 유효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측정간격은 엘리어싱을 막기 위하여 전단강도에 영향을 주는 작은 돌출부의 1/4 이하가 되어야 한다. 거칠기 정량화 면에서는 거칠기 계수를 돌출부의 규모별로 2개의 성분으로 구분하여 전단 모델에 적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하여 돌출부의 소성파괴 개념에 근거하여 거칠기를 만곡과 요철로 구분할 수 있는 구분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새로운 전단강도 모델을 제안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