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ilure rate test

검색결과 529건 처리시간 0.032초

카이제곱 NHPP에 의한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NHPP Software Reliability Model based on Chi-Square Distribution)

  • 김희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5-53
    • /
    • 2006
  • 유한고장수를 가진 비동질적인 포아송 과정에 기초한 모형들에서 잔존 결함 1개당 고장 발생률은 일반적으로 상수, 혹은 단조증가 및 단조 감소 추세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인 Goel-Okumoto 모형과 Yamada-Ohba-Osaki 모형을 재조명하고 잔존 결함 1개당 고장 발생률이 증가추세를 가진 카이제곱 분포를 이용한 카이제곱 모형을 제안하였다. 고장 간격시간으로 구성된 자료를 이용한 모수추정 방법은 최우추정법과 일반적인 수치해석 방법인 이분법을 사용하여 모수 추정을 실시하고 효율적인 모형 선택은 편차자승합, AIC 통계량 및 콜모고로프 거리를 적용하여 모형들에 대한 효율성 입증방법을 설명하였다. 소프트웨어 고장 자료 분석에서는 카이제곱 모형에 대한 자유도를 형상모수의 척도로 간주하여 고장수가 비교적 큰 실측 자료(고장수가 86)인 Allen P.Nikora 와 Michael R.Lyu가 인용한 SYS2 자료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자료들에서 카이제곱 모형의 비교를 위하여 산술적 및 라플라스 검정, Kolmogorov검정 등을 이용하였다.

  • PDF

Behavior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under localized fire exposure conditions

  • Zhang, Gang;Kodur, Venkatesh;Yao, Weifa;Huang, Qia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9권2호
    • /
    • pp.193-204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results from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ies on the response of steel-concrete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under certain localized fire exposure conditions. Two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a simply supported girder and a continuous girder respectively, were tested under simultaneous loading and fire exposure. The simply supported girder was exposed to fire over 40% of its span length in the middle zone, and the two-span continuous girder was exposed to fire over 38% of its length of the first span and full length of the second span. A measurement method based on comparative rate of deflection was provided to predict the failure time in the hogging moment zone of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under certain localized fire exposure condition. Parameters including transverse and longitudinal stiffeners and fire scenarios were introduced to investigate fire resistance of the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Test results show that failure of the simply supported girder is governed by the deflection limit state, whereas failure of the continuous girder occurs through bending buckling of the web and bottom slab in the hogging moment zone. Deflection based criterion may not be reliable in evaluating failure of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 under certain fire exposure condition. The fire resistance (failure time) of the continuous girder is higher than that of the simply supported girder. Data from fire tests is successfully utilized to validate a finite element based numerical model for further investigating the respons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exposed to localized fire. Results from numerical analysis show that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can be highly influenced by the spacing of longitudinal stiffeners and fire severity. The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 with closer longitudinal stiffeners has better fire resistance than the simply composite box bridge girder. It is concluded that the fire resistance of continuous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can be significantly enhanced by preventing the hogging moment zone from exposure to fire. Longitudinal stiffeners with closer spacing can enhance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The increase of transverse stiffeners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box bridge girders.

낮은 교통밀도 하에서 서버 고장을 고려한 복수 서버 대기행렬 모형의 체제시간에 대한 분석 (On the Exact Cycle Time of Failure Prone Multiserver Queueing Model Operating in Low Loading)

  • 김우성;임대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0
    • /
    • 2016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way to derive the mean cycle time of the G/G/m failure prone queue when the loading of the system approaches to zero. The loading is the relative ratio of the arrival rate to the service rate multiplied by the number of servers. The system with low loading means the busy fraction of the system is low. The queueing system with low loading can be foun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Cluster tools 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need a setup whenever the types of two successive lots are different. To setup a cluster tool, all wafers of preceding lot should be removed. Then, the waiting time of the next lot is zero excluding the setup time. This kind of situation can be regarded as the system with low loading. By employing absorbing Markov chain model and renewal theory, we propose a new way to derive the exact mean cycle time. In addition, using the proposed method, we present the cycle times of other types of queueing systems. For a queueing model with phase type service time distribution, we can obtain a two dimensional Markov chain model, which leads us to calculate the exact cycle time. The results also can be applied to a queueing model with batch arrivals. Our results can be employed to test the accuracy of existing or newly developed approximation methods. Furthermore, we provide intuitive interpretations to the results regarding the expected waiting time. The intuitive interpretations can be used to understand log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systems with low loading.

학동 전기 소아에서 폐활량 측정의 질관리와 성공률 (The quality control and acceptability of spirometry in preschool children)

  • 서현경;장선정;정다운;이초애;위영선;지혜미;서지영;한만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1호
    • /
    • pp.1267-1272
    • /
    • 2009
  • 목 적:국내 학동 전기 소아를 대상으로 폐활량 측정법을 시행하여 기존에 제시된 여러 지표를 기준으로 검사 결과의 적정성을 평가함으로써 이 연령대에서의 폐기능 검사의 성공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만성 기침이나 천식이 의심되어 내원한 2세 이상 6세 이하의 176명을 대상으로 폐활량 측정법을 시도하여 총 155 명에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TS/ERS 에서 제시한 기준에 따라 후외삽용적(Vbe)이 80 mL 미만이고 FVC의 12.5% 미만일 때를 시작 기준에 적합하다고 정의하였다. 검사의 반복성을 확인하기 위해 선별한 두개의 유량-용적 곡선에서 FVC, FEV1의 차이를 구하여 FVC와 $FEV_1$의 절대적 차이값이 100 mL 또는 10% 미만인 경우를 적합하다고 정하였다. 검사의 종료에 대한 기준은 학동 전기 연령에서 수치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유량-용적 곡선이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해서 후기에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을 합당하다고 보았다. 또한 유량-용적 곡선이 적절하게 나온 대상자(107명)를 선별하여 다른 문헌에 발표된 여러 정도 관리 기준에 맞추어 각 항목별로 성공률을 비교하였다. 결 과:전체 폐기능 검사의 성공률은 59% 이었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폐활량 측정법의 성공률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3세부터 급격하게 성공률이 증가하였다(2세 14.3%, 3세 53.7%, 4세 65.1%, 5세 69.7%, 6세 70.8%). 폐활량 측정법의 실패 원인으로는 시작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전체의 6.5%, 반복성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12.3% 또 최대 호기량의 부족, 조기 종료 등으로 인해 검사 종료 기준에 맞지 않는 경우가 전체의 31% 로 가장 높았다. 폐활량 측정법 성공군와 실패군을 비교하였을 때 나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정도 관리에 대한 몇몇 연구결과에 따라 각 항목별로 성공률을 보았을 때 연령이 증가할수록 성공률도 증가하였다. 결 론:학동 전기 소아에서도 약 60% 정도 폐활량 측정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성공률은 연령에 따라 급격히 변화하므로 각 연령에 적합한 정도 관리 기준을 개발하여 이용한다면 검사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에어챔버 설치에 따른 펌프관로계의 수격현상 (Water-hammer in the Pump Pipeline System with and without an Air-Chamber)

  • 이선곤;양철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11
  • When the pumps stopped in the operation by the power failure, the hydraulic transients take place in the sudden change of a velocity of pipe line. Each and every water hammer problem shows the critical stage to be greatly affected the facts of safety and reliability in case of power failure. The field tests of the water hammer executed at Cheong-Yang booster pump station having an air chamber. The effects were studied by both the practical experiments and the 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 Surge 2008). The result states that the system with water hammering protection equipment was much safer when power failure happens. The following data by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alysis are to be shown below, securing the system stability and integrity. (1) With water hammering protection equipment. (1) Change of pressure : Up to $15.5\;kg/cm^2$ in contrary to estimating $16.88\;kg/cm^2$. (2) Change rate of water level : 52~33% in contrary to estimating 55~27%. (3) Note that the operational pressure of pump runs approx. 145 m, lowering 155 m of the regularity head of pump. (4) Note that the cycle of water hammering delays from 80 second to 100 second, together with easing the function of air value at the pneumatic lines. (2) Change of pressure without water hammering protection equipment : Approximate $22.86\;kg/cm^2$. The comprehensive result says that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nalysis would match well with the practical field-test. It was able to predict Max. or Min. water hammering time in a piping system. This study aims effectively to alleviate water hammering in a pipe line to be installed with air chamber at the pumping station and results in making the stability of pump system in the end.

The Influence of Maximal Aerobic Capacity on the Two Years Cardiac Related Re-Hospitalization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in Korean Society

  • Ryu, Ho Youl;Hong, Do Sun;Kim, Tack Ho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1권5호
    • /
    • pp.322-327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the maximal aerobic capacity on the two-year cardiac-related re-hospitalization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with a reduced ejection fraction (HFrEF) in Korean society. Methods: The maximal aerobic capacity of the study population (n=95, male 63%) was evaluated using a cardiopulmonary exercise (CPX) testing system. Each patient was followed up for two years to divide the HFrEF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cardiac-related re-hospitalization: re-hospitalization (RH) group (n=29, 30%) and no re-hospitalization (NRH) group (n=66, 70%). Results: The relative peak $VO_2$ (mL/kg/min, p<0.001), exercise duration (p<0.001), respiratory exchange ratio ($VCO_2/VO_2$, p=0.001), systolic blood pressure (SBP) reserve (p=0.004), heart rate (HR) reserve (p=0.007), SBP max (p=0.02), and HR max (p=0.039)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H group than the NRH group during the CPX test. On the other hand, the ventilatory efficiency (VE/VCO2 slope, p=0.02) and age (p=0.02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H group than in the NRH group. In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lative peak $VO_2$ (p=0.001, Wald Chi-square 10.137) was the strongest predictive factor on cardiac-related re-hospitalization, which was followed by $VCO_2/VO_2$ (p=0.019, Wald Chi-square 5.54). On the other hand, age (p=0.063, Wald Chi-square 3.445)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ardiac related re-hospitalization. Conclusion: The maximal aerobic capacity, especially the relative peak $VO_2$, is the strongest factor on cardiac-related re-hospitalization within two years in patients with HFrEF in Korean society.

경계형 모델을 사용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거더의 파괴역학적 해석 (Fracture Simulation of UHPFRC Girder with the Interface Type Model)

  • 궈이홍;한상묵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81-94
    • /
    • 2010
  • 본 연구는 선형 상보법으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I형보의 파괴역학적 해석을 수치해석으로 수행하였다. 기존의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유사 취성 파괴역학적 수치해석을 기반으로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재료역학적 구성모델파괴 면에 인장경화 관계를 도입함으로써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I형 거더 해석을 개선시켰다. 상수변형률 삼각형 요소에 꼭지점 또는 요소의 중앙점 절점을 배제하고 요소의 변에 절점을 배치한 결합된 삼각형 요소를 사용하였다. 인장영역에서는 경화/연화 파괴역학적 구성모델을, 전단영역에서는 연화 파괴역학적 구성모델을, 경계절점의 압축에 대해서는 연화파괴역학적 구성모델을 사용하여 파괴역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Non-holonomic rate 형태로 경로에 의존적인 경화연화거동을 LCP로 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그 해는 PATH를 사용해서 구하였다. Piece-wise 비탄성 항복-파괴면은 두 개의 압축 caps, 두 개의 Mohr-Coulomb 파괴면, 인장항복면과 인장파괴면 등으로 구성하였다. 초고강도 섬유보강 콘크리트 거더의 변형거동과 파괴 상태와 비교하여 이 수치해석 방법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연약지반 굴착에 따른 지반파괴 억지대책 실내모형 실험 (Model Test of Stabilizing Measures for Ground Failure Due to Soft Ground Excavation)

  • 김재홍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907-917
    • /
    • 2014
  • 연약지반을 매립후 굴착을 시행할 경우 흙막이벽체를 설치하더라도 배면지반에 지반파괴가 발생한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억지말뚝을 적용 후 실내모형 실험을 시행하여 억지효과를 규명하였다. 모형토조내 점토를 충진하고 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무보강일 경우와 억지말뚝으로 보강한 경우를 설정하여 굴착에 따른 배면지반의 침하, 간극수압, 토압을 측정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억지말뚝으로 보강할 경우 무보강시와 비교할 때 굴착 단계의 증가와 배면지반의 침하가 감소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간극수압은 보강여부와는 크게 상관없었고, 침하율은 적게 나타났다. 또한, 굴착깊이가 배면지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굴착지점과 가까울수록 최대 침하가 발생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비닐하우스 기초 토양의 다짐률 변화에 따른 전단강도 특성 (Experimental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of Surface Soil Beneath Greenhouse Varying Compaction Rate)

  • 임성윤;허기석;곽동엽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6호
    • /
    • pp.17-26
    • /
    • 2021
  • Greenhouses have been damaged due to the uplift pressure from strong wind, for which rebar piles are often installed near the greenhouse to resist the pressure. For the effective design of rebar piles, it is necessary to access the shear strength of soil on which the greenhouse is constructed. This study experimentally evaluates the shear strength of the soil beneath the greenhouse. Four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agricultural sites, and prepared for testing with 75, 80, 85, and 90% compaction rates. One-dimensional unconfined compression test (UC), consolidated-undrained triaxial test (CU), and resonant column test (RC) were performed for the evaluation of shear strength and shear modulus. Generally, the higher shear strength and modulus were observed with the higher compaction rates. In particular, the UC shear strength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200 sieve passing rate. Resulting from the CU test, the sample with the most of coarse soil had the highest friction angle, but the variation is small among samples. Resulting from the CU and RC tests, the ratio of maximum shear modulus with the major principle stress at failure was the higher at the finer soil. The ratio was two to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ratio from the standard sand. This indicates that the shear strength is lower for the fine soil than the coarse soil at the same shear modul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useful resource for the estimation of the pull-out strength of the rebar pile against the uplift pressure.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전절제술의 치료결과 및 실패양상 비교 (Breast Conservation Therapy Versus Mastectomy - Preliminary Results of Pattern of Failure and Survival Rate in Early Breast Cancer)

  • 김연실;윤세철;정수미;유미령;정상설;최일봉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15-123
    • /
    • 2004
  • 목적 : 조기 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유방보존수술+방사선치료) 혹은 유방전절제술로 치료했던 환자의 초기 치료성적과 실패양상을 비교하고자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3월부터 1996년 8월까지 강남성모병원에서 AJCC병기 I, II로 치료를 받았던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8명은 유방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85명은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50 Gy 전 유방조사 후 원발부위에 10$\~$15 Gy 추가 조사하였다. 유방보존치료 환자의 34.1%$\%$ 유방전절제 환자의 45.5$\%$에서 항암화학요법이 병용되었다 양 치료군의 5년생존율과 5년무병생존율, 실패양상을 비교하였으며 치료실패와 연관된 위험인자를 Log-rank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앙 추적기간은 63개월이 었다. 결과 : 양 치료군 간에 5년생존율, 5년무병생존율의 유의한 차이(p>0.05)는 없었으며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의 치료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다. 추적기간 중, 유방전절제군에서 11명(12.5$\%$) 유방보존치료군에서 10명(11.8$\%$) 재발하였다. 초기 실패양상은 국소재발이 각각 6명, 5명이었고 원격전이가 각각 5명, 4명으로 차이가 없었다. 국소재발 단독의 경우 양 치료군에서 구제치료 후 대부분의 환자가 무병생존 (5/6 유방전절제술, 3/5 유방보존치료)하였다 그러나 원격전이 환자의 경우 양 치료군 모두에서 방사선-항암화학요법의 구제치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환자가 진행 혹은 사망하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의 1명의 환자만이 원격전이 후 구제치료에 성공하여 무병생존하였다. 양 치료군 간에 반대편유방암 발생률 및 다른 장기의 2차 원발암 발생률의 차이는 없었고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도 차이가 없었다. Log-rank 단변량분석에서 치료 실패와 관련된 유의한 위험인자는 양 군 모두에서 N 병기, 액와 림프절 전이 숫자였으며 유방보존치료군에서는 수술절연침범유무가, 유방전절제군에서는 high nuclear grade가 치료실패와 관련된 위험인자였다(p<0.05). 결론 : 분석결과 AJCC 병기I, II 조기유방암에서 유방보존치료와 유방전절제술은 생존율뿐 아니라 치료 실패양상에도 차이가 없었으며 향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장기간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