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ce bow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3초

CPW 급전 단일 평면 부채꼴형 UWB 안테나 설계 및 제작 (Sectorial Form UWB Antenna with a CPW-fed Uni-Planar)

  • 김남;손귀범;박상명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05-31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단일 평면 구조를 가지는 CPW 급전 부채꼴형 UWB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방사 소자와 접지면이 마주 하는 부분은 지수 함수적으로 테이퍼 된 슬롯 형태를 이루도록 설계되었으며, 사각형 보우타이 구조 다이폴 안테나를 변형하여 다중 공진 모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임피던스 대역폭을 확장시켜 $3.1\sim10.6GHz$ 에서 2 이하의 VSWR을 만족하는 특성을 구현하였다. 측정 결과 UWB 시스템 전 대역에서 -10 dB 이하의 반사손실을 만족하며, XZ 평면(Theta, $Phi=90^{\circ}$)에서 $40.1\sim89.9^{\circ}$의 반전력 빔 폭과 전 대역에서 $0.9\sim3.1dB$의 최대 이득을 나타내었다. 제안된 안테나는 기판 뒷면에 접지면이 없는 CPW 급전 구조를 사용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소형화가 가능하다.

안면골격 형태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O-CR DISCREPANCY AND FACIAL SKELETAL TYPE)

  • 조진영;이영준;박영국;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39-853
    • /
    • 1998
  • 이 연구는 각 유형의 부정교합과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량 간의 상호관련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각 부정교합자 군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를 3차원적으로 비교 평가하고, 각 안면골격 형태의 특징에 따른 변위량의 차이 유무를 분석하고, 각 유형의 부정교합 골격형태에서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와 두개안면골격 계측요소 간의 상관성을 검정하였다. 242명의 부정교합자를 대상으로 중심교합위 상태에서 얻어진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을 계측하고 이들을 수평적, 수직적 관계에 의하여 9군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들로부터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에서의 교합기록을 채득하고 face-bow로 안궁이전을 한 뒤 석고모형을 교합기에 중심위 상태로 탑재하였다. 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와 중심교합위의 하악과두위치를 측정하고 이들과 각 군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에서 좌측과 우측은 증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전후방보다는 상하변위의 좌 우측 상관성이 다소 높았다. 2. II급 부정 교합군이 I 급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좌우측간의 중심 교합위-중심위 변위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각 부정교합군에서의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 유형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중심교합위 상태의 측모두부X선규격사진상에서의 안면골격의 형태요소와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간에는 상관성이 적었다. 5. II급 brachyfacial skeleton과 III급 mesofacial skeleton의 일부 계측치에서 CPI수치를 예측할 수 있는 항목들이 나타났다. 중심교합위-중심위 변위의 양과 방향은 특정한 안면형태요소와는 무관하며 하악과두의 위치변이는 부정교합양태나 안면골격 형태와 관계없이 발현되었다.

  • PDF

교합관계 기록 재료의 정확성에 관한 임상적 비교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CCURACY OF INTEROCCLUSAL RECORDING MATERIALS)

  • 박홍렬;장익태;김광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108
    • /
    • 199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ganitude of the discrepancies of the mounting errors in according to the states of dentitions, and to the superoinferior, anteroposterior, and rightleft driecetions. GROUP I. : Fourteen patients 22 to 26 years of age with a full complement of teeth, were used in the study. The criteria fro patient selection were a complete dentition, sparse restorarive treatment, and adequate posterior and anterior occlusan stops. And they had no sign and sympton at TMG area. GROUPII. : Eigth patients 37 to 62 years of age with bilateral free ends. The criteria for patient selection were Kennedy classification class 1 cases, and adequate posterior and anterior stops. And the opposite dentitions were a full complement of teeth. Irreversible hydrocolloid impresiion of each arch was taken of each patient. These were immediatel poured in stone and mounted on a Denar Mark II. Articulator with the arbitrary slidematic face-bow. With hand articulation th e mandibular cast was mounted to the maxillary cast in centric occlusion. Five types of interocclusal records were taken of each patient : (1) aluwax (2) baseplate wax; (3) znic oxide-eugenol pasts; (4) polyether (Ramitec); (5) modeling compound. All measurement of the five selected recording material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hand-articulated full arch models in centric occlusion or maximum interdigit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mount of devitation in according to the materials and the states of dentition. The amount of deviation of compound was the largest. 2.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amount of deviation in complete dentition at all directions. The amount of diviation of compound was the largest. And at the right-left direction the amount of znic oxide-eugenol paste was larger than that of baseplate wax. 3.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mount of diviations in partial edentulous dentition at the superoinferior direction. The amount of deviation of compound was larger than that of znic oxide-eugenol paste. 4. There was as statistical difference in amount of deviations in partial edentulous dentition at the right-left direction. The amount of deviation of baseplate wax was larger that tnat of polyether. 5. There was not a statistical difference in amount of diviation in partial edentulous dentition at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 PDF

Delaire 법을 이용한 구순구개열 환자의 구순 및 코 교정수술 (Functional repair of the cleft lip and palate using Delaire method)

  • 송인석;이호;이수연;이일구;명훈;최진영;이종호;정필훈;김명진;서병무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3-100
    • /
    • 2006
  • 본 증례에서는 2명의 불완전, 그리고 완전구순열 환자를 Delaire의 개념에 의하여 수술을 시행 하였다. 불완전 구순열 교정은 코 교정 후 좌우 비대칭을 해소할 수 있었으나 완전구순구개열의 환아에서는 코의 비대칭성을 회복하기 위해 동시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좌우 비대칭성은 수술 후에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증례의 경우 환자의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이유로 인해 수술이 지연된 환자로 수술에 난이도는 비교적 높지 않았던 경우로 비강전정부위와 비익부위, 그리고 구륜근 등의 피부 하방에 비정상적으로 배열된 근육의 박리와 재위치를 이루어주었던 경우였다. 술 후 평가를 위한, 심미, 발음, 기능과 정서적 발달 정도를 검사하여야 하나 지리적 관계로 재평가가 어려운 점이 예상된다.

  • PDF

디지털 안궁이전과 가상교합기를 이용하여 하악의 운동을 고려한 구치부 수복 증례 (Posterior rehabilitation considering mandibular movement with digital facebow transfer and virtual articulator: A case report)

  • 김민범;권호범;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31-441
    • /
    • 2022
  •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하악의 운동로를 기록하고 캐드 소프트웨어(CAD software) 상에 반영할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한 보철 수복은 치료 결과를 향상시킨다. 본 증례는 상하악 대구치가 소실된 환자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 및 보철 수복한 증례이다. 구내 스캔 후 디지털 진단 왁스업을 토대로 임플란트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한 뒤 임플란트 식립했다. 6개월의 충분한 골유착 후, 맞춤형 지대주와 첫번째 임시 보철물을 장착하였다. 2개월 후 지대주 수준에서 구강 스캔 및 디지털 안궁이전 장치로 가상 교합기 상마운팅하고 하악 운동을 기록했다. 하악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두번째 임시 보철물을 제작, 장착 후 안정된 교합 상태에서 더블 스캔 과정으로 복제하여 지르코니아 최종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장착했다.

수직고경이 감소된 환자의 디지털 진단 분석을 이용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for a patient with vertical dimension loss using digital diagnostic analysis: A clinical report)

  • 최예원;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김형섭;권긍록;배아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87-496
    • /
    • 2021
  • 완전 구강 회복이란 구강 내 잔존치아와 결손치아를 수복하여 구강의 건강, 기능 및 아름다움을 개선하고 구강악계의 다른 조직과 조화되도록 회복시켜주는 것을 말한다. 다수 치아가 상실될 경우 환자의 교합평면은 점차 붕괴되어 가며 수직고경이 감소될 수 있다. 감소된 수직고경은 악관절 및 저작근에 잠재적인 병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보철수복이 요구된다. 본 증례 환자는 68세 여환으로, 현재 사용 중인 가철성 국소의치가 파절되어 식사가 불가능한 상태로 보철치료를 통해 저작기능 회복과 마모 치아의 심미적 개선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수직 고경의 상실을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였다. 디지털 분석 단계에서 CA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교합면을 설정하고 여러 기준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CBCT 영상을 사용하여 악안면계 해부학적 구조물과 치아의 위치를 정렬하여 환자의 상태를 3차원으로 시각화하여 가상으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었다. 가상으로 정렬한 가상 페이스보우를 실물 교합기로 옮겨와서 한번 더 진단 분석하였다. 평가 후, 임시보철물을 제작하여 환자가 이상 없이 적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최종 보철물로 이행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수직고경이 감소된 68세의 여성 환자에서 가철성 국소의치를 동반한 완전구강회복으로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