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GSTA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FRAGSTATS 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 분석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 허성구;김기성;안재훈;윤정숙;임경재;최중대;신용철;유창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21
    • /
    • 2007
  •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 유역은 인간의 개발행위에 따른 산림지역 파편화로 인해 산림지역의 상당부분이 농업/도시 지역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하류 수역에서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변화가 도암댐 유역내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인 분석 툴을 이용하여 수계단위로 분석한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였다. 복잡한 계산식으로 구성된 경관지수를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FRAGSTATS 프로그램은 경관분석에 많이 이용해 왔으나, 각 경관지수별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FRAGSTATS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량적 경관분석을 수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 파편화가 발생하기 전과 후의 가상적이면서 단순화된 경관을 구성하여 경관지수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술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도암댐 유역내에서 산림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19개 소유역중 S1 유역이 1985년부터 2000년까지 가장 많은 산림 파편화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지역의 파편화, 이에 따른 토지이용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계단위로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FRAGSTATS과 같은 경관분석 프로그램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 PDF

갑천 유역의 불투수율 변화에 따른 경관 생태학적 지표의 평가 (Evalu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es of Gap Stream Basin on Impervious Cover Changes)

  • 최진영;강문성;배승종;정세웅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63-1268
    • /
    • 2010
  • 불투수면 비율은 유역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도시화에 따른 도시유출의 특성을 추적하는 모델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고,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서 수환경과의 밀접한 관계가 검증되었다. 불투수율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유역계획에서 여러 가지 대안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유역생태계 변화 분석 등은 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이용의 파편화(Fragmentation)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파편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의 적용을 위한 경관요소로서 토지피복을 선정하여, 불투수면을 나타내는 시가화지역과 투수면을 나타내는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1) 갑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경관구조,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2) 갑천 유역 내 6개 단위유역별로도 경관 생태학적 지표를 선정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 PDF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y in Rural Village of Korea)

  • 김한수;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89-403
    • /
    • 2011
  • 인간 활동이 생태계의 훼손과 생물다양성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35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자연생태계의 교란정도를 알 수 있는 귀화식물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토지이용 현황도를 제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경관생태학적특성을 정량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지의 경관지수와 귀화식물 분포특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경관지수는 공간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성은 Urbanization Index와 Naturalization Index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귀화율과 패치밀도, 귀화율과 가장자리밀도, 귀화율과 면적가중평균형태지수 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귀화율과 핵심면적백분율, 귀화율과 평균핵심지역 등이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안사구생태계의 경관생태분석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 in Korea)

  • 김재은;홍선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2
    • /
    • 2009
  • Coastal sand dune area is the important ecosystem as an ecotone which located between coastal area and terrestrial area. Moreover, it is very complicate landscape that have geomorphological interaction between erosion and accumulation of s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and dune ecosystem in view point of landscape scale including background landscape affecting origin of sand dune.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in the complicate ecosystem already started in developed countries, and it is applied to land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ies even in national scale. In this paper,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using landscape patter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7 study areas (Yellow Sea : Hakampo and Doksan, South Sea : Namyeol and Balpo, East Sea : Hosan, Hupo and Goraebul) in Korean coastal sand dune ecosystem. Landscape elements were composed by 9 elements in these study areas. Major background landscape elements was the forest land and agricultural field. Namyeol (S06) has larger patch landscape compare to other areas. In patch shape indices, Hupo (E10) shows more complicate patch shapes. The high landscape heterogeneity showed in the Doksan sand dune area and that of Hosan. It shows that these areas were composed by various patch types. However, using landscape indices have to use very carefully because several variables have influence to the result such as scale and spatial pattern of study areas. Although landscape analysis through landscape indices shows sometimes difficult to explain the ecosystem, landscape scale approach on ecosystem assessment still useful to interpret in ecological process in large range of habitat.

경관지수를 이용한 산림청 지정 명산(名山)과 일반 산의 산림경관구조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Between Famous and General Korean Forests Using Landscape Indices)

  • 한희;송정은;설아라;박진한;정주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림청에서 지정한 '우리나라 100대 명산'에 포함된 국 도립공원 산림과 그 외의 일반산림과의 비교를 통해 산림의 경관구조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산림을 대상으로 100대 명산에 지정된 산림 및 지정되지 못한 산림을 각각 34개씩 선정하고, 각 산림에 대해 FRAGSTATS을 활용하여 경관구조에 따른 공간분석 결과를 경관지수로 계량화한 후, 두 집단 간 경관지수의 비교분석을 통해 산림의 경관인식에 영향을 주는 경관구조적 특징들을 찾고자 하였다. 비교분석에 의한 연구결과 국 도립공원 산림은 대체로 일반산림에 비해 평균경사도가 크고, 해발이 높으며, 지형 기복도가 높은 곳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 도립공원 산림은 대체로 수종분포 특성에 따른 영급패치의 형태, 크기 및 복잡성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임분 패치의 평균크기, 경관면적비율, 가장자리밀도 및 다양성 등의 경관구조적 특징들이 산림의 경관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로 판단된다.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 : 공간구조 기반 접근 (Spatio-temporal Changes of Urban Sprawl Proces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Spatial Structure-based Approach)

  • 임수진;김감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28-642
    • /
    • 2016
  • 우리나라와 같이 가용 국토면적이 좁은 상황에서 도시의 급격한 외연적 팽창은 여러 도시 및 환경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도시 스프롤로 인하여 발생하는 도시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그 양상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면적, 분포, 형태 등 공간구조 관점에서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관 분석 툴인 FRAGSTATS을 이용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80년대 말 이래 수도권의 스프롤은 지속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그 경향은 1990년대 보다 분명하였다. 1990대에는 비지적 개발이, 2000년대에는 충진 개발이 상대적으로 강하였다. 둘째, 권역별로 보면, 스프롤 경향과 개발의 방식이 권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경관지수 측면에서 과밀억제권역의 스프롤 경향이 가장 강하지만 충진 개발이 우세한 반면, 성장관리권역1의 경우 1990년대는 비지적 개발이, 2000년대에는 충진 개발이 우세하였다. 성장관리권역2의 경우 1980년대 이후 비지적 개발이, 자연보전권역의 경우 스프롤의 수준이 가장 약하지만 점차 그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셋째, 수도권 스프롤 양상은 서울로부터의 거리와 방향에 따라 상이하였다. 1980년대 말에는 서울에 인접한 시군에서, 1990년대 말에는 서울 인접 시군과 남부지역에서, 2000년대 말에는 서울의 남부지역과 북부지역에서 스프롤 현상이 뚜렷하였다.

  • PDF

미중부지역 농지보전 프로그램에 의한 경관구조 변화분석 (Spatial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Changes Caused by the US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in the Central High Plains)

  • 박선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19-533
    • /
    • 2003
  • 미전역에 걸쳐 80년대 중반부터 시행된 미농지보전 프로그램(CRP)은 1992년까지 약 1480만 헥타르에 이르는 농경지를 초지, 임지, 삼림, 또는 기타 보전용도로 전환하였다. CRP 시행에 의한 한 가지 주요결과는 수백만 헥타르에 이르는 초지를 확보함으로써 야생동물을 위한 잠재서식처 면적을 현저하게 증가시킨 점이다. 본 연구는 CRP 시행에 따른 자연경관의 공간구조변화를 지역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절별 Landsat Thematic Mapper 자료를 이용하여 캔자스주 남서부 6개 카운터에 대한 CRP 시행 이전과 이후의 경지 및 초지분포 지도를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분류후 차이분석기법(post-classification differencing)을 적용하여 경지에서 초지로 전환된 지역의 분포를 파악해내었다. 공간구조분석 프로그램 FRAGSTATS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의 공간패턴을 나타내는 10개 주요 총계지표를 계산함으로써 CRP 시행에 따르는 경관구조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지역에 미친 CRP의 주요 영향은 전반적으로 자연초지 분포의 분절화가 현격하게 감소했다는 것이다. 야생동물 서식처관리의 측면에서 CRP 초지의 도입은 지편(地片)의수, 평균 지편 크기, 지편 내부면적 등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또한, CRP 시행은 녹지간 연결성 및 결합도를 높였는데, 이는 넓게 연속된 서식처를 요하는 종들을 보호하는 데에 잠재적인 가치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CRP는 이웃한 녹지간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생물종들의 녹지간 이동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CRP 시행은 캔자스주남서부 지역의 자연공간구조를 현저히 변화시킨 주요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야생동물 서식처 보호를 위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PDF

도시녹지 평가를 위한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 분석 (Analysis of Scale Sensitivity of Landscape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Urban Green Areas)

  • 이인성;윤은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9-79
    • /
    • 2008
  • 경관지수는 면적 및 밀도, 모양, 중심지, 고립 및 접근, 접촉 및 산포, 연결성 등 경관생태의 공간적 구조와 패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현재 100개 이상의 경관지수가 개발되어 많은 연구들에 이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경관지수는 공간해상도 및 분석범위 등 분석 스케일에 따라 다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서 오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경관지수의 스케일 민감성을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복잡한 경관생태에서 비교적 안정적 결과를 도출하는 지수들을 선별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5개 연도 - 1985, 1991, 1996, 2000 및 2003년 - Landsat TM/ETM+ 영상을 이용하여 20 범주의 셀 크기와 41 범주의 분석범위에 대해 FRAGSTATS에 탑재된 54개 클래스 수준 지수의 민감성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4개 클래스 수준 지수 중 19개 지수가 스케일 변화에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편화 정도가 지수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녹지비율 $40{\sim}50%$를 기준으로 지수반응 패턴이 변하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셋째, 국내 관련연구에서 빈번히 이용된 16개 지수 중 6개만이 우리나라의 복잡한 경관생태에서 안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단편화 정도 및 녹지비율에 따라 세심한 지수 선정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진안군 마을숲 주변 산림의 파편화 및 공간 형태 변화 분석 (An Analysis of Changes in Forest Fragmentation and Morphology in Surrounding Landscapes of Maeulsoops and Jinan-gun)

  • 강완모;고인수;박찬열;이도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941-951
    • /
    • 2012
  • 이 연구는 진안군의 산림과 마을숲 주변 경관의 서식지 변화 과정을 경관지수와 서식지 형태 분석으로 밝히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FRAGSTATS과 GUIDOS 서식지 분석 프로그램에서 1989년과 2006년의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여 진안군 산림과 34개 대표적인 마을숲 주변 경관의 서식지 구성과 짜임을 분석하였다. 진안군 핵심과 통로 서식지의 면적, 서식지 연결성은 1989년보다 2006년에 낮았다. 또한, 마을숲 주변 서식지의 파편화 정도와 서식지의 구조적, 기능적 연결성은 1989년보다 2006년에 낮았다. 서식지 파편화를 감소시키고 연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에 존재하는 마을숲과 주변 생태통로를 보전하면서 새로운 생태통로를 조성해주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경관지수와 서식지 형태 분석은 급격하게 변하는 경관에서 서식지 기능과 짜임을 분석하는 데 효과적인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FRAGSTATS를 활용한 경관다양성의 시공간적 분석 (Temporal-Spatial Analysis of Landscape Diversity using FRAGSTATS)

  • 권오성;나정화;구지나;김진효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50
    • /
    • 2015
  • This research selected Daegu Metropolitan City representing a combination of natural space and urban space for this case study. To achieve this, a prerequisite was to set up an optimal block size to evaluate landscape diversity of the research site by using a RPR-Area Curve. Further, landscape divers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land cover map by using FRAGSTATS to analyze spatio-temporal changes. Notably, this research regarded it as the most significant to set forth criteria in order to apply landscape diversity to the development plans of the newtown and outskirt of a city under high pressure development.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from establishing the optimal block size, a size about $2km^2$ was analyzed to measure landscape diversity of the research site. Also, according to the results derived from land diversity evaluation based on land cover map, land diversity was highly measured around urban stream such as Nakdong River and Geumho River, and in particular, the value of landscape diversity was measured considerably high around the urban parks. Results derived from analysis on spatio-temporal changes of land diversity demonstrated that a certain level of urban development exerted a positive effect on an increase in land diversity, but consistent urban development lowered a value of landscape diversity. Results derived from regression analysis to set forth the optimal urban space showed that an urban area of a space about $2km^2$ exerted a positive effect at a rate of about 0~43.3% and a negative effect at a rate about 43.3~100%.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considered to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future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Nonetheless, as only the layout on the 2D plane was analyzed in this research, further research in future is required to complexly consider diverse factors such as height of structure and change in visible real area arising from geographical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