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NAM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초

Eight Unrecorded Higher Fungi Identified at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 Han, Sang-Kuk;Oh, Seung-Hwan;Kim, Hyun-Joong
    • Mycobiology
    • /
    • 제38권2호
    • /
    • pp.81-88
    • /
    • 2010
  • A total of 560 higher fungal specimens were collected in the Gwangneung Forest from May to November of 2007. All of the collected specimens were identified; categorized into 8 classes, 19 orders, 69 families, 165 genera, and 296 species; and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Of the identified specimens, 8 were confirmed as being new to Korea and are as follows: Cudoniella acicularis (Korean name: Jeombakisotugubeoseos), Discina ancilis (Korean name: Jomwonbanbeoseos), Helvella costifera (Korean name: Galbidaeanjangbeoseos), Entoloma cephalotrichum (Korean name: Jomkkaltaejiweodaebeoseos), Mycena leptocephala (Korean name: Yalbeungatweojuleumbeoseos), Naematoloma gracile (Korean name: Ganeundaegaeambeoseos), Sistotrema octosporum (Korean name: Hweosekcheonbeoseos), and Hydnellum peckii (Korean name: Pijeopkkaltaegibeoseos).

Aster danyangensis, a replacement name for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steraceae)

  • KIM, Jae Young;JO, Hyeong Jun;CHANG, Kae Sun;SON, Dong Chan;CHUNG, Gyu 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7-79
    • /
    • 2022
  •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a Korean endemic plant, should be treated as a species rank because it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A. altaicus var. altaicus b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habit, leaf width, and head size. Nevertheless, when A. altaicus var. uchiyamae was treated as a species rank, the epithet uchiyamae was unavailable in Aster owing to the earlier name A. uchiyamae, which was a replacement name for the illegitimate name A. depauperatus. Therefore, we propose A. danyangensis as a new replacement name for A. altaicus var. uchiyamae. The specific epithet danyangensis refers to the geographic location of Danyang-gun, where the species was discovered. We also designate the lectotype and isolectotype of A. danyangensis.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Andropogon virginicus L. and Euphorbia postrata Aiton

  • Yang, Jong-Cheol;Park, Soo-Hyun;Lee, Jeong-Hae;Lee, You-Mi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27-430
    • /
    • 2008
  • Here we reported two unrecorded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n flora. Andropogon virginicus L. of Graminaeae and Euphorbia postrata Aiton of Euphorbiaceae are collected from Dong-gu, Ulsan-si and Sinjindo-ri, Taean-gun, Chungcheongnam-do respectively. A. virginicus L. was easily distinguishable from Themeda triandras var. japonica Makino by keel on glume, 2-4 racemes and long hairy rachis. Thus, the new Korean name, 'Na-do-sol-sae', was given. E. postrata Aiton was cleary distinguished from related taxa by hairs on only edges of fruits. The new Korean name, 'Nu-un-ttang-bin-dae' was given considering the species epithet.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showing habitat were given.

비쭈기나무의 이름 유래와 문헌상 기재 그리고 이용 및 번식 (The Derivation of the "Bizooki" tree in the literature, the Uses and Propagation of Cleyera japonica Thunberg)

  • 서병기;변광옥;손석규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91-97
    • /
    • 2007
  • The Korean name "Bizooki" tree was named by the shape of winter bud which is like a slim bow. There are four scientific names in the tree which are Cleyera japonica Thunberg, Cleyera ochnacea DC, Sakakia ochnacea Nakai, and Ternstroemia gymnanthera. And the English name are Japanese Ternstroemia and Japanese Cleyera. "Bizooki" tree has planted at Buddhist temples in Japan for the ritual. The best result of stem cutting in "Bizooki" tree, 100 percent of rooting, could be accomplished in July when cuttings were done on the mixture-soil containing the same rates by volume of vermiculite, peatmoss and perlite with cuts processed with IBA 1,000 mg/l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70% of shade, plastic mulching, and mist were conditioned.

  • PDF

한반도 미기록속 식물: 대청지치(지치과) (The first record of Thyrocarpus glochidiatus (Boraginaceae) in Korea)

  • 양종철;이유미;박수현;하상교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71-73
    • /
    • 2010
  •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도에서 발견된 지치과 미기록속의 1분류군을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 분류군은 중국일대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진 Thyrocarpus glochidiatus Maximowicz로서, 한국명은 발견된 지역명을 따라 '대청지치'로 명명하였다. 이 분류군에 대한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였고, 도해 및 생태 사진을 제시하였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의 현황 및 천연기념물 명칭에 관한 고찰 (Current State of the Roadside Forest in Sachon-ri, Uiseong and the Perspectives on the Name of the Natural Monuments)

  • 최재웅;김동엽;김미희;강방훈;정명철;조록환;김상범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52-60
    • /
    • 2011
  • 전통마을숲인 당산숲 비보숲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으로서, 수백 여년 전 마을주민들에 의해 조성된 후, 현재까지 주민들에 의해 보전 관리되고 있는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천연기념물 제405호(명칭: 의성 사촌리 가로숲(義城 沙村里 街路숲))로 지정되어 있는 경북 의성군 사촌리 전통마을숲은 당산숲으로서, 사촌리 입향조에 의해 600여년 전 조성된 유서 깊은 숲으로 알려져 있다. 숲에서 지내던 당산제는 1700년대에 기령산 자락의 당집으로 옮겨 지내게 되었고, 현재도 이 당집에서 지낸다. 숲 안에서 지내던 당산제가 숲 밖으로 바뀌어졌다고하여, 당산숲으로서의 성격, 위상이 상실된 것은 아니라고 파악된다. 그러나, 현재 이 숲은 당산숲으로서 이해되지 않고 있으며, 가로숲이라는 이름으로 비보숲으로서만 소개되고 있다. 문화유산이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서는 진정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문화유산의 크기와 특색의 관계를 바꾸는 새로운 축조, 파괴 또는 변형은 허용되어서는 안된다. 뿐만 아니라 거기에 부여된 의미, 가치가 변형되지 않아야 한다.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약 $920{\times}90m$ 규모로서, 건개천인 하천변 양쪽에 갈참나무, 상수리나무, 회화나무 위주의 낙엽활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학자수(學者樹)로 알려진 회화나무 거목을 통해 이 숲의 역사, 유래가 유교문화(儒敎文化)와도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촌리 당산숲은 하천변 수변림(水邊林, riparian buffer)으로서 현재의 명칭인 가로숲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명칭인 '의성 사촌리 가로숲'은 '의성 사촌리 당산숲'으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곳은 현재 가로숲으로 소개되고 있으나, 당산숲으로서 올바로 명명되어 전통문화 유산으로서의 위상과 가치가 보전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낙엽버섯류의 새로운 한국어 일반명 -1. 낙엽버섯속 (Note on the New Korean Common Names of Marasmioid Fungi -1. The Genus Marasmius)

  • 류림;블라드미르 안토닌;가강현;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0-286
    • /
    • 2013
  • 낙엽버섯속 47종이 현재까지 한국에서 보고되었다. 47종 중 26종이 기존에 보고되었고, 10종의 신종과 새롭게 기록된 11종의 일반명이 이 연구에서 분류키와 함께 보고하였다. 일반명은 로마자표기법에 따랐다.

치유의 숲길 해설판이 이용객의 회복환경 및 전반적 치유효과 지각에 미치는 효과: 플라시보 효과의 적용 (Effects of Interpretive Signs on Users'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and Overall Healing Effectiveness: An Application of Placebo)

  • 김상미;최솔아;김상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57-106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해설판의 '숲의 명칭' 또는 '숲의 치유 효과에 대한 정보'가 이용객의 회복환경지각(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PER)과 전반적 치유효과지각(perceived healing effectiveness: PHE)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5년 5-6월 중 연구대상지역인 무등산국립공원 내 '치유의 숲길' 방문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247명의 표본이 선정되었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지기법을 통하여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 졌다. 본 연구의 실험을 위해 '치유의 숲길'을 따라 설치한 해설판(숲의 명칭과 치유의 숲길의 치유효과에 관한 내용 포함)을 읽은 응답자는 플라시보그룹, 해설판을 읽지 않은 응답자는 컨트롤그룹으로 간주하였다. 분석결과, 컨트롤과 플라시보그룹 간 PER과 PHE는 전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ER의 구성 요인별 비교 결과에 따르면 플라시보그룹이 '벗어남'(being away) 요인에서 컨트롤그룹에 비해 긍정적인 수치를 나타냈다. PER의 4개 요인(벗어남, 짜임새, 매혹감, 적합성) 모두 PH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P<0.001) 이들 4개 요인은 PHE의 51.1%를 설명하였다. PHE에 미치는 영향력은 짜임새, 벗어남, 적합성, 매혹감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PER에 미치는 플라시보 효과는 남성, 저연령층, 저 방문경험 그룹에서 나타났으며, PHE에 미치는 플라시보 효과는 남성, 소그룹, 혼자서 또는 친척/가족 동반그룹, 저 방문경험 그룹에서 발견되었다. 관리적 관점에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omparative morphological analysis reveals a new record of Boehmeria nakashimae (Urticaceae) in Korea

  • Hyeong Jun JO;Hyun-Do JANG;Dae-Hui JEONG;Jae Young KIM;Gyu Young CH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13-221
    • /
    • 2023
  • A newly recorded species, Boehmeria nakashimae Yahara, is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to be distributed on forest edges on Jejudo Island, Korea. This species is known to be endemic to northern Kyushu, Japan. It is characterized by ovate to broadly ovate, elliptic-ovate, or sub-orbicular middle leaf shapes, serrulate-dentate and uniform margins, 17-29 teeth on one side, a short caudate or narrowly acute apex, dense glomerules at fruiting, and densely strigillose on the stems, both surfaces of the leaves, the perianth of staminate flowers, and achenes. Therefore, it is given the new name 'Je-ju-top-mo-si-pul' in Korean based on its serrulate-dentate leaf margin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A description, photographs, illustrations, and keys of related taxa in Korea are provided.

'대한민국약전에 수재된 식물성 한약재의 학명에 대한 재고' 의 논평 (A Critical Review of 'Reconsideration about Nomenclature of Herbs List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 김휘;박수경;장계선;장진성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9-31
    • /
    • 2013
  • Objectives : 'Reconsideration about Nomenclature of Herbs List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was published by Doh and Lee with absolute misconception of nomenclature. A critical review of Doh and Lee's paper is given, to correct the confused the concept of nomenclature and to provide proper scientific name for taxa which are discussed. Methods : This paper discusses the proper usage, as mandated by th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Adherence to the rules described in this paper should reduce the present confusion in the nomenclature of scientific names list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Results : Although Doh and Lee proposed four categories to correct the scientific names of the Korean Pharmacopoeia using available botanical databases, they failed to show how nomenclatural concepts are applicable due to misconception of legitimacy and the confusion about synonym. From a nomenclatural perspective, 'accepted name' or 'recommended name' is a subjective term which used to be employed for convenience in a certain databases or working group without nomenclatural meaning. Doh and Lee also pointed out the standardization of author citation. However, they missed the importance of author citation error such as basionym or validating authors. Conclusions : Doh and Lee were not able to solve nomenclatural problems of the Korea Pharmacopoeia due to lack of clarity on the nomenclature code. We strongly recommend that KFDA has to commence extensive nomenclatural review for the next revision of Korea Pharmacopoe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