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REST COMMUNITY STRUCTURE

검색결과 569건 처리시간 0.029초

조류 서식지로서 지뢰지대 삼림습지의 경관생태학적 평가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for Avian Fauna Habitats at the Forest Swamp Minefields of Civilian Control Zone(CCZ) Close to the Demilitarized Zone(DMZ) of Korea)

  • 유승화;이기섭;박종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7-256
    • /
    • 2012
  • 본 연구는 선택되어진 지뢰지역과 습지조각의 산림성조류의 군집에 대하여 경관생태학적 가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면적이 다른 세 곳(8.5ha, 17.4ha, 40.6ha)의 지뢰지역과 산지지역의 세 개 비교지역의 조류상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평균 산림성조류의 종수, 개체수, 종다양성, 종풍부도와 종균등도를 조각의 크기와 습지의 존재와 연결성과 같은 환경적 특성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군집 유사도지수는 실험군과 대조군 조사구사이를 비교하였다. 조류군집은 다음과 같이 요약되었다. 첫째, 63종의 조류가 조사되었으며, 최대개체수 합계는 828개체였다. 종다양성지수는 3.8이었으며, 종풍부도는 9.2, 종균등도는 93.3 이었다. 둘째, 작고 숲과 고립된 숲은 낮은 평균 종의 수와 개체수를 가졌지만,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개활수면이 없는 숲 조각에 비하여 높은 조류 밀도를 보였다. 셋째, 갈대습지를 가진 숲 조각은 단위면적당 조류 종의 수(/10ha), 단위면적당 개체수, 종다양도지수, 종풍부도와 종균등도에서 낮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군집 유사도지수는 소하천을 가진 작은 숲 조각은 다른 숲과 연결되어 있는 큰 산지 숲과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저지대 숲 조각은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다른 서식지와 연결되고 서식지가 넓은 산지의 숲 조각과 군집유사도가 비슷하였다. 따라서, 하천숲의 복원은 산림성조류의 군집에서 생물다양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제안한다.

월출산 국립공원 추이대 군락의 수직적 분포를 통해 본 지구 온난화의 영향과 금후의 천이 가능성 (Influences of Global Warming and Succession Possibility through Vertical Distribution of Communities in Ecotone, Wolchulsan National Park)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2호
    • /
    • pp.1561-1584
    • /
    • 2011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hip between commun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Mt. Wolchulsan. We also predicted the succession possibility and the vertical distribution change of vegetations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through the pioneer species of a forest change and dominant species of canopy vegetations. We also analyzed the Raunkiaer's life-form. The communities in this ecotone are distributed vertically in the order of a Quercus acuta community, a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and a Q. serrata community. A Pinus densiflora community appears on the most of altitudes. The distribution of communities correlates highly with an altitude. The Q. serrata-Q. variabilis community will be succession to the Q. acuta community, and the Q. variabilis will be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or remain locally. The Q. serrata community will possibly maintain as it is, and the P. densiflora community will be also under natural selection gradually. The valuable quantitative and numerical life-forms are confirmed and the layer structure of present vegetation will not be changed.

지리산(智異山) 천왕봉-덕평봉 지역(地域)의 삼림군집구조(森林群集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구상나무림(林)-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Cheonwangbong-Deokpyu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Forest-)

  • 김갑태;추갑철;엄태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6권2호
    • /
    • pp.146-157
    • /
    • 1997
  • 지리산 국립공원의 천왕봉(1,915m)-덕평봉(1,521m)을 중심으로 한 고산지대에 분포하는 우리나라의 특산종인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의 구상나무림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지역에 48개의 조사구($10{\times}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 결과 조사 대상지는 세 개의 집단 구상나무 군집, 구상나무-신갈나무 군집, 가문비나무-사스래나무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가운비나무와 마가목 ; 신갈나무와 쇠물푸례 및 노린재, 나래회나무와 산앵도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의 상관관계들, 신갈나무와 마가목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0.7208-1.2074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활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2.24%는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 고사목은 흉고직경 10-30cm 범위의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in Mt. Namsan, Seoul, Korea

  • Rhim, Shin-Jae;Lee, Ju-Young;Kang, Jeong-Hoon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5호
    • /
    • pp.580-584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s from April to June 2005 in Mt. Namsan, Seoul, Korea. Two 10ha areas were selected for territory mapping of breeding bird communities. Number of breeding bird species, pairs,density and bird species diversity index were higher in deciduous forest with increasing amount of foliage in the forest profile or as forest structures developed compared with coniferous forest. The number of in coniferous forest. The differences in habitat structure between both study areas are very likely to have influenced how breeding birds used the available habitat. Forest structure and its interactions with birds should be consideration in forest management for birds and their habitat.

부여군 부소산의 산림군락 구조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in Mt. Busosan, Buyeo-Gun)

  • 정용문;김동석;김광동;이상화;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5-63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community character and classify forest community with phytosociological method and quadrat method to forest of Mt. Busosan in Buyeo-Gun.1. Communities by phytosociological method were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sp. community. With the classification of TWINSPAN, the community was categorized into Pinus densiflor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 Styrax japonica community.2. The importance value of Pinus densiflora, Quercus acutissima, Prunus sargentii, Styrax japonic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Pinus rigida, Quercus aliena in tree layer were 83.20, 41.87, 30.93, 24.85, 23.27, 20.97, 20.28, and 9.46, respectively. The relative coverage of Stephanandra incisa,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Parthenocissua tricuspidata, Rhododendron mucronulatum, Lindera obtusiloba, Prunus sargentii, Quercus variabilis, Indigofera kirilowii, Quercus acutissima, Lespedeza maximowiczii, and Acer pseudosibolianum in shrub layer were 9.62%, 9.55%, 9.18%, 7.85%, 6.18%, 5.25%, 4.82%, 4.15%, 3.98%, 3.98%, 3.55%, and 2.98%, respectively.3. According to size distribution map of diameter breast height of dominant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of Mt. Busosan was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sp. such as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and Quercus serrata may compete with the Pinus densiflora in the future.4. According to the ordination analysis of Mt. Busosan forest, Pinus densiflora - Styrax japonica community was found in moist site and Pinus densiflora -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was found in dry site.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in the Ridgeline Area of the Nakdong-Jeongmaek)

  • 박석곤;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6-398
    • /
    • 2016
  • 강원도 태백시에서 부산광역시까지 이어지는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환경조건과 인위적 영향을 고려해 중점조사지 6곳을 선정해 식생조사를 실시했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거제수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소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곰솔림, 잣나무-리기다소나무림, 편백-사방오리림 등 9개로 유형화되었다. 강원도 태백시의 백병산에서는 온대북부 기후대의 환경특성을 반영한 거제수나무-신갈나무군락이 출현했고, 부산광역시의 구덕산은 해안에 인접한 지역으로 곰솔림이 분포했다. 구덕산은 도심에 위치해 있고 해발고도가 낮아 사람들이 자주 찾는 곳으로서 임목생산 및 사방녹화를 위한 편백, 곰솔 등과 조경수가 심어져 자연성이 낮은 편이었다. 그 외 중점조사지에서는 남한의 정맥을 대표하는 산림식생유형인 신갈나무우점군락, 소나무우점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이 주로 분포해, 타 정맥과 산림식생유형이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낙동정맥은 남북방향으로 길게 늘어져 있어 온대북부 기후대부터 난온대 기후대까지의 식생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것이 특징적이었다.

대기오염 및 산성비가 서울지역 식물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Plant Community Decline by the Air Pollutant & Acid Rain in the Metropolitan Area)

  • 유창희;이경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0-94
    • /
    • 1992
  • To inspect the changing of the forest soil and plants community structrure by air plooutand & acid rain during from September to November in 1990, the smapling sites were selected in the Piwon, Namsan and Kwangnung forest. In sites, plots were set up in Q. aliena forest at Piwon, Quercus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Namsan and Q. mongolica and Pinus densiflora forest at Kwangnung. To obtain the individual number of trees, number of species, importance values and species diversity, using the Curtis & McIntosh methods. The results are following that; 1) In Pinus densiflora community, it was almost dominated by Q. spp. in the canopy layer and P. densiflora and Carpinus laxiflora through the subtree to shrub layer at Kwangnung. It wassaid that C. laxiflora is the climax species in moddle temperature zone. On the contrary, in Namsan forest, there is no appearance thesamplings of P. densiflora & C. laxiflora, but Styrax japonica and Stephanandra incisa that are acid-tolerance species are dominant ones. On the other hand, in Q. spp. community, Q. spp. and C. laxiflora are dominant ones. On the other hand, in Q. spp. community, Q. spp. and C. laxiflora are dominant species through all layer, and in addition C. cordata somewhat appear at Kwangnung. But at Namsan and Piwon forest, Q. mongolica & Q. aliena that were dominant species in canopy layer disappeared in the subtreeand shrub layer, and C. laxiflora and Corunus cordata absolutely disappeared. It were similarly dominated by Robinia pseudo-acacia, Styrax japonica, Sorbus alnifolia, Acer pseudo-sieboldianum, Rhododendrn mucronulatum and so on at Namsn and Piwon forest. In the light of these facts, it found out that disclimax was similar between Namsan and Piwon forest. 2) Species diversity and maximum species diversity were decreased in Kwangnumg, Namsan, Piwon in order. It was xpected that vegetational community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pollutant. 3) As the vegetational community structure analyses, using DCA technique among the ordination, ecological successional series are stopped to Q. spp. from P. densiflora at Namsan and Piwon, but that of Kwangnung is on the way that P. densiflora, Q. alena, C. laxiflora. It was obvi ously different from Namsan and Piwon. 4) In Q. spp. & P. densiflora community, the number of woody plants inNamsan & Piwon is much less than that of Kwangnung through all Layer. Especially, Piwon shown very severe difference. Through all community,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Piwon and Namsan are less than that of Kwangnung. Specially, that of the shrub layer is obvious. 5) In the growth rate of trees, it found out that all sites showed the growth decline phenomena. Especially, since in 1975, there have been the micro disclimax phenomena in Q. community of Kwangnung. 6) In the Q. community, soil acidity of Namsan & Piwon measured 4.57, 4.40 respectively. It was very strong acidity and far lower than that of Kwangnung. Also the content amount of Mg++ in Namsan & Piwon forest were still lower than Kwangnung.

  • PDF

녹지축 연결을 통한 생태공간 조성계획 - 성남시 분당 Ecobridge지역을 중심으로 -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pace for the Connection of Green Corridor - A Case Study of Ecobridge in Pundang, Songnam City -)

  • 강현경;이경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38
    • /
    • 1996
  • 본 연구는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중앙공원과 불곡산에 이르는 중심녹지축의 연결로 Ecobridge지역의 생태적 공간조성을 목적으로 야생조루종조성, 식물군집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야생조루종조성분석 결과 Ecobridge 지역에서는 까치, 박새, 참새 3종 23개체만이 출현하였고 중앙공원 산림에서는 3종과 꾀꼬리, 제비 5종 37개체가 출현하였다. 자연환경이 양호한 불곡산에서는 15종 72개체가 출현하였다. 식물군집구조분석 결과 중앙공원과 불곡산 산림은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등을 식재한 인공림과 신갈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 등 참나무류를 중심으로 형성된 자연림, 인공림에서 참나무류로의 2차천이가 일어나고 있는 반자연림으로 나뉘어졌다. Ecobridge지역은 아교목층이 형성되지 않은 교목층 위주의 단순식생으로 지역주민의 이동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종다양성은 불곡산 산림$\longrightarrow$ 중앙공원 산림$\longrightarrow$Ecobridge지역순으로 낮은 값을 보였고, 유사도지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생태적인 공간조성에 있어 종다양성이 높은 불곡산의 다층적인 식생구조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부산 금정산 범어사계곡 낙엽활엽수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t the Beomeosa(Temple) Valley in Kumjungsan, Busan)

  • 김정호;최송현;최인태;양순자;이상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81-589
    • /
    • 2011
  • 부산 금정산 범어사계곡의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군락의 식생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단위면적 100$m^2$의 조사구 28개를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기법중의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을 분류한 결과, 개서어나무-낙엽활엽수군락(군락 I), 졸참나무-개서어나무군락(군락 II), 개서어나무-졸참나무-소나무군락(군락 III), 개서어나무-졸참나무-신갈나무군락(군락 IV), 졸참나무-낙엽활엽수군락(군락 V), 편백-개서어나무군락(군락 VI)의 6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군락별 종다양도는 0.3832~1.0450의 범위이었으며 인공식재한 편백나무가 우점하는 군락 VI의 종다양도가 가장 낮았고 개서어나무와 기타 낙엽활엽수가 우점하는 군락 I과 군락 V의 종다양도가 가장 높았다. 단위면적당(100$m^2$) 종수는 6.8${\pm}$3.2종이었다. 금정산 범어사계곡의 개서어나무군락은 기후극상림으로써 보전가치 높으므로 지속적인 보전관리대책이 요구된다.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5
  • 태백산지 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4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3개의 군집(낙엽송 우점군집, 물푸레나무-까치박달 우점군집, 거제수나무-신갈나무 우점군집) 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회나무와 철쭉: 병꽃나무와 철쭉, 회나무; 당단풍과 산겨릅나무; 신갈나무와 피나무 등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단풍과 피나무,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부게꽃나무; 잣나무와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함박꽃나무, 거제수, 고로쇠나무 등의 수종 간에는 녁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7932\~1.2077$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