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MA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18초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서 추나요법을 통한 하지길이차이 교정의 효과 (The Efficacy of Adjusting Leg Length Inequality by Chuna Manual Treatment for Post-Stroke Hemiplegia)

  • 권오곤;장우석;우창훈;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7-202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adjusting leg length inequality(LLI) by chuna manual treatment for post-stroke hemiplegia. Methods : 39 patients with stroke-originated hemiplegia who had leg length inequalit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huna manual treatment at pelvic girdle was applied to 20 patients and they had been treated by general oriental rehabilitation therapy(test group). The other 19 patients had been treated by general oriental rehabilitation therapy only(control group). Outcomes were assessed by Modified Barthel Index(MBI), Berg Balance Scale(BBS), lower extremity Fugl-Meyer Assessment(FMA) at the point of beginning and end of the study. Results : 1. In terms of activity of daily living(ADL), test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In subacute group(onset had been past under 6 months), test group didn'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chronic group(onset had been past over 6 months), test group didn'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 2. In terms of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balance, test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In subacute group, test group didn'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chronic group, test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p<0.01). 3. In terms of lower extremity function of hemiplegic side, test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In subacute group, test group didn'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 In chronic group, test group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compared to control group(p<0.05). Coclusions : Adjusting LLI by chuna manual treatment is efficacious for rehabilitation of stroke-originated hemiplegia, in terms of ADL, balance and lower extremity function, and is especially efficacious for chronic patients.

뇌졸중 후 경련성 편마비의 침치료에 대한 최신 임상 연구 동향 - CAJ 검색을 중심으로 (Review of Clinical Research about Acupuncture for Spastic Hmiplegia after Stroke - Research on China Academic Journal)

  • 조명재;김다혜;김선우;박철우;김영광;장혜연;김민욱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8-35
    • /
    • 2021
  • To analyze the clinical efficacy of acupuncture for spastic hemiplegia after stroke,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consider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 searched for papers that performed acupuncture for spastic hemiplegia after stroke in the China Academic Journal of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from January 1, 2017 to June 30, 2020. In total, 23 report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There are 18 studies conducted with more than 50 subjects and less than 100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treatment was 20 times. 28days(4weeks) was the largest number of treatment period, which accounted 10 studies. The most frequently used evaluation index was The Fugl-Meyer Assessment(FMA) and Clinical Efficacy, each used 21 times and 17 times. The most frequently used acupuncture point was LI3, which was used 13 times. The retention time was 30 minutes and 11 studies were conducted. Western medicine treatment was the most common control group in 15 studies. Most of studies showed result of the interventio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puncture for spastic hemiplegia after stroke was effective and it was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firm a conclusion, because the quality of most of studies was low.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측모 사진 분석의 비교 (Comparison of analysis of the lateral cephalogram and analysis of lateral facial photograph)

  • 임성훈;조주영;최갑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4-83
    • /
    • 2006
  • 오래 전부터 교정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시 골격 및 치열 관계와 안모를 분석하기 위한 필수적인 진단 자료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심미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좀 더 정량화된 연조직 분석법이 필요하게 되었고 좀 더 사실적인 연조직 측모를 얻기 위해서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보다는 측모 사진이 더 유용할 것이다. 아직까지 측모 사진을 계측, 분석하는 경우는 드물었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측모 사진의 계측 분석을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과 비교해 봄으로써 연조직과 경조직 분석이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 그 대체 가능성을 시험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계측치인 ANB를 기준으로 I급 부정교합$(0^{\circ}{\sim}4^{\circ})$ 32명, II급 부정교합$(4^{\circ}{\leq})$ 32명, III급 부정교합$(-5^{\circ}{\sim}0^{\circ})$ 31명을 선정하였다. 각 피험자들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과 측모 사진을 각각 촬영하여 수평적, 수직적 계측 항목을 설정한 후 각 계측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준화 변수 Z를 이용한 t-test와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분석에서 세 그룹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계측치들이 측모 사진에서도 유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측모 사진의 Su-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서 상, 하악골의 전후방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ANB를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측모 사진의 N'-Sn/Sn-Pg'은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NA/APg (facial convexity)을, 그리고 측모 사진의 N'-Tra-Me'는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의 FH-MP (mandibular plane)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상교합자의 3가지 안면골 성장양상에 관한 누년적 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REE FACIAL GROWTH PATTERNS IN KOREANS WITH NORMAL OCCLUSION)

  • 박경덕;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3-286
    • /
    • 1995
  • 안면골 성장유형에 따른 두개안면골의 성장양상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정상교합자 남자 19명 여자 14명으로 부터 8.5세에서 18.5세까지 10년 동안에 걸쳐 촬영한 연속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분석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서 안면골 성장유형은 최초 8.5세에서 10년 후인 18.5세 사이의 Y-axis의 총변화량을 기준으로 Drop, Neutral, Forward군으로 구분하였다. 각 군에서 안면 각 부위의 변화를 계측 분석하여 각 유형의 10년간 성장양상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에서 두개안면골 성장양상의 분포는 Neutral군이 52%, Forward군이 27%, Drop군이 21%로 나타났다. 두개저에 대한 상,하악골익 전방성장은 Forward군이 Drop군에 비해 크게 나타났으며 Neutral군과 Forward군에서 상악에 비해 하악의 전방성장이 크게 나타났다. FH plane에 대한 palaltal plane의 기울기는 연구기간 동안 Forward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전상방으로 경사되면서 성장하였다. 또한 하악평면은 Forward군이 Drop군에 비해 반시계 방향의 회전이 크게 나타났으며 이런 경향은 남자가 여자보다 크게 나타났다. 하악체부(Go-Me)의 길이 성장은 Drop군이 Forward, Neutral군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안면골의 성장에 관하여 길이 및 각도적 계측치는 각기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수직적 비율의 특성은 각 군에서 비교적 일관성 있게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분석자료를 이용하여 교정진단시 개개인의 성장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8.5세에서 18.5세까지 성장유형별 Profilogram을 작성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