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Uvial Modeling Engine(FLUMEN)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pplication of Numerical Model - FLUMEN to Inundation (FLUMEN 모형의 홍수범람 적용성 검토)

  • Bae, Yong-Hoon;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76-138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홍수범람지도 제작을 위해 사용되는 수치모형의 검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검증할 수치모형은 스위스의 Beffa에 의해 개발된 FLUMEN(FLUvial Modeling ENgine)으로서 수심 적분된 2차원 비선형 천수방정식에 불규칙 심각망을 이용한 유한체적법(finite volume method)이 적용된 수치모형이며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홍수범람해석에 사용된 바 있는 모델이다. FLUMEN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범람해석시 가장 중요한 문제인 이동경계조건(moving boundary condition)을 포함하고 있는 원형섬에서의 고립파에 처오름높이를 계산하여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비교한다. 수리모형실험은 미국 육군 공병단 산하의 해안공학연구소(CERC, Coastal Engineering Research Center)에서 수행되었으며(Liu 등, 1995) 수조의 중앙에 높이 0.625m, 해저지름 7.2m, 경사각 $14.04^{\circ}$의 원형섬이 위치한다. 본 연구 결과, 수치해석으로 계산된 섬에서의 실제 처오름높이와 입사파의 파고의 비(R/A)는 수리모형실험의 결과와 어느 정도 일치하였다.

  • PDF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simulation between one- and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s for an emergency action plan of agricultural reservoirs

  • Kim, Jae Young;Jung, Sung Ho;Yeon, Min Ho;Lee, Gi Ha;Lee, Dae Eop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48 no.3
    • /
    • pp.515-526
    • /
    • 2021
  • The frequency of typhoons and torrential rainfalls has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concurrent risk of breakage of dams and reservoirs has increased due to structural aging. To cope with the risk of dam breakage, a more accurate emergency action plan (EAP) must be established, and more advanced technology must be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of flooding. Hence,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method for establishing a more effective EAP by performing flood and inundation analyses using one- and two-dimensional models. The probable maximum flood (PMF) under the condi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was calculated for the target area, namely the Gyeong-cheon reservoir watershed. The breakage scenario of the Gyeong-cheon reservoir was then built up, and breakage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dam-break flood forecasting (DAMBRK) model. The results of the outflow analysis at the main locations were used as the basis for the one-dimensional (1D) and two-dimensional (2D) flood inundation analyses using the watershed modeling system (WMS) and the FLUvial Modeling ENgine (FLUMEN), respectively. The maximum inundation area between the Daehari-cheon confluence and the Naeseong-cheon location was compared for each model. The 1D flood inundation analysis gave an area of 21.3 km2, and the 2D flood inundation analysis gave an area of 21.9 km2. Although these results indicate an insignificant difference of 0.6 km2 in the inundation area between the two models, it should be noted that one of the main locations (namely, the Yonggung-myeon Administrative and Welfare Center) was not inundated in the 1D (WMS) model but inundated in the 2D (FLUMEN) model.

Numerical Simulation for Flood Inundation according to Overflow and Break at Vulnerable Levee in the Han River (월류 및 파제에 따른 한강제방 취약지역의 홍수범람모의)

  • Park, Sung Woo;Lee, Jin Woo;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43-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한강제방 취약구간인 성산대교와 잠실철교 부근 지역에 대한 홍수범람을 수치모의 하였다. 사용된 수치모형은 스위스의 Beffa에 의해 개발된 FLUMEN(FLUvial Modeling ENgine)으로서 스위스, 독일, 오스트리아 등에서 홍수범람해석에 사용된 바 있는 모형이다. 제방 취약지역은 한강 하천정비기본계획(2002)과 대학과 연계한 하천관리에 관한 연구용역(2단계 4차년)에 제시된 HEC-RAS 부등류 해석에 의해 계산된 홍수위와 기존 제방의 높이를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범람모의를 위해 HEC-RAS 부정류 해석을 통해 경계조건을 산정하고, FLUMEN을 이용하여 한강제방의 취약지역에 대한 범람모의와 파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파제에 따른 범람모의를 실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제방 취약지역에서 월류로 인한 범람이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일부 주거지역이 침수되었다. 가상 파제시나리오를 통한 수치모의 결과에서 여의도에서 $2.179km^2$의 넓은 지역에 침수현상이 계산되었으며, 최대 침수심은 5.054m로 성산대교 남단의 가상 파제 시나리오에서 계산되었다. 수치모의 결과 FLUMEN은 한강유역의 범람모의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홍수 방어대책을 수립함에 있어 홍수 취약지역의 선정과 수공구조물의 설치 방향을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 된다. 정확도를 높이려면 보다 정밀한 제내지, 제외지의 측량자료의 적용, 내수 침수모형과의 연계, 조밀한 불규칙 삼각망의 작성이 필요하며, 국내실정에 맞는 정확한 적용기준마련과 유역의 수리학적 특성이 고려된 홍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고 보다 정확한 조도계수의 산정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Applicability Evaluation of One- and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Analysis Models to Establish an Emergency Action Plan for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저수지 EAP 수립을 위한 1·2차원 홍수범람해석모형의 적용성 평가)

  • Lee, Dae Eop;Kim, Jae Young;Lee, Gi Ha;Jung, Sung Ho;Yeon, Min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1-351
    • /
    • 2021
  • 저수지에 대한 비상대처계획수립은 최근 기상이변 등에 따른 대규모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계 도처에서 대규모 지진 등으로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가 속출함에 따라 지진 및 이상홍수에 대한 저수지의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고 저수지 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천재지변 또는 예상치 못한 대규모 재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비상상황의 등급 및 위험수준을 체계적으로 판단하고 비상상황 가상 시나리오별 체계적 행동요령 및 대처계획을 수립하여 저수지 붕괴에 따른 대규모 홍수피해 예상지역 주민들의 신속한 대응으로 생명과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행 한국농어촌공사 및 지자체에서 수립하고 있는 30만 톤 이상 저수지에 대한 1차원 모형 기반의 EAP수립은 침수구역을 산정할 때 수치지도에 의한 단일 침수심 분석으로 실제 침수구역과는 많은 오류가 나타난다. 이는 침수구역 부정확에 따른 피해복구액 산정이 과다로 책정될 수 있고,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비상대처계획 수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는 댐 붕괴에 대응하기 위한 EAP 수립 시 기본이 되는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고 1차원 및 2차원 모형의 결과검토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비상대처계획의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천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가능최대강수량 조건 하에서 가능최대홍수량을 산정하고 DAMBRK 모형을 이용하여 댐 붕괴 모의를 위한 시나리오 구성 및 모의를 수행하였다. 이후 댐 붕괴 모의결과를 이용하여 WMS(Watershed Modeling System) 모형을 이용한 1차원 홍수범람해석과 FLUMEN(FLUvial Modeling ENgine) 모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해석에 적용 후 각 결과를 비교·검토하였다.

  • PDF

The Simulation of Flood Inundation of Namdae Stream with GIS-based FLUMEN model (GIS 기반 FLUMEN 모형을 이용한 남대천 홍수범람 모의실험)

  • Lee, Geun-Sang;Choi, Yun-Wo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2
    • /
    • pp.25-34
    • /
    • 2010
  • This study simulated flood inundation each frequency rainfall using GIS spatial information and FLUMEN model for part of Muju-Namdae Stream. To create geomorphology for the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Triangle Irregular Network(TIN) was constructed using GIS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based on digital topographic map and river profile data, unique data source to represent real topography of the river areas. And also flood inundation was operated according to the levee collapse to consider extremely flood damage scenarios. As the analysis of result, the inundation area in the left levee collapse showed more high as 3.13, 3.69, and 4.17 times comparing with one of right levee for 50, 100, and 200 year frequency rainfall and showed 1.00, 2.15, and 3.34 times comparing with one of right levee in the inundation depth with over 1.0 meter, which can cause casualties. As the analysis of inundation area of the inundation depth with over 1.0 meter, which can cause casualties in left levee collapse, it increased more high as 263% and 473% when 50 year frequency change into 100 and 200 year frequency. Also As the analysis of inundation area of the inundation depth with over 1.0 meter in right levee collapse, it increased high as 123% and 142% when 50 year frequency change into 100 and 200 year frequency. Especially, the inundation area of the inundation depth with 3.0~3.5m showed more high as 263% and 489% when 50 year frequency change into 100 and 200 year frequency. It is expected that flood inundation map of this paper could be important decision making data to establish land use planning and water treatment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