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SK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7초

FISK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를 이용한 강릉남대천의 잠재적 침습 이입종 평가 (The Evaluation of Potential Invasive Species in the Gangneungnamdae Stream in Korea using a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 김정은;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73-81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자료의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강릉 남대천 내 이입종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강릉 남대천에 서식하고 있는 국내 타수계 이입종은 12종으로 조사되었으며, 198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입종의 FISK 평가 결과 피라미 (Zacco platypus)와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가 높은 침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SK 질문의 답변에 대한 신뢰도 값은 평균 $3.2(3.06{\pm}0.16{\sim}3.42{\pm}0.13)$로 분석되었으며, 최대 신뢰도 값이 4인 것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점별 물리적 서식지 평가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결과 평균 146 (88~171)으로 최적의 서식처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과 QHEI, 이입종 출현빈도를 구분한 결과 하천의 고도가 낮아질수록 QHEI 값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산림지역이 감소하고, 도심지역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어류군집, QHEI,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 이입종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천 상 하류간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고도와 지점별 종수 (r= -0.782, p=0.0127), 종수와 산림지역 (r= - 0.737, p=0.0234), QHEI와 도심지역 (r= - 0.292, p= 0.446)과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타수계 이입종의 경우 도심지역과는 양의 상관성 (r=0.313, p=0.412)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랑 문제의 최소 정점 경비원 수 알고리즘 (Minimum number of Vertex Guards Algorithm for Art Gallery Problem)

  • 이상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79-186
    • /
    • 2011
  • 본 논문은 화랑 문제의 최소 정점 경비원 수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n개의 사각형 방으로 구성된 화랑의 최소 경비원수는 정확한 해를 구하는 공식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단순하거나 장애물이 있는 다각형 또는 직각 다각형에 대해 최대 경비원수를 구하는 공식만이 제안되었으며, 최소 경비원수를 구하는 근사 알고리즘만이 제안되고 있다. n개의 정점으로 구성된 다각형 P에 대한 최대 정점 경비원 수를 구하는 방법은 Fisk가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 번째로, n-2개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삼각분할을 수행한다. 두 번째로 3색-정점색칠을 한다. 세 번째로 최소 원소를 가진 채색수를 정점 경비원의 위치로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지배집합으로 최소 정점 경비원 수를 구한다. 첫 번째로, 가능한 모든 가시적인 정점들 간에 간선을 그린 가시성 그래프를 얻는다. 두 번째로, 가시성그래프로부터 직접 지배집합을 얻는 방법과 가시성 행렬로부터 지배집합을 얻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다양한 화랑 문제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알고리즘은 단순하면서도 최소 정점 경비원 수를 얻을 수 있었다.

입원환자의 낙상발생 연구 자료원으로서의 국제간호실무분류체계 기반 전자간호기록의 유용성 (Exploring the Utility of the ICNP based Electronic Nursing Records as a Research Source for Inpatients' Falls)

  • 조인숙;박인숙;김은만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5권1호
    • /
    • pp.33-43
    • /
    • 2008
  •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reuse of data captured into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using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to support nursing research of inpatient's falls. Methods: Risk factors relevant to inpatients falls ;n an acute setting were identifi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Four risk assessment tools and two risk identification studies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availability of coded data in an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for the identified fall fisk factors, we reviewed 11.319 hospital-day records of 118 patients who were reported by the self-report system. Results: We identified 24 fall risk factors of five categories from the literature review, which were used to identify the standard nursing statements addressing fall risks. One hundred thirty five nursing statements were searched from the hospital's nursing data dictionary of statements and were matched with 14 fall fisk factors. Using the 135 statements. we found that mental status, catheter of drip in situ, abnormal gait, insomnia, surgical procedure. and dizziness/vertigo appeared frequently in the nursing records of inpatients with fall s. Also we found 6 risk factors more through the record review. Conclusion: The electronic records would be a good research source for inpatients' falls. Specifically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based nursing record system has the potential for promoting clinical researches.

  • PDF

Effect of physically contained greenhouse covered by fine mesh on pollen dispersal in maize

  • Watanabe, Shin;Kamada, Hiroshi;Ezura, Hiroshi
    • 한국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한일 식물생명공학 심포지엄
    • /
    • pp.367-370
    • /
    • 2005
  • The risk from genetically modified (GM) plants results from the possibility of gene contamination producing adverse effects on biological diversity by introducing herbicide or insect resistance into related plants or weeds (NAS 2002). The concern about the leakage of genes from GM plants into the environment has primarily focused on pollen that could be wind-borne for long distances. During the period of fisk assessment in Japan, physical containment is applied as a measure of reducing gene flow via the dispersal of pollen from GM plants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tried to estimate the effect of physically contained greenhouse covered by 1-mm fine mesh to reduce pollen dispersal by researching cross pollination rate between non-GM yellow maize in a greenhouse and silver maize outside the greenhouse.

  • PDF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OD 추정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내부순환도로를 대상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LS OD matrix estimation with genetic algorithm for Seoul inner-ringroad)

  • 임용택;김현명;백승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7-126
    • /
    • 2000
  • 링크에서 관측된 교통량과 기존의 기종점표(Origin-Destination matrix)를 결합해 새로운 OD를 추정하고자 하는 연구들은 1980년대부터 20여년간 많은 연구자들을 통해 논의되어 왔다. 특히 최근들어 ITS 등의 보급으로 교통관리를 위한 기본자료로서 링크 교통량의 관측이 확대되면서, 도시고속도로 및 간선도로 관리, 경로안내 시스템 등에 사용될 목적으로 링크관측교통량 자료를 이용한 OD 추정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OD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기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기법으로는 베이지안 추정을 이용하는 통계적 방법(Maher, 1983), Entropy 극대화 규칙을 이용하는 방법(Van Zuylen and Willumsen, 1980; Fisk and Boyce, 1983; Fisk, 1989), 최우추정법을 이용한 방법(Spiess, 1987), 그리고 일반화 최소자승법을 이용하는 방법(Gothe et al., 1989; Bell, 1997; Yang et al., 1992)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법들 중 최소자승법을 이용해 OD추정모형을 구축하고, 최적해를 얻기 위하여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형을 통해 얻은 결과를 Spiess(1990)가 제시하여 현재 EMME/2에서 사용되고 있는 Gradient method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추정력 비교를 위해 각 기종점 통행량의 평균 추정오차 외에 동일한 기점을 갖는 기종점 통행량 간의 규모순위(OD 구조) 추정력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내부순환도로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대상지역에서 오전에 조사된 OD를 기존(Target) OD로 사용하였고, 오후의 OD를 추정대상 OD로 설정하였으며, 각 링크에서 오후에 조사된 실제교통량을 링크 관측교통량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유전알고리듬을 이용한 최소자승법을 통해 얻은 결과가 Gradient method를 통해 얻은 결과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ene Ontology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t the Saccharomyces Genome Database

  • Hong, E.L.;Weng, S.;Dolinski, K.;Balakrishnan, R.;Christie, K.R.;Costanzo, M.C.;Dwight, S.S.;Engel, S.R.;Fisk, D.G.;Hirschman, J.E.;Issel-Tarver, L.;Sethuraman, A.;Theesfeld, C.L.;Binkley, G.;Schroeder, M.;Dong, S.;Andrada, R.;Botstein, D.;Cherry, J.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3년도 2003 Annual Meeting, BioExhibition and International Symposium
    • /
    • pp.95-102
    • /
    • 2003
  • PDF

일부 고지혈증 폐경 여성의 Isoflavone 공급에 따른 혈중지질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s in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Women)

  • 이다홍;승정자;이행신;김미현;서유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9-75
    • /
    • 2001
  • Intake of soy protein the fisk factor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ffects of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s in 16 hyperlipidemic postmenopausal women . For this purpose, an intervention study was conducted for 12 weeks. Subjects were healthy, free-living women consuming habitual diets with 0.3g/d of isoflavone. Food and nutrient intake was obtained by 24-hr recall method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were made.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serum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were determined before and after the isoflavone supplementa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age, hight, weight and BMI of the subject were 65.3 years, 151.4 cm, 62.2 kg and 27.1, respectively. The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not reduced significantly with isoflavone supplementation. Total cholesterol (p<0.001), HDL-C(p<0.05), and LDL-C(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isoflavon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isoflavone supplementation was not effective to modify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 PDF

Blind Drift Calibration using Deep Learning Approach to Conventional Sensors on Structural Model

  • Kutchi, Jacob;Robbins, Kendall;De Leon, David;Seek, Michael;Jung, Younghan;Qian, Lei;Mu, Richard;Hong, Liang;Li, Yaoh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814-822
    • /
    • 2022
  • The deployment of sensors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requires a complicated network arrangement, ground truthing, and calibration for validating sensor performance periodically. Any conventional sensor on a structural element is also subjected to static and dynamic vertical loadings in conjunction with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brightness, noise, temperature, and humidity. A structural model with strain gauges was built and tested to get realistic sensory information. This paper investigates different deep learning architectures and algorithms, including unsupervised, autoencoder, and supervised methods, to benchmark blind drift calibration methods using deep learning. It involves a fully connected neural network (FCNN), a long short-term memory (LSTM), and a gated recurrent unit (GRU) to address the blind drift calibration problem (i.e., performing calibrations of installed sensors when ground truth is not available). The results show that the supervised methods perform much better than unsupervised methods, such as an autoencoder, when ground truths are available. Furthermore, taking advantage of time-series information, the GRU model generates the most precise predictions to remove the drift overall.

  • PDF

영양서비스 개발을 위한 대구지역의 인슐린저항성증후군 패턴의 인구학적 특성 분석 (Patterns of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n the Taegu 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Nutritional Service Improvement Programs)

  • 이희자;윤진숙;신동훈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7-107
    • /
    • 2001
  • The clustering of insulin resistance with hypertension, glucose intolerance, hyperinsulinemia, increased triglyceride and decreased HDL cholesterol levels, and central and overall obesity has been called syndrome X, or the insulin resistance syndrome(IRS). To develop a nutrition service for I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each component of the metabolic abnormalities of IRS and analyze the clustering pattern of IRS among subjects living in the Taegu communit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234(mean age ; M/F 48/40yrs);63.5% were men, 24.4% were obese, 13.3% had hypertension. 3.7% had hyperglycemia, and 32.4% had hyperlipidemia. The IRS was defined as the coexistence of two or more components among metabolic abnormalities; obesity, hypertension. hyperglucemia and hyperlipidemia. The prevalence of IRS in Taegu was 19.2%(M/F:20.8%/16.4%), the clustering of these fisk variables was higher in advanced age group. Among the subjects of IRS having two of more diseases, 75.6% were obese, the pattern were similar in men and women. The younger, the higher the prevalence of obesity associated clustering patterns. The prevalence of obesity associated patterns among the hyperglycemia associated clustering patterns was 44.5%. The samples of the representative clustering patterns were obesity and hyperlipidemia (8.0%),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3.2%), hypertension, obesity and hyperlipiemia(3.1%), hypertension and obesity(2.3%), and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0.8%). The clustering of obesity and hyperlipidemia until 50 year old groups, and the clustering of hypertension and hyperlipidemia in the 60 and 70 age groups were the most prevalent. We concluded that insulin resistance syndrome was a relatively common disorder in the Taegu community, and preval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IRS are desired, an effective improvement will be achieved.

  • PDF

(γ-Aminobutyric acid를 생산하는 Lactobacillus brevis AML15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brevis AML15 Producing γ-Aminobutyric acid)

  • 신지원;김동걸;이용우;이형석;신기선;최충식;권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70-975
    • /
    • 2007
  • 국내해안의 젓갈과 김치류로부터 86종의 GABA 생산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GABA 생성능이 우수한 AML15, AML45-1, AML72의 3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별된 3종의 균주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 GABA 생성능이 가장 우수한 AML15 균주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AML15의 분류학적 위치를 규명하기 위하여 16S ribosomal DNA 영역의 부분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165 rDNA 분석결과 Lactobacillus brevis ATCC 367과 99%의 유사도를 나타내어 L. brevis AML15로 명명하였다. MRS 배지에 최종 전환 농도로 설정된 5%(w/v) monosodium glutamic acid를 첨가하고 배지의 초기 pH를 4.0, 5.0과 6.0으로 조정하여 배양한 결과 배지의 초기 pH가 5.0일 때 GABA 생성능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GABA 생산배지에 GAD 효소활성에 조효소로 작용하는 PLP를 0. 10. 50과 100 ${\mu}M$의 농도로 첨가하여 아미노산 분석결과 PLP를 10${\mu}M$ 첨가하였을 때 10,424 $nM/{\mu}$l의 GABA가생산되었다. PLP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PLP 첨가 후 GABA 생성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