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FM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중년기, 노년기 여성에서 무지방조직과 악력, 식이섭취 및 운동습관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at-Free Mass and Grip Strength, Nutrient Intakes, Exercise Behavior in Middle- and Old-Aged Women)

  • 이옥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4권4호
    • /
    • pp.449-457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how change of fat-free mass(FFM), representing mostly the muscle mass change, and muscle strength with increasing age, and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exercise behaviors and FFM in healthy middle-and old aged women who are of age over 55 years. The FFM and correspondingly hand grip strengt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But concentration of serum albumin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ge.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groups according to FFM tertile. The anthropometry such as weight, BMI, fat mass, circumferences of waist and hip, WHR, and hand grip strength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owest FFM group. But the albumin level showed no change according to FFM level. The FFM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utrient intakes such as energy, carbohydrate, protein, Fe, P, Ca. No association, however, was shown with exercise behavior probably because of no case with resistance exercise habits. The variance of FFM was explained 55.2% by height and carbohydrate intake. The variance of height-adjusted FFM could be explained only 16.2% by intake amount of carbohydrate. In conclusion, the decrease of FFM may cause to reduce muscle strength in female elderly. The increasing nutrient intakes were associated with the increased FFM and may protect from risk of sarcopenia. However, only the carbohydrate intake could influence independently the FFM in middle- and old-aged women. The FFM has no association with endurance exercise habits. (Korean J Nutrition 34(4) : 449∼457, 2001)

  • PDF

Relationship between Fat-Free Mass and Muscle Strength, Nutrient Intakes, Exercise Habits in Male Aged

  • Lee, Okhee;Kim, Kang-Sung
    • Nutritional Sciences
    • /
    • 제4권2호
    • /
    • pp.112-119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fir the purpose of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t-free mass (FFM) which mainly represents muscle mass change, and muscle strength. The correlation between diet and exercise behaviors and FFM in healthy elderly men over age 55 was also investigated. FFM and corresponding hand grip strength declin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ge.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serum albumin, the indicator of protein nutritional status, showed no change with increases in age.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FFM textiles. Anthropometry such as height, BMI, circumferences of waist and hips, body fat mass percent and hand grip strength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owest FFM group. But albumin level showed no change relative to FFM level. FFM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nutrient intake such as energy and fat.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with exercise behavior probably because there were no instances of resistance exercise habits among the subjects studied. The variance in FFM could be attributed 86.2% to height and age. The variance of height-adjusted FFM could be attributed only 40.6% to age and fat intake. In conclusion decreases in FFM may cause reductions in muscle strength in elderly men. Increasing energy and fat intake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FFM and may protect elderly men from the risk of sarcopenia. FFM had no association with endurance exercise habits.

  • PDF

개선된 Floor Field Model과 다른 피난시뮬레이션 모델의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ison of Improved Floor Field Model and Other Evacuation Models)

  • 남현우;곽수영;전철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1-51
    • /
    • 2016
  • 본 연구는 보행자의 물리적 특성(크기, 모양, 자세 등)을 적용한 개선된 플로어 필드 모델(Floor field model; FFM)을 소개하고, 개선된 모델과 널리 알려진 다른 피난시뮬레이션 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FFM의 한계점 파악 및 개선된 모델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FFM은 셀룰라 오토마타(Cellular automata)를 이용한 대표적 미시적 관점 보행 모델이지만 보행자의 크기, 모양, 자세 등의 물리적 특성을 세밀하게 반영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보행자들 간의 충돌, 마찰 등의 현상을 모델링하기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다른 모델들과 비교하였을 경우에 매우 짧은 대피 시간을 산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물리적 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개선된 FFM을 제시하며, 개선된 모델과 기존 FFM, 시뮬렉스(Simulex), 패스파인더(Pathfinder) 등 다른 모델들과의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실제 캠퍼스 건물의 일부 공간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피 인원의 변화에 따른 대피 양상의 비교와 각 출구별 대피 양상의 비교가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FFM에서는 반영되지 않던 물리적 현상들이 개선된 모델에서는 상용 모델 수준으로 적용되는 점과 특히 시뮬렉스와 유사한 형태의 대피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FFM과 FDS를 이용한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Fire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FM and FDS)

  • 이재영;이민혁;전철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6-67
    • /
    • 2018
  • 일반적으로 화재 및 대피에 대한 안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화재 시뮬레이터와 대피 시뮬레이터를 독립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방식은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이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의 안전성 진단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확산을 고려한 보행자의 움직임을 묘사할 수 있는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뮬레이션 기법은 FDS(Fire Dynamics Simulator)의 화재 확산 데이터를 보행모델 FFM(Floor Field Model)에 반영하여, 보행자가 화재를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회하여 안전한 경로로 대피하는 상황을 묘사한다. 연구 범위는 FDS와 FFM 간의 데이터 연동 및 화재 확산을 고려한 FFM 개발로 구성되며, 제안한 방법론의 실험은 대피 시뮬레이터 EgresSIM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화재의 유무에 따른 출구별 대피인원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출구별 대피시간 증감과 병목현상의 심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Floor Field Model을 이용한 건축물의 대피시뮬레이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uilding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loor Field Model)

  • 남현우;곽수영;전철민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11
    • /
    • 2016
  • Floor Field Model(이하 FFM)은 보행자의 행동을 모델링하기 위한 Cellular Automata(이하 CA) 기반 보행모델이다. FFM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간단한 구조(하나의 방 혹은 방 안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다소 복잡한 구조(여러 개의 방을 가지는 경우) 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실제 건물에 FFM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방, 층, 계단, 출입문 등에 대한 정보들을 처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론이 요구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출입문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보행자들이 인지하는 출입문은 방의 출입문, 복도와 연결된 계단, 건물의 출입문 등 여러 종류가 있다. FFM에서는 Static Floor Field(이하 SFF)를 계산할 때, 출입문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며, 앞서 언급한 출입문 중 어떤 것을 이용하여 SFF를 계산하는지에 따라 시뮬레이션 결과가 달라진다. 본 연구에서는 FFM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구조에 따른 XML 형태의 건물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다수의 출입문을 처리하는 방법론을 정의한다. 이에 따라 건물 데이터 구축 및 대피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으며, 대학 캠퍼스 건물에 대해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다.

Body Composition Variations in the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of Patients with Strokes Caused by Cerebral Hemorrhage or Cerebral Infarction

  • Yoo, Chan-Uk;Kim, Jae-Hyung;Kim, Gun-Ho;Hwang, Young-Jun;Jeon, Gye-Rok;Baik, Seong-Wan
    • 센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14-323
    • /
    • 2017
  • Indicator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body function may help to optimiz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therapy for stroke patien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ody composition in the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legia caused by cerebral hemorrhage (7 cases) and cerebral infarction (13 cases) using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Specifically, we considered fat mass (FM), fat-free mass (FFM), FFMI index (FFMI), FM/FFM relation, body cell mass (BCM), basal metabolic rate (BMR), and BMR/FFM relation to evaluate the bodily function in the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These values showed consider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s determined by the stroke causes and the paralysis status. In the paretic regions, the FFM, FFMI, BCM, and BMR were low and the FM was high. In contrast, the nonparetic regions showed a high FFM and low FM. Furthermore, the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of all patients suitably fit a linear relation (slope: 22.17 kcal/day/kg) between BMR and FFM. Therefore, bio-electrical impedance measurements can be very useful to quantitatively assess paretic and nonparetic regions in hemiplegic stroke patients.

비만 여성에서 휴대용 간접 열량계를 통한 실측 휴식 대사량과 예측 휴식 대사량의 비교 (Methodological Comparison between Measured and Predict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Korea Obese Women)

  • 송미영;박정미;김진아;고병표;이명종;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6
    • /
    • 200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ccuracy of predicted resting energy expenditure (REE), relationship fat free mass (FFM) and REE. Methods : 60 normal, obese women $(body\;mass\;index\;{\geq}25kg/m^2)$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y had low calorie diet for 8 weeks. At week 0, 4, and 8, REE was measured by MedGem (indirect calorimeter),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using Cunningham equation, and Harris-Benedict (H-B) equation, FFM was also measured by BIA. Results : The REE predicted by BIA was lower than the REE measured by MedGem (MG) in every measurement. The REE predicted by H-B equation predicted REE was lower than that of MG in the second measurement (p<0.01). The REE measured by MedGem was declined after 8 weeks, BIA and H-B equation predicted REE were declined after 4 weeks (p<0.01). H-B equation predicted REE had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EE measured by MedGem than that of BIA.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asured REE and FFM, but measured REE declined after 8 weeks, FFM declined after 4 weeks (p<0.01). We derived a prediction equation as follows : REE = 108.36+31.42 (FFM), $R^2=0.23$.

  • PDF

Predicting the resting metabolic rate of young and middle-aged healthy Korean adults: A preliminary study

  • Park, Hun-Young;Jung, Won-Sang;Hwang, Hyejung;Kim, Sung-Woo;Kim, Jisu;Lim, Kiwon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13
    • /
    • 2020
  • [Purpose] This preliminary study aimed to develop a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resting metabolic rate (RMR) of young and middle-aged Koreans using various easy-to-measure dependent variables. [Methods] The RMR and the dependent variables for its estimation (e.g. age, height, body mass index, fat-free mass; FFM, fat mass, % body fat,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arterial pressure, pulse pressure, and resting heart rate) were measured in 53 young (male n = 18, female n = 16) and middle-aged (male n = 5, female n = 14) healthy adult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velop an RMR estimation regression model using the stepwise regression method. [Results] We confirmed that FFM and age were important variables in both the regression models based o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Mean explanatory power of RMR1 regression models estimated only by FFM was 66.7% (R2) and 66.0% (adjusted R2), while mean standard errors of estimates (SEE) was 219.85 kcal/day. Additionally, mean explanatory power of RMR2 regression models developed by FFM and age were 70.0% (R2) and 68.8% (adjusted R2), while the mean SEE was 210.64 kcal/da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RMR by the canopy method using a metabolic gas analyzer and the predicted RMR by RMR1 and RMR2 equations. [Conclusion] This preliminary study developed a regression model to estimate the RMR of young and middle-age healthy Koreans. The regression model was as follows: RMR1 = 24.383 × FFM + 634.310, RMR2 = 23.691 × FFM - 5.745 × age + 852.341.

16주간 복합운동이 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의 신체조성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fitness in Sarcopenic Obesity Elderly Women)

  • 정주하;양점홍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03-714
    • /
    • 2012
  • 고령기의 생활을 위협하는 비만 여성고령자를 대상으로 sarcopenia 동반에 따른 16주간의 운동중재가 신체조성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이다. 비만 여성고령자를 sarcopenia 동반유무에 따라 sarcopenic obestiy group(SOG)과 non-sarcopenic obesity group(NOG)으로 나누어 16주간, 주 3회, 50-60분간 복합운동 실시 후 신체조성 및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조성의 경우 시기와 그룹간 상호작용효과는 fat free mass(FFM)에서만 나타났으며, 운동 전 후의 변화에서는 SOG의 경우 % body fat은 감소하였고, FFM과 ASM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NOG의 경우 %body fat은 감소하였으며, FFM과 ASM에서는 증가하였다. 심폐체력에서는 두 그룹 모두 $\dot{V}O2peak$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가 non-sarcopenic obesity 여성고령자에 비해 근육량(FFM, ASM)에서 운동효과가 지연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원격의료계측을 위한 한국형 생체 전기 임피던스 분석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for Korean in Telemedicine)

  • 문재국;서광석;임택균;신태민;윤형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13-41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변기에 앉아 있을 때 체성분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체임피던스 측정기(Bioelectrical Impedance Analyzer, BIA)를 개발하고, 이 시스템으로 정확한 체성분 값을 구할 수 있는 방정식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설계한 하드웨어고 건강한 한국인 남·여 181명의 체임피던스 값을 변기에 적합한 전극 부착 위치(손목, 허벅지)에서 획득였다. 같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한국인에게 적용시 정확도의 문제를 내포하는 수중체중법의 Siri 방정식을 modified-Siri 방정식으로 적용함으로서 한국인의 제지방량 표준값을 산출하였다. 이 표준값을 기준으로 임피던스 지수, 체중, 성별로 한국인의 제지방을 예측하는 추정식을 얻었다. 제지방량의 추정값과 표준값 사이의 상관계수(r)는 0.977로 높은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SEE(Standard Error of Estimation)은 2.47kg으로 낮은 오차를 나타냈다(p<0.05). 이는 기존의 전극 부착위치인 손목과 발목을 같은 피험자에 적용하여 체임피던스에 의한 제지방량 추정식을 세울 때, 추정값과 표준값 사이의 상관계수(r = 0.978) 및 SEE(2.43kg)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교차검증(Double Cross Validation)을 통해 실험에 참가하지 않은 피검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도 유효한 것으로 나타나 본 논문에서 설계한 체임피던스 분석기와 추정식은 한국인의 제지방량을 산출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