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RMLAND

검색결과 545건 처리시간 0.036초

중국 전통마을의 경관 특성과 시사점 - 병산촌을 대상 지역으로 -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in Chinese Traditional Village - Cases Study of Ping-shan Village -)

  • 화이캉;장병관;윤주철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67-75
    • /
    • 2016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hinese village through the landscap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sis about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landscape in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It was studied natural landscape, life landscapes, agricultural production landscapes and symbols landscap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Chinese traditional village's landscape characteristic was First,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located on the basis of Feng-Shui settings. Second,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clan-based. Third, It is composed of a large green space on the outskirts of the village. Four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typical channel village. Fif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living landscape with various features. six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lot of space to agricultural production, most of the arable land surround village.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are as follows ; First, proposes actively re-design on the base of defense fengshi landscape interpreted as a modern sense. Seconds, when large-scale farmland project is established in Korea, you can expect to gain knowledge from traditional Chinese village spacing. Thirds, It seems to require a study of the public space for festival. in the case of china, ancestral shrine space is center and space for festival. Fourth, It was important to seek knowledge about protection for frequent in flood plains in Korea's traditional village.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well-known for housing with contact water, connected channels and beautiful defense pond. Fifth,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we need to make various focus landscape features. Most of the visitors to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interested in the big and small beautiful landscapes and shelters.

축산시설의 기계 및 설비 산업의 기술 수준 분석 연구 (Study on the Technological Levels for the Industries Manufacturing the Machinery and Equipment for Livestock Production Facilities)

  • 장동일;장홍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25
    • /
    • 1996
  • 본 연구는 국내 축산시설의 기계 및 설비에 대한 기술의 실상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미래의 축산시설 기술 발전 방향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축산시설 산업에 대한 현황과 수준을 조사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전 기종의 시장점유율이 60% 이하이고, 또한 선진국의 설계 기술 수준을 10점으로 했을 때 대부분의 기종이 8점 이하로 평가되어 국내의 설계 기술 수준이 낙후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 개발 부문의 종사 비율은 10.7%로 타 부문에 비하여 현저히 낮게 나타났으며, 연구 설계 인력의 학력은 전문대졸 사원이 44.4%로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연구 개발 및 설계 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3. 설계기술 분야에서 축산시설의 취약 기술 및 개발 분야는 만능수확기와 기계 제작 설계 분야로 나타났는데, 만능수확기의 경우 국내 농지 여건에 맞는 다목적용 만능수확기를 개발해야 하고, 기계 제작 설계의 경우 재료의 강도, 경도 및 내구성을 높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보 설치로 인한 만경강 중류의 하천지형과 서식처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changes of landforms and habitat structures in the mid-stream of the Mangyeong River by weirs)

  • 최미경;김지성;옥기영;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spc2호
    • /
    • pp.791-799
    • /
    • 2019
  • 본 연구는 보가 다수 분포하고 있는 만경강을 대상으로 항공사진(1948, 1967, 1973, 1989, 2010)을 이용하여 서식처 유형을 분류하고, 시간에 따른 서식처 구조 변화를 설명하였다. 서식처 구조는 지형과 하도서식처 중 물이 있는 서식처로 구분되었으며, 지형은 나지, 식생부, 수면부, 경작지, 교란지로 분류하였으며, 하도서식처는 자연여울, 인공여울, 평여울, 머리완도, 꼬리완도, 중앙완도, 못, 첩수로로 구분하여 면적을 산출하여 백분율로 비교하였다. 1970년대 골재채취와 1980년대 보 설치로 인하여 나지는 소멸되고 수면부와 식생부는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평여울은 급격하게 감소한 반면, 흐름이 다소 정체되어 습지와 유사한 중앙완도 서식처의 비율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나지와 식생부 위에 존재하는 머리완도, 꼬리완도, 못과 같은 서식처는 보 설치 이후 사라지거나 일부만 남아있다. 본 연구는 생태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향후 교란에 따른 하천 환경의 잠재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와 농경지의 증발산량 특성 분석 (Analysis evapotranspiration characteristics of mountain and farmland)

  • 이정훈;김기영;이연길;정성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5-235
    • /
    • 2017
  • 수문 순환과 물 수지에 관한 연구는 강수량, 지표유출량, 지하수, 토양수분 및 증발산량 등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질 때 실제로 규명될 수 있다. 하지만, 수문 순환과 물수지 평가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경우 관측값보다 단순한 가정이나 경험식에 의한 추정값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수문 순환과 물수지의 정량적인 분석을 위해서는 수문 순환 과정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증발산량의 측정(실측)과 자료의 축척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토교통부의 기초수문자료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수문자료의 다양화 목적을 가지고 에디공분산 기술을 사용하여 증발산량을 직접 관측하고 있다. 관측지점은 한반도의 약 70%를 차지하는 산림지 중 대표적 식생 기능 형태인 혼효림으로 구성된 지점(설마천 관측소, 2007년 8월부터)과, 인위적인 관개가 이루어지는 농경지(청미천 관측소, 2008년 8월부터)에서의 증발산량 측정을 수행하였다. 관측된 자료를 활용하여 관측소별로 연도별 증발산량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마천 관측소(주변식생 : 혼효림)에서 산정된 연증발산량은 2008년 471.7mm, 2009년 408.4mm, 2010년 489.4mm, 2011년 387.0mm, 2012년 323.3mm, 2013년 293.3mm, 2014년 360.9mm, 2015년 419.6mm, 2016년 566.9mm이고, 발생한 강수량 대비 증발산 비율은 18.9%~56.2%범위로 산정되었다. 청미천 관측소(주변식생 : 농경지)에서 산정된 연증발산량은 2009년 571.8mm, 2010년 650.6mm, 2011년 523.9mm, 2012년 509.8mm, 2013년 467.9mm 2014년 533.9mm, 2015년 600.5mm, 2016년 588.0mm이고, 발생한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의 비율은 25.6%~71.4%범위로 산정되었다. 강수량 대비 증발산량 비율의 최대값은 설마천 관측소는 2014년, 청미천 관측소는 2015년에 발생하였다. 평균 증발산량 비율은 산림지인 설마천 관측소보다 논경지인 청미천 관측소가 평균 13.3%정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 PDF

인공강우 모사를 통한 석회/유기퇴비 혼합물의 경사지 토양유실 억제효과 (Reducing Soil Loss of Sloped Land using Lime-Organic Compost mixtures under Rainfall Simulation)

  • 고일하;노훈;황원재;서형기;지원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3호
    • /
    • pp.43-50
    • /
    • 2018
  • In a previous study, the feasibility of four materials (bentonite, steelmaking slag, lime and organic compost) to induce soil aggregate formation was assessed and the mixtures of organic compost and lime were chosen as most effective amendments in terms of cost benefit. This work is a subsequent study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ose amendments in reducing soil loss in $15^{\circ}$ sloped agricultural area by using rainfall simulation test. Three different soils were treated with two conditions of organic compost/lime mixtures (2% + 2%, 3% + 1%, w/w). In the amended soils, soil fertility w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CEC, T-N, and T-P. During the rainfall simulation, suspended solid in run-off water from amended soil were reduced by 43% ~ 78%. When the content of organic compost was higher than that of lime, reduction of soil loss was also increased by 67% ~ 78%. Sediment discharge was also decreased by 72% ~ 96% in the amended soil. Similar to the suspended solid analysis, higher organic compost content led to more reduction of soil discharging, which implies organic compost is more effective than lime in reducing soil loss. The overall result suggests that the mixtures of organic compost and lime could be used as amendment materials to reduce soil loss in sloped farmland.

영농형 태양광 발전의 진단을 위한 지능형 예측 시스템 (Intelligent Prediction System for Diagnosis of Agricultur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 정설령;박경욱;이성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59-866
    • /
    • 2021
  •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지 상부에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하는 방식으로 농작물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함으로써 농가 소득을 증대시키는 새로운 모델이다. 최근 영농형 태양광 발전을 활용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기존의 태양광 발전과는 달리 비교적 높은 구조물 상부에 설치하게 되므로 유지 보수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능적이고 효율적인 운용 및 진단 기능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설비의 전력 생산량을 수집, 저장하여 지능적인 예측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예측 및 진단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논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량과 환경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발전량을 예측하여 설비의 이상 유무를 판별하며 설비의 노화 정도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색기반시설의 유형과 효과 (Green Infrastructure Types and Effects for Climate Change)

  • 김승현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1-201
    • /
    • 2011
  • 본 연구는 전 지구적 문제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하천, 산림 등의 자연 지역과 공원, 녹지 등의 오픈스페이스 등을 녹색기반시설이라는 개념으로 통합하고, 이를 완화와 적응의 관점에서 녹색기반시설이 기후변화에 어떻게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산림, 공원, 녹지, 텃밭, 옥상농장, 자전거로, 보행로 등의 녹색기반시설은 1) 탄소의 저감과 격리, 2) 화석연료 대체, 3) 원자재 대체, 4) 식량 생산, 5) 차량 이동의 감소 등을 통해서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둘째, 하천, 가로수, 저류지, 습지, 사구, 바람길 등의 녹색기반시설은 1) 폭염완화, 2) 물 공급 조절, 3) 강 범람 조절, 4) 해안 범람 조절, 5) 지표수 조절, 6) 토양 침식 감소, 7) 생물종 적응에 도움 등을 통해서 기후변화 적응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오텍스타일 봉합 인장강도와 지반의 응력증가분 해석 (Seam Tensile Strength of Geotextile Mat and Stress Increment Analysis)

  • 채유미;김재홍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3-79
    • /
    • 2018
  • 서해안과 남해안 그리고, 하천유역에는 연약지반을 개량하여 산업시설 공간과 농경지 확보를 위해 토목섬유매트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광대한 연약한 지반을 개량하기 위한 초기단계로 장비 진입을 위해 토목섬유매트를 포설하고 접합하여 넓은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킨다. 토목섬유매트 봉합강도는 원단 인장강도의 50% 정도만 힘을 발휘하고 있어 장비주행성에 융기와 침하 등 지지력 저하의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여러 가지 토목섬유매트 봉합기술들을 분석하고 각 방법들의 인장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토목섬유매트의 봉합강도를 증가시켰을 때, 상재하중에 의한 지반내의 응력증가분이 감소하는 경향을 수치해석으로 확인하였다. 봉합강도를 60, 70, 80%으로 향상시켰을 때 토목섬유에 의한 지반의 지지력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Rethink the interlink between land degradation and livelihood of rural communities in Chilga district, Northwest Ethiopia

  • Gashu, Kassahun;Muchie, Yitbare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39-149
    • /
    • 2018
  • Background: Ethiopia is among the poorest countries where land degradation caused livelihood problem to its inhabitants. The livelihood of rural communities in Ethiopia is seriously threatened by land degradation. Land is the major natural resource that economic, social, infrastructure, and other human activities are undertaken on. Thus, land resour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rural livelihoods, and lack of sustainable land management practices leads to land degrad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terlink between land degradation and livelihood of rural communities in Chilga district, Northwest Ethiopia. It also addresse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income diversification for livelihood of households in the study area. Result: The result depicts that the major causes of land degradation are both natural and anthropogenic. Land degradation and livelihood are negatively interlinked with each other. The livelihood of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in the study area is dependent on subsistence agriculture both farming and animal husbandry with low diversification.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more than half (69%) of the sample households have farm size of less than 2 ha, nearly one third (31%) have 2.0-2.5 ha, and insignificant number of farmers have more than 2.5 ha. More than 80% of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at land degradation has impacts both on crop yield and livestock production. Most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farmland size, and family size have statistical significant influence (at P < .01 and P < .05 levels) for income diversification of households, while marital status on the other han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it has positive relation with income diversification in this study.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awareness should be created in the community about the livelihood diversification mechanisms which enabled them to engage in different income-generating activities and comprehensive watershed management should be implemented.

The effect of Glomus intraradices on the physiological properties of Panax ginseng and on rhizospheric microbial diversity

  • Tian, Lei;Shi, Shaohua;Ma, Lina;Zhou, Xue;Luo, Shasha;Zhang, Jianfeng;Lu, Baohui;Tian, Chunji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1호
    • /
    • pp.77-85
    • /
    • 2019
  • Background: Glomus intraradices is a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that, as an obligate endomycorrhiza, can form mutually beneficial associations with plants. Panax ginseng is a popula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however, problems associated with ginseng planting, such as pesticide residues, reduce the ginseng quality. Methods: In this experiment, we studied the effect of inoculating G. intraradices on several physiolog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communities of ginseng. UV-Visible Spectrum method was used to detect physical properties.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microbial communitie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oculation with G. intraradices can improve the colonization rate of lateral ginseng roots, increase the levels of monomeric and total ginsenosides, and improve root activity as well as polyphenol 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We also studied the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in ginseng rhizospheric soil. In our study, G. intraradices inoculation improved the abundance and Shannon diversity of bacteria, whereas fungi showed a reciprocal effect. Furthermore, we found that G. intraradices inoculation might increase some beneficial bacterial species and decreased pathogenic fungi in rhizospheric soil of ginseng.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G. intraradices can benefit ginseng planting which may have some instructive and practical significance for planting ginseng in farm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