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O-56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3초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Relationships and Structure among Korean Native Cattle Breed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 Suh, Sangwon;Kim, Young-Sin;Cho, Chang-Yeon;Byun, Mi-Jeong;Choi, Seong-Bok;Ko, Yeoung-Gyu;Lee, Chang Woo;Jung, Kyoung-Sub;Bae, Kyoung Hun;Kim, Jae-Hw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1호
    • /
    • pp.1548-1553
    • /
    • 2014
  • Four Korean native cattle (KNC) breeds-Hanwoo, Chikso, Heugu, and Jeju black-are entered in the Domestic Animal Diversity Information System of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genetic diversity,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se KNC breeds (n = 120) and exotic breeds (Holstein and Charolais, n = 56). Thirty microsatellite loci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Animal Genetics/FAO were genotyped. These genotyp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allele frequencies, allelic richness, heterozygosity and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 per locus and breed. Genetic diversity was lower in Heugu and Jeju black breeds. Phylogenetic analysis, Factorial Correspondence Analysis and genetic clustering grouped each breed in its own cluster, which supported the genetic uniqueness of the KNC breeds. These results will be useful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KNC breeds as animal genetic resources.

대두(大豆)를 이용(利用)한 고단백식품(高蛋白食品)의 개발(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第) 1 보(報) 한국산(韓國産) 주요(主要) 대두(大豆)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 (Stidies on the Development of Protein - Rich Foods Based on Soybean Flour - I. Studies on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d Nutritive Value of Proteins in Korean Soybeans -)

  • 신형태;김영옥;김찬호;홍은희;차영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5권4호
    • /
    • pp.242-248
    • /
    • 1982
  • Samples of six varieties of soybeans (Bongeui, Danyup-kong, Dongpuktae, Hwangkeum-kong, Jangyup-kong, Kanglim) were analys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amino acid content by A.O. A. C. method (1980) and amino acid analyser in order to determine their nutritive value. 1)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was affected by the varieties. The protein contents of 6 varieties of soybeans grown at Suwon were 48.84% in Kanglim, 45.57% in Bongeui, 43.73% in Dongputtae, 41.56% in Jangyup-kong, 40.86% in Hwangkeum-kong, and 40.05% in Danyup-kong. 2) Compared to FAO (1970) chemical score of soybean (A/E ratio and A/T ratio), three varieties of Korean soybeans (Bongeui, Danyup-kong, Hwangkeum-kong) showed higher levels of nutritive value in protein and three varieties of soybeans (Dongpuktae, Jangyup-kong, Kanglim) showed lower levels of nutritive value in protein. From protein content and chemical score, Bongeui showed the greatest potential for the best high protein source among Korean soybean varieties. 3) The determination of first limiting amino acid in six varieties of Korean soybeans by whole egg protein was methionine, but valine was the first limiting amino acid in Danyup-kong and methionine- cystine was other five varieties of Korean soybeans by FAO provisional amino acid pattern.

  • PDF

식이를 통한 식품첨가물의 섭취량 (Intake of Food Additives in Foods by Total Diet)

  • 김희연;이영자;홍기형;하상철;안명수;조재선;김길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67-774
    • /
    • 1998
  • 액체크로마토그라프(HPLC)에 의한 분석으로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제품중 버터, 치즈 및 간장 등 총 16종 456품목을 대상으로 데히드로초산, 안식향산 및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를 분석한 결과 데히드로초산의 경우 버터 및 치즈의 2종 47품목은 모두 불검출되었으며,마아가린은 $ND{\sim}290.0{\;}mg/kg$으로 평균 208.4 mg/kg이 검출되었다. 안식향산의 경우 과실·채소류음료, 탄산음료류, 혼합음료 및 마아가린의 4종 159품목은 모두 불검출되었으며, 인삼음료는 $ND{\sim}344.9{\;}mg/kg$으로 평균 341.6 mg/kg, 홍삼음료는 $ND{\sim}400.0{\;}mg/kg$으로 평균 399.3 mg/kg, 간장은 $ND{\sim}364.2{\;}mg/kg$으로 평균 277.4 mg/kg, 알로에 겔은 $ND{\sim}219.1{\;}mg/kg$으로 평균 142.2 mg/kg이 검출되었다.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의 경우 파라옥시안식향산으로서 혼합음료, 인삼음료, 홍삼음료, 소스류, 과실·채소(표피부분), 과실·채소류음료(비가열과실·채소류즙제외) 및 식초의 7종 261품목은 모두 불검출되었으며 간장은 $ND{\sim}93.9{\;}mg/kg$으로 평균 54.6 mg/kg, 과실주, 약주 및 탁주는 $ND{\sim}23.0{\;}mg/kg$으로 평균 20.7 mg/kg이 검출되었다. 데히드로초산의 경우 일일추정섭취량(EDI) 1.56 mg으로 이론적 최대 일일섭취량(TMDI) 3.90 ㎎과 비교시 약 40%정도의 수준이며, 안식향산의 경우 EDI 2.25 mg으로 TMDI 15.36 mg, FAO/WHO에서 평가된 안식향산의 ADI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또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의 경우 EDI 0.44 mg으로 TMDI 2.06 mg, FAO/WHO에서 평가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의 ADI와 비교하였을 때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국민영양조사 결과보고서의 식품별 1인 1일당 섭취량(지역별)을 근거로 하여 조사대상 보존료인 데히드로초산, 안식향산 및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류에 대한 한국인 일일추정섭취량은 FAO/WHO에서 평가된 일일섭취허용량(ADI) 1% 미만으로서 식이를 통한 조사대상 보존료의 섭취는 안전하다고 평가되었다.

  • PDF

Residues of Endosulfan and its Metabolites in a Rice Field of Madurai, India

  • Jebakumar, S.R.D.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05-309
    • /
    • 2001
  • Thirty-day-old rice seedlings, IR-20 variety were transplanted into the experimental plots and were sprayed with endosulfan (35% EC) after 52 days at the rate of 0.64 kg a.i/ha. Residues of endosulfan in the plant, soil, and water were found to decrease steadily upto 15 days. A second application of the pesticide was made on the 31st day and the plant was harvested on 56th day after the first application. The residue level on hay and grains was 0.7 ${\mu}g/g$. This level is seven times higher than FAO/WHO-prescribed tolerance level of 0.1 ${\mu}g/g$. Metabolites of endosulfan were traced out in plants, soil, and water during the pre- and post-harvest period.

  • PDF

소나무 원목의 열처리 소요 에너지 평가 (Evalua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t Treatment of Pine Log)

  • 엄창득;박준호;한연중;신상철;정영진;정찬식;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41-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원목의 열처리 시 소요에너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에 대한 적절한 열처리는 소나무 재선충의 감염 확산을 막고, 감염목의 용재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높인다. 본 연구에서는 병해충 감염목의 FAO 열처리 기준(International standards for phytosanitary measures (ISPM) No.15)에서 제시한 병해충 사멸 조건인 '목재 중심부 온도를 $56^{\circ}C$에서 30분 유지'를 위하여 소요되는 에너지를 평가하였다. 열처리에 소요되는 총 소요에너지는 초기 열처리 설정조건 도달에 필요한 처리기 벽체 가열, 처리기 내 공기 가열, 목재가열, 습도유지, 벽체 열손실로 구성되는 초기소요에너지와 열처리 설정조건 도달 이후의 열손실 보완 소요에너지, 즉 목재가열, 습도유지 및 처리기 벽체 열손실을 보완하기 위한 열손실 보완 에너지로 구분하였다. 단위시간당 초기소요에너지는 열처리 설정조건 도달 이후의 단위시간당 열손실 보완 에너지량보다 크며, 설정조건도달 이후의 단위시간 당 소요에너지는 거의 일정한 값을 가졌다. 시험결과 실험조건에 있어서 건조 온도와 더불어 상대습도가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목재조건으로는 함수율 차이에 의해 변하는 밀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 고온과 높은 상대습도 및 낮은 함수율, 즉 낮은 밀도가 열처리 속도를 증가시켰다. 이 연구를 통하여 소나무재의 열처리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pineb의 안전사용(安全使用) 기준(基準) 설정(設定)을 위한 잔류분석(殘留分析) (Residue Analysis to Establish an Index for the Safety Use of Propineb)

  • 최원석;양재의;한대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9-214
    • /
    • 1992
  • 이 실험은 참깨에 대한 Propineb의 안전(安全) 사용기준(使用基準)을 설정하기 위하여 보호(保護) 살균제(殺菌劑)인 Propineb(56%)와 직접(直接) 살균제(殺菌劑)인 Oxadixyl(8%)의 혼합제(混合劑)를 경엽 살포하였을때, 그 시용량(施用量)과 시용시간(施用時間)에 따라 참깨시료중에 잔류(殘留)하는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을 측정하였다. 공시농약의 처리는 수확전 3, 7, 15, 30, 45, 60일에 하였으며 Propineb는 각 처리구당 $0.028g/m^2$의 수준으로 시용(施用)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깨 중 Propineb의 회수율(回收率)은 84-96%이었으며, 최소(最少) 검출(檢出) 한계(限界)는 0.03mg/kg이었다. 2. 처리횟수 및 처리기간에 따른 참깨 시료중의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0.14{\sim}1.38mg/kg$ 범위였다. 3. Propineb의 잔류량(殘留量)은 처리 횟수가 많을수록, 또 처리 일수가 수확일에 가까울수록 많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4. 참깨시료중에 Propineb의 잔류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했으며 이는 First-Order Kinetics에 따랐다. 5. 참깨시료중 Propineb의 잔류량은 6회 사용, 수확 3일전에 처리하였을 경우에 1.38mg/kg이었으며, 이는 FAO/WHO에서 설정한 최대(最大) 잔류허용량(殘留許容量)인 2mg/kg보다 낮았다. 6. 본 실험에서 측정한 Propineb의 반감기(半減期)는 $12{\sim}16$일이었다.

  • PDF

우리나라 어패류중 미량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Trace Metal Contents in Fishes and Shellfishes and Their Safety Evaluatins)

  • 소유섭;김정수;정소영;김미혜;홍무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49-554
    • /
    • 2000
  • 국내에서 생산된 232종 1478건 어패류에 대해 수은 함량은 Mercury Analyzer로, 납, 카드뮴, 비소, 구리, 망간, 아연 등은 습식분해 후 ICP 및 AA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어류중 미량금속 함량[최소~ 최대(평균), mg/kg]은 수은 0.004~0.500(0.082), 납 불검출~1.87 (0.29), 카드뮴 불검출~ 0.094 (0.020), 비소 0.01~5045 (0.84), 구리 0.04~3.74 (0.66), 망간 불검출~7.56 (0.57), 아연 0.92~18.33(6.03) mg/kg으로 나타났다. 또한 패류중 미량 금속 함량 (mg/kg)은 수은 불검 출~0.221 (0.029), 납 0.01~1.51 (0.38), 카드뮴 0.02~1.93 (0.51), 비소 0.18~3.07(1.08), 구리 0.04~47.76(3.81), 망간 0.13~11.46(3.25), 아연0.44~207.17(25.24) mg/kg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분석치들은 국내외 다른 연구자들의 분석치와 비슷한 거승로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 나라 어패류중 미량금속 함량은 자연함유량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어패류를 통해 섭취하는 납, 수은, 카드뮴 등의 미량금속 주간섭취량은 FAO/WHO에서 미 량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한 정한 PTWI의 1~13%를 차지하고 있다.

  • PDF

에디공분산 방법 기반의 플럭스 타워 순 복사에너지 검증: 설마천, 청미천 유역 (Validation of Net Radiation Measured from Fluxtower Based on Eddy Covariance Method: Case Study in Seolmacheon and Cheongmicheon Watersheds)

  • 변규현;신지예;이연길;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2호
    • /
    • pp.111-122
    • /
    • 2013
  •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해 물과 에너지 순환에 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현재 미기상학적 플럭스 타워 네트워크는 수문학적, 생태학적 분석에 있어서 주춧돌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플럭스 타워의 에디공분산 방법을 활용한 잠열 플럭스 측정은 여러 가정사항에 따른 시스템적 오류를 내포하고 있고 이에 따라 과소평가된 잠열 플럭스 원시자료의 보정이 필요하다. 몇몇의 보정방법 중 보엔비를 활용한 방법이 가장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서 여기에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한 순 복사에너지 및 기타 플럭스(현열, 지열) 등이 요구되며 이러한 자료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검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설마천, 청미천 유역의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검증하기 위해 두 가지 형태의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의 비교검증을 실시하였다-(1) FAO 56 기반의 일평균 순 복사에너지 (2) Bastiaansen (1995)가 제안한 순간 순 복사에너지. 본 연구의 결과는 플럭스타워에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는 이론적으로 계산된 순 복사에너지와 상당히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을 제시했다. 또한, 측정된 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여 관측된 잠열플럭스를 보엔비 보정방법에 적용시킨 결과 에너지수지에 더욱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평지(平地)씨 단백질(蛋白質)의 영양가(營養價)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Rapeseed Protein Isolates)

  • 양창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9-114
    • /
    • 1980
  • 역류 추출 및 등전 침전에 의한 평지씨 단백질의 분리(한국 식품 과학 회지, 10(2), 162 (1978)에 이어 그들의 영양가(단백질 효율, 정미 단백질 이용율, 질소 소화율, 성장률, 아미노산 조성 및 기관 중량)를 실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각 등전점(pI, 6.7, 5.6, 5.0)에서 분리한 3가지 단백질의 PER는 각각 2.8, 3.1 및 2.9였고 평지씨 박(탈지박)의 PER는 2.5로 낮았으며 한편 3가지 단백질의 NPU(전미 단백질 효율)은 각각 68.73 및 71%였고 탈지 평지씨 박은 56%로 제일 낮았다. 분리된 3가지 단백질의 평균 질소화율은 85%, 사료 섭취량은 87 g 그리고 체중 증가량은 37.6 g 였으며 이에 반하여 탈지 평지씨박의 그것들은 각각 71%, 77 g 및 28 g 등으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PER의 값에 관한 분리된 3가지 단백질 간에는 큰 차가 없었고 이들의 NPU 값과 카제인의 NPU 값은 서로 비견할 수 있었으며 특히 등전점 5.6에서 분리한 단백질은 가제인의 PER값이나 NPU 값에 비해 약간 높은 값을 보였으며 아미노산 조성에서도 필수 아미노산이 고루 함유된 우수한 단백질로 나타났다. 또한 갑상선 및 간장의 무게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장저해 인자가 전연 없었다. 분리된 3가지 단백질 중의 아미노산은 FAO/WHO의 성인 요구량에 비해 평형을 나타냈거나 상회하였다.

  • PDF

다목적 용수를 고려한 제주도 농업용 지하수 이용량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Usage Model Considering Multipurpose Water in Jeju Island)

  • 안중기;송성호;이동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5-524
    • /
    • 2015
  •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usage in Jeju island is important to understand hydrologic cycle system and to plan management of water resource because large amounts of groundwater have been used for agricultural and domestic purpose. The model has been developed to estimate agricultural groundwater usage for garlic at uplands and citrus at orchards raising outdoors using the soil water balance model from FAO 56, respectively. The total amount of water supplied for the crop evapotranspiration and the multipurpose function such as sprout promotion can be simulated by the model. However, due to the discrepancy of water use in initial stage between calculated and observed,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actual groundwater usage monitoring data for 3.5 years (2011.6 to 2014.12) at three uplands for garlic and three orchards for citrus. Consequently, it would be concluded that the model simulated efficiently actual water usage in that root mean square (RMS) and normalized RMS of the validation stage were less than 8.99 mm and 2.43%, respectively, in two different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