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0

검색결과 14,507건 처리시간 0.048초

감귤과피로부터 발암 promotion 억제활성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the Anti-tumor Promoters from Citrus Peels)

  • 윤창훈;좌승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25-29
    • /
    • 2006
  • 하귤(Citrus natsudaidai Hayata)의 과피를 cold-press하여 얻어진 정유성분을 column chromatography, HPLC 및 TLC로 분리 정제하여 각 분획에 대하여 EBV활성화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유성분의 분리를 시도하여 7개 의 peak$(F-I{\sim}VII)$를 얻을 수 있었다. 이것들을 TLC로 분석한 결과, 각각 단일 반점만을 나타냈으며 $R_f$값은 0.31, 0.13, 0.13 0.78, 0.79, 0.69, 0.84이었다. 7개의 peak중에서 F-I, II 및 F-IV 등 3개의 peak에 대하여 HPLC분석을 한 결과 F-I 및 F-II는 단일 peak이며 retention time은 F-I이 3분, F-II는 2.5분이었다. 그러나 F-IV는 2개의 peak가 나타났으며 retention time은 각각 2분과 4.5분이었다. 4.5분에 나타난 peak는 극히 적은 면적으로 보아 극소량의 물질이어서 앞서의 TLC분석에서 나타나지 많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F-I{\sim}F-VII$에 대한 EBV활성화에 대한 억제효과 측정은 Raji cells을 이용하여 간접형광 항체법으로 실시했다. 억제율은 F-VI가 $82.3{\pm}1.3%$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F-I$(80.4{\pm}1.6%)$ > F-II$(77.2{\pm}0.9%)$ > F-III$(75.0{\pm}1.2%)$ > F-IV$(74.1{\pm}1.0.%)$ > F-V$(71.0{\pm}1.1%)$ > F-VII$(70.2{\pm}1.2%)$의 순으로 모두 7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하귤과피에는 발암 promotion 억제활성성분이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 것이다.

$NBU-t_0$ Class에 대한 검정법 연구 (A Study on Test for New Better than Used of an unknown specified age)

  • 김환중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45
    • /
    • 2001
  • A survival variable is a non-negative random variable X with distribution function F(t) satisfying F(0) : 0 and a survival function F(t): 1-F(t). This variable is said to be New Better than Used of specified age t$_{0}$ if F(x+ t$_{0}$)$\leq$F(x).F(t$_{0}$) for all x$\geq$0 and a fixed t$_{0}$. We propose the test for H$_{0}$ : F(x+t$_{0}$)=F(x).F(t$_{0}$) for all x$\geq$0 against H$_1$: F(x+t$_{0}$) $\leq$ F(x).F(t$_{0}$) for all x$\geq$0 when the specified age to is unknown but can be estimated from the data when t$_{0}$$_{p}$, the pth percentile of F. This test statistic, which is based on the normalized spacings between the ordered observations, is readily applied in the case of small sample. Also, our test is more simple than Ahmad's test (1998). Finally, the performance of our test is presented.our test is presented.

  • PDF

소프라노의 성악 발성에 대한 음향학적 특징 연구 (A Study on Acoustical Properties of Soprano′s Singing)

  • 임동철;문소연;이행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0-6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소프라노가 성악 발성으로 한국어 단모음을 발음할 때, 그 단모음들의 포르만트가 F0(Fundamental frequency)에 따라 어떻게 바뀌어지는지 연구되었다. 일반적으로 다른 파트의 경우와는 달리, 소프라노가 노래를 할 때에는 포르만트가 그 F0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성악발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소프라노가 발성할 수 있는 전 음역 대의 F0에서 각 모음에 대한 포르만트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악 발성의 특징들을 패턴화하여 성악발성 평가 시스템이나 성악발성 합성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5명의 전문 소프라노를 대상으로 '아, 에, 이, 오, 우' 5모음의 성악발성을 A3(220.0Hz)에서부터 A5(880.0Hz)까지의 피치에서 포르만트 분석을 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대화 시 이 5가지 모음의 포르만트를 분석하여 성악발성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아, 에, 이'의 F2/F1의 그래프가, B4(493.8Hz)이상의 F0에서는 거의 직선으로 나타났다. B4는 Changing Voice가 시작되는 곳으로, 성악가의 음색 변화가 포르만트 형태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A5에서는 '아, 에, 이, 오, 우'의 F1, F2의 수치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최고음부에서 불려지는 모음들은 서로 구별되기가 어렵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성악발성 평가 시스템이나 성악발성 합성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아, 오, 우'의 경우에는 B4에서 A5의 F1, F2를 F0대한 기울기로 규정화할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규정화를 통하여 성악발성과 관련된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노력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Praat과 R로 분석한 한국인 대화 음성 말뭉치의 fundamental frequency(f0)값 분포 (The fundamental frequency (f0) distribution of Korean speakers in a dialogue corpus using Praat and R)

  • 양병곤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5권3호
    • /
    • pp.17-25
    • /
    • 2023
  • 이 논문은 국립국어원에서 배포한 한국인 대화 음성 말뭉치에서 화자의 성대의 진동을 나타내는 fundamental frequency(f0)값을 측정해서 한국인이 일상 대화를 할 때 f0값의 기초적인 통계자료를 살펴보고, 나이와 f0값의 분포는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를 조사했다. 연구자료 수집과 분석은 Praat과 R을 이용했고, 개인별 억양구마다 상자도를 구하고 사분위값을 활용하여 극단값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최종 f0값 자료를 구했다. 그 결과 전체 한국인들의 f0값의 평균값은 185 Hz이고 중앙값은 187 Hz로 나왔다. 자료의 분포모양을 나타내는 왜도는 0.11의 정적분포를 보였고, 첨도는 -0.09로 정상분포에 거의 가까운 모양을 보였다. 일상대화의 피치값의 변화범위로는 238 Hz로 나타났다. 남녀 간의 f0값의 차이는 남성의 중앙값 114 Hz의 거의 두 배에 해당하는 199 Hz가 여성의 중앙값으로 나타났고 t검증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분포모양을 나타내는 왜도는 남성이 1.24이었고, 여성은 그것의 반에 해당하는 0.58이었다. 첨도는 남녀집단 각각 5.21과 3.88로 나타나 남성의 값이 34% 정도 더 뾰족한 모양을 보였다. 연령대별로는 남녀집단을 합하여 볼 때, 나이가 들수록 f0값이 서서히 내려가는 경향을 보였다. 연령대별 f0중앙값과 나이 간의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기울기가 남성집단에서는 0.15, 여성집단에서는 -0.586으로 서로 반대되는 경향을 기록했다. 결론적으로, 대규모 참여자가 녹음한 대화 음성에서 한국인의 집단별 연령별 다양한 f0분포를 규명할 수 있지만, 나이와 f0관계는 더 정밀한 자료수집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제거 사업장 및 주변에서의 공기 중 석면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at Demolition Sites and Surrounding Areas 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s in Seoul)

  • 이진효;이수현;김정연;김지희;정숙녀;김진아;김익수;어수미;정권;이진숙;구자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34-4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석면해체 제거작업에 따른 작업자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을 대상으로 공기 중 석면농도를 조사하고, 측정결과가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 석면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한지를 살펴보았다. 서울시내 총 37개소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에서 총 288개의 공기 중 시료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288개 시료 중 101개 시료에서(35%) 검출한계($7fiber/mm^2$) 이하로 나타났다. 이 때 전체 공기 중 석면농도 평균값은 $0.003{\pm}0.002f/cc$로(최대 0.013 f/cc) 대부분의 공기 중 석면농도는 "석면안전관리법"에서 명시된 사업장 주변의 석면배출허용기준 0.01 f/cc 이하로 나타나 서울시내 건축물 석면해체 제거 사업장에서의 석면 노출가능성은 우려할 수준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채취지점별로 살펴보면, 부지경계선(148개), 위생설비입구(25개), 작업장주변(실내)(7개), 작업장주변(실외)(11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53개(36%), 5개(20%), 1개(14%), 4개(36%)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평균농도는 각각 $0.002{\pm}0.002f/cc$(최대 0.008 f/cc), $0.004{\pm}0.002f/cc$(최대 0.009 f/cc), $0.004{\pm}0.002f/cc$(최대 0.007 f/cc), $0.004{\pm}0.002f/cc$로(최대 0.008 f/cc) 나타났다. 또한 음압기(13개), 폐기물보관지점(27개), 폐기물반출구(9개), 거주자주거지역(48개)에 대한 공기 중 석면농도 결과, 각각 3개(23%), 8개(30%), 2개(22%), 25개(52%) 시료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으며 평균농도는 각각 $0.004{\pm}0.002f/cc$(최대 0.009 f/cc), $0.005{\pm}0.004f/cc$(최대 0.013 f/cc), $0.005{\pm}0.003f/cc$(최대 0.009 f/cc), $0.003{\pm}0.002f/cc$0로(최대 0.009 f/cc) 나타났다.

소에서 Fentanyl-azaperone-xylazine의 진정효과 (Sedative Effect of Fentanyl-azaperone-xylazine in Cattle)

  • 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60
    • /
    • 199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clinical signs, sedative and physiologic effects of a combination of fentanyl, azaperone and xylazine (F-A-X). The experime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xylazine 0.1mg/kg (X 0.1), F-A-X 0.05 MG/KG (F-A-X 0.05), F-A-X 0.1 MG/KG (F-A-X 0.1) and F-A-X 0.2mg/kg (F-A-X 0.2). Heart rates were decreased in all groups. Respiratory rates were decreased in other groups, but increased in F-A-X 0.2. Body temperatures were in normal ranges. After administration of F-A-X, most of cattle were recumbency and did not respond to needle prick. Duration of sedation was prolonged with increasing dosages. F-A-X did not induce sufficient analgesia for dehorning. Side effects were salivation and urination in all, but they were much less in F-A-X groups than those in X 0.1. Intermittent apnea and bloat were observed in F-A-X 0.2. Serum chemistry values were in normal ranges exvept for hyperglycemia invreased thorough experimental time. Based on above results, it may be concluded that F-A-X is effective preanesthetic with low dosage of 0.05~0.1 mg/kg being useful for immobilization or manipulation without tissue incision in cattle.

  • PDF

한국인집단의 Transferrin C Subtypes와 Haptoglogin Phenotypes의 분포와 유전자 빈도 (Gene Frequencies and Phenotypes of Transferrin C Subtypes and Haptoglobin in Korean Population)

  • 이정주;오문유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11-217
    • /
    • 1983
  • 한국인집단에서 Transferrin C subtypes와 Haptoglobin polymorphism의 분포 및 유전자 빈도에 관한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집단에서 관찰된 Transferrin C subtypes은 주로 $T_{f}C_{1}, T_{f}C_{2}$ 및 $T_{f}C_{1}-C_{2}$형이었는데 $T_{f}C_{1}$과 $T_{f}C_{1}-C_{2}$이 51%와 42%로 나타났으며, 유전자 빈도는 $T_{f}C^{1}, T_{f}C^{2} 및 T_{f}D^{Jeju}$가 각각 0.7220, 0.2743 및 0.0037이었다. Haptoglobin의 유전자 빈도는 서울집단에서 460명, 제주집단에서 502명을 대상으로 추정한 결과 서울집단에서 $Hp^1 = 0.304, Hp^2 = 0.696$이었고, 제주집단에서는 0.269와 0.731이었으며 두 집단사이에 빈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 PDF

DECOMPOSITION FORMULAS AND INTEGRAL REPRESENTATIONS FOR THE KAMPÉ DE FÉRIET FUNCTION F0:3;32:0;0 [x, y]

  • Choi, Junesang;Turaev, Mamasali
    • 충청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79-689
    • /
    • 2010
  • By developing and using certain operators like those initiated by Burchnall-Chaundy, the authors aim at investigating several decomposition formulas associated with the $Kamp{\acute{e}}$ de $F{\acute{e}}riet$ function $F_{2:0;0}^{0:3;3}$ [x, y]. For this purpose, many operator identities involving inverse pairs of symbolic operators are constructed. By employing their decomposition formulas, they also present a new group of integral representations of Eulerian type for the $Kamp{\acute{e}}$ de $F{\acute{e}}riet$ function $F_{2:0;0}^{0:3;3}$ [x, y], some of which include several hypergeometric functions such as $_2F_1$, $_3F_2$, an Appell function $F_3$, and the $Kamp{\acute{e}}$ de $F{\acute{e}}riet$ functions $F_{2:0;0}^{0:3;3}$ and $F_{1:0;1}^{0:2;3}$.

시간적 분해에 기반한 F0 궤적 모델에 관한 연구 (F0 Contour Model based on Temporal Decomposition)

  • 변효진;김연준;오영환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8호
    • /
    • pp.75-8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음성합성의 억양 제어를 위한 새로운 F0 궤적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발성된 문장의 F0 궤적을 중첩가산되는 사건들로 분해하고, 각 사건들을 가우시안 종모양의 사건함수로 모델링한다. 그리고 제안한 모델을 위한 파라미터 추정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제안한 모델은 특정한 음운론적 지식에 기반하지 않았으며, F0 궤적의 분석단계와 합성단계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 제안한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해 다양한 장르에서 추출한 여러 형태의 500문장의 코퍼스를 구축하고, 이를 전문 아나운서에게 발성하게 하여 구축한 음성코퍼스로 실험한 결과, 원음성의 F0 궤적과 제안한 모델에 의해 합성된 F0 궤적의 평균 제곱 오류근이 7.87Hz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