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 plate and H plate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2초

적응적체눈세분화를 위한 변절점 평면 쉘 요소 (Variable-node-flat shell element for adaptive mesh refinement)

  • 최창근;이완훈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4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
    • /
    • 1994
  • A variable-node-flat shell element designated as CLS which has variable mid-side nodes with drilling freedom has been presented in this paper. The shell element to be applied in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developed by combining a membrane element named as CLM with drilling rotation d.o.f. and plate bending element. The combined shell element possess six degrees of freedom per node. By introducing the variable-node elements which have physical midside nodes, som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imposing displacement constraints on irregular nodes to enforce interelement compatibility in common adaptive h-refinement on quadrilateral mesh are easily overcome. Detailed numerical studies show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new shell elements developed in this study.

  • PDF

High-throughput SNP Genotyping by Melting Curve Analysis for Resistance to Southern Root-knot Nematode and Frogeye Leaf Spot in Soybean

  • Ha, Bo-Keun;Boerma, H. Roger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91-100
    • /
    • 2008
  • Melting curve analysis of fluorescently labeled DNA fragments is used extensively for genotypi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 Here, we evaluated a SNP genotyping method by melting curve analysis with the two probe chemistries in a 384-well plate format on a Roche LightCycler 480. The HybProbe chemistry is based on the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FRET) and the SimpleProbe chemistry uses a terminal self-quenching fluorophore. We evaluated FRET HybProbes and SimpleProbes for two SNP sites closely linked to two quantitative trait loci(QTL) for southern root-knot nematode resistance. These probes were used to genotype the two parents and 94 $F_2$ plants from the cross of PI 96354$\times$Bossier. The SNP genotypes of all samples determined by the LightCycler software agreed with previously determined SSR genotypes and the SNP genotypes determined on a Luminex 100 flow cytometry instrument. Multiplexed HybProbes for the two SNPs showed a 98.4% success rate and 100% concordance between repeats two of the same 96 DNA samples. Also, we developed a HybProbe assay for the Rcs3 gene conditioning broad resistance to the frogeye leaf spot(FLS) disease. The LightCycler 480 provides rapid PCR on 384-well plate and allows simultaneous amplification and analysis in approximately 2 hours without any additional steps after amplification. This allowed for a reduction of the potential contamination of PCR products, simplicity, and enablement of a streamlined workflow. The melting curve analysis on the LightCycler 480 provided high-throughput and rapid SNP genotyping and appears highly effective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in soybean.

  • PDF

고감도 SQUID 냉각을 위한 저잡음 듀아의 설계 및 특성 조사 (Design and Characterization of Low-noise Dewar for High-sensitivity SQUID Operation)

  • 유권규;이용호;김기웅;권혁찬;김진목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11권2호
    • /
    • pp.152-157
    • /
    • 2010
  • We have fabricated the low noise liquid helium(LHe) dewar with a different shape of thermal shield to apply the 64-channel SQUID(Super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gradiometer. The first shape of thermal shield was made of an aluminum plate with a wide width of 100 mm slit and the other shape was modified with a narrow width of 20 mm slit. The two types of dewars were estimated by comparing the thermal noise and the signal-to-noise ratio(SNR) of magnetocardiography(MCG) using the $1^{st}$ order SQUID gradiometer system cooled each dewar. The white noise was different as a point of the dewar. The noise was increased as close as the edge of dewar, and also increased at the thermal shield with the more wide width slit. The white noise of the dewar with thermal shield of 100 mm slit was 6.5 fT/$Hz^{1/2}$ at the center of dewar and 25 fT/$Hz^{1/2}$ at the edge, and the white noise of the other one was 3.5 - 7 fT/$Hz^{1/2}$. We measured the MCG using 64-channel SQUID gradiometer cooled at each LHe dewar and compared the SNR of MCG signal. The SNR was improved of 10 times at the LHe dewar with a modified thermal shield.

A novel retentive type of dental implant prosthesis: marginal fitness of the cementless double crown type implant prosthesis evaluated by bacterial penetration and viability

  • Hong, Seoung-Jin;Kwon, Kung-Rock;Jang, Eun-Young;Moon, Ji-Hoi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4호
    • /
    • pp.233-23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marginal fitness of two types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i.e., cementless fixation (CL.F) system and cement-retained type. MATERIALS AND METHODS. In each group, ten specimens were assessed. Each specimen comprised implant lab analog, titanium abutment fabricated with a 2-degree tapered axial wall, and zirconia crown. The crown of the CL.F system was retained by frictional force between abutment and relined composite resin. In the cement-retained type, zinc oxide eugenol cement was used to set crown and abutment. All specimens were sterilized with ethylene oxide, immersed in Prevotella intermedia culture in a 50 mL tube, and incubated with rotation. After 48 h, the specimens were washed thoroughly before separating the crown and abutment. The bacteria that penetrated into the crown-abutment interface were collected by washing with 500 µL of sterile saline. The bacterial cell number was quantified using the agar plate count technique. The BacTiter-Glo Microbial Cell Viability Assay Kit was used to measure bacterial adenosine triphosphate (ATP)-bioluminescence, which reflects the bacterial viability. The t-test was performed,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5%. RESULTS. The number of penetrating bacterial cells assessed by colony-forming units was approximately 33% lower in the CL.F system than in the cement-retained type (P<.05). ATP-bioluminescence was approximately 41% lower in the CL.F system than in the cement-retained type (P<.05). CONCLUSION. The CL.F system is more resistant to bacterial penetration into the abutment-crown interface than the cement-retained type, thereby indicating a precise marginal fit.

청국장으로부터 혈전용해 활성이 우수한 균주 분리 및 혈전용해효소정제 (Isolation of Bacteria with Protease Activity from Cheonggukjang and Purification of Fibrinolytic Enzyme)

  • 최연희;이준승;배소영;양근재;염규원;조동혁;강옥화;백형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59-266
    • /
    • 2013
  • 혈전용해효소를 생산하는 균주 분리를 위해서 우선 한국, 일본 등지에서 모은 21개의 청국장 시료를 준비하였고 총 268개의 균주를 분리하였다. 이 중에서 1% skim milk가 포함된 nutrient agar 배지에서 protease를 생산하는 bacteria를 분리하였고, 이 결과로 22개의 균주가 분리되었다. 균주들은 apiweb을 통해 생화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동정하였다. 또한 세균동정을 위해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리된 대부분의 균주는 Bacillus subtilis와 Bacillus amyloliquefaciens였다. 혈전용해효소의 활성은 fibrin plate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고 A2-14, A2-20, C1-05, C1-09, F2-01로 명명된 다섯 균주가 선택되었다. 이중에서 A2-20 균주는 강한 혈전용해 활성을 보였고 동정결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에 가까웠다. A2-20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혈전용해효소는 균 상등액을 이용한 gel filtration과 ion exchange chromatography를 거쳐 부분정제 되었다. 부분 정제된 효소의 최적 pH는 7.0이었고, 최적 온도는 $35^{\circ}C$였다. 정제된 단백질의 분석은 SDS-PAGE와 zymography로 이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혈전용해효소의 유전자적 분석도 수행되었으며 A2-20 균주가 생산하는 혈전용해효소의 부분적인 염기서열과 유전적 상동성을 보이는 서열을 규명하였다.

고들빼기 생리활성물질의 검색 (Exploitation of the b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in Youngia sonchifolia Max)

  • 신수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134-137
    • /
    • 1993
  • 우리나라 전지역의 산과 들에 야생하고 있는 고들빼기(Youngia sonchifolia Max.)는 전통식품인 고들빼기 김치의 원료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오래전부터 민간에서 위장장애 치료재로 이용되어 왔다. 그래서 고들빼기의 생화학적 활성 및 항암 실험과 그 특수성분을 분석하였는데 hexane 추출물 중에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재결정으로 얻어낸 화합물은 무색판상 결정으로 융점이 $280{\sim}282^{\circ}C$ 이었으며 구조결정을 위해 $^{13}C-NMR$, $^1H-NMR$, MS로 분석한 결과 pentacyclic triterpene인 bauerenyl acetate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램프 가열 방식 LPCVD 장비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amp-Heated LPCVD System)

  • 하용민;김태성;김충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299-303
    • /
    • 1991
  • A lamp heated LPCVD equipment has been made. Wafer is heated by an array of fifteen tungsten halogen lamps above the front side of a wafer and pyrometer views the back side of the wafer through $CaF_2$ window. Reactor which consisits of a quartz window and a water cooled-stainless steel plate can be evacuated to $5{\times}10^{-3}$ torr with a rotary vane pump. By pyrolysis of $SiH_4$ at about $600^{\circ}C$, polysilicon has been formed on the silicon dioxide film. Th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ickness nonuniformity is 15% and temperature nonuniformity is 1.1%. Because activation energy of pyrolysis of $SiH_4$ is very high, about 1.8eV, small temperature variation will induce large thickness nonuniformity. The main cause of temperature nonuniformity is unsymmetry of lamp power and an unbalanced cooling structure. Charls & Evans' SIMS result shows that the oxygen content in the deposited polysilicon is comparable to that of silicon substrate but carbon content is ten times higher.

  • PDF

포스트 텐션 플랫 플레이트 외부 접합부의 내진 거동 (Seismic Behaviour of Exterior Joints in Post-Tensioned Flat Plate Systems)

  • 한상환;기성훈;강현구;조종;이리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595-60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력 하중에 저항하도록 설계된 플랫 플레이트 외부 접합부의 이력 거동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2/3의 크기가 조정된 PT 슬래브-기둥 외부 접합부 2개와 RC 슬래브-기둥 외부 접합부 1개를 대상으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여기서 각각의 PT 실험체는 서로 다른 강선 배치 형태를 띄고 있다. 중력 하중은 동일하게 설정하였고, 지속적인 정적 하중 하에서 유사 정적 횡하중을 적용하였다. 한편 모든 실험체는 ACI 318-05과 ACI 352.1R-89에 근거하여 기둥 폭 내에 하부 철근을 배근 하였다. 또한 PT 외부 접합부의 이력 거동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얻기 위하여 기존 연구자들의 실험 결과와 함께 비교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강선의 배치는 PT 접합부의 이력 거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즉 횡변형 성능, 에너지 소산 능력, 파괴 메커니즘, 그리고 연성 능력이 강선의 배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ACI 352.1R-89에서 구조적 일체성을 위해 제공된 하부 철근의 양은 모멘트 역전에 의해 발생된 정모멘트를 저항하는데 있어서도 적절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실험체의 전단 강도는 강선의 포스트 텐션에 의한 평균 콘크리트 압축 응력($f_{pc}$)의 효과가 고려된 식이 그렇지 않은 식보다 전단 강도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폐포대식세포에서 내독소의 Priming 효과 (Priming Effect of Endotoxin in Human Alveolar Macrophage)

  • 정만표;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1호
    • /
    • pp.46-53
    • /
    • 1996
  • 연구배경: 폐포대식세포가 내독소에 노출되면 이 후 자극에 의해 종양괴사인자, 활성산소 등 독성이 강한 분비물 방출이 더욱 촉진되어 성인성호흡곤란증후군과 같은 각종 폐질환이 초래되는 중요한 기전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문헌에 보고된 내독소에 의한 이런 priming효과는 다형핵백혈구, 단핵세포나 동물의 폐포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한 결과로서, 인체 폐포내에서의 폐포대식세포, 폐포상피세포 및 내독소의 상호작용을 밝히는 면에서는 한계가 있었다. 방법: 폐포상피세포에서 기원한 폐암세포주인 A549 24-well Linbro plate에 배양하여 세포단층을 형성한 후 기관지폐포세척술로 얻은 사람의 폐포대식세포($10^6/ml$)를 A549세포에 부착시켜 생체내와 유사한 환경을 만들어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은 A549세포 부착 전후에 내독소(500 ng/ml)로 전처치한 다음 PMA, fMLP로 자극하여 방출된 과산화수소를 nM/well/2hrs 단위로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아울러 A549세포만종 없이 각 well에 직접 폐포대식세포단층을 형성한 후 동일하게 처치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결과: 1) 24-well의 표면에 폐포대식세포단층을 형성한 후 내독소로 처치(n=7)한 경우, 대조군은 무자극군, PMA 자극군, fMLP자극군에서 각각 $9.48{\pm}2.44$, $10.38{\pm}2.34$, $10.28{\pm}2.33$ nM/well/2hrs의 과산화수소 분비능을 보였고 내독소 전처치군은 각각 $9.56{\pm}2.15$, $9.82{\pm}1.80$, $11.31{\pm}2.48$ nM/well/2hrs을 보여 내독소에 의한 priming효과는 없었다. 2) 폐포대식세포를 미리 내독소로 처치한 후 A549세포단층에 부착(n=7)시킨 경우에는 대조군의 과산화수소 분비능은 무자극군 $4.82{\pm}1.59$, PMA자극군 $8.31{\pm}1.67$, fMLP자극군 $7.06{\pm}1.82$ nM/well/2hrs이고 내독소 전처치군은 각각 $4.44{\pm}1.41$, $7.05{\pm}1.64$, $6.32{\pm}1.69$ nM/well/2hrs로서 내독소에 의한 priming 효과는 없었다. 3) 폐포대식세포를 A549세포단층에 부착시킨 후 내 독소로 처치(n=11)하면 대조군은 무자극군, PMA자극군, fMLP자극군에서 각각 $4.33{\pm}1.04$, $7.94{\pm}1.42$, $6.00{\pm}1.22$ nM/well/2hrs의 과산화수소를 분비하였고 내독소 전처치군은 각각 $5.43{\pm}1.19$, $7.56{\pm}1.31$, $6.38{\pm}1.19$ nM/well/2hrs를 보여 A549세포 부착후에도 내독소의 priming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PMA나 fMLP로 자극하지 않은 무자극군에서 내독소 전처치군이 대조군에 비해 과산화수소 분비능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는 사람 폐포대식세포에서 내독소에 의한 priming효과는 없으나 폐포상피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내독소가 폐포대식세포를 직접 자극함을 시사하는 소견이며 향후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plit-triplet 분사기를 장착한 액체 추진제 로켓엔진의 연소특성 해석 (Numerical Analysis of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a Liquid Propellant Rocket Engine with Split-triplet Injector Elements)

  • 문윤완;손채훈;김영목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41-51
    • /
    • 2001
  • Split-triplet(F-O-O-F)형의 분사기 요소를 장착한 KSR-III 액체 로켓엔진의 성능과 연소장을 고찰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방사형 분사기 배열의 액체 로켓엔진의 수치해석 검증을 위해 2차원 축대칭과 3차원 계산을 수행하여 연소시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2차원 축대칭 계산과 3차원 해석을 통하여 성능 측면에서 오차가 약 3∼5% 정도의 정확도를 유지하며 예측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차원 해석에서는 연소장을 해석하여 분사기 면의 온도 분포가 연소 시험결과와 정성적으로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충돌각의 감소와 분사기 배열의 직교-방사형으로 변경이 방사형 분사기배열의 국부적인 고온 영역을 감소시키며 성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을 통하여 분사기 배열과 충돌각 선정이 액체 로켓엔진의 성능과 연소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