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 NMR

검색결과 314건 처리시간 0.024초

멜라닌 생합성 억제제로서 수용성 Oleanolic Acid 유도체의 합성 및 활성 평가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Soluble Oleanolic Acid Derivatives for use as Melanogenesis Inhibitors)

  • 안현진;윤영경;이재덕;정노희
    • 공업화학
    • /
    • 제31권6호
    • /
    • pp.653-6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methoxy polyethylene glycol)과 올레아놀산(Oleanolic acid) 유도체(mPEG-OA derivative)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유도체에 대하여 수용액에서의 용해도와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mPEG-OA 유도체의 합성된 구조는 1H NMR, 13C NMR 및 FT-IR로 확인하였다. 수용액에서 mPEG-OA 유도체와 OA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13 mg/mL, OA는 0.013 mg/mL로서, mPEG-OA 유도체의 수용성이 OA보다 1,000배 높게 나타냈다. 세포생존율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PEG-OA 유도체의 세포생존율(250 μM)이 OA로 처리한 세포생존율(62.5 μM)과 비교하여 4배 증가하였다.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는 세포생존율이 영향을 받지 않는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36%, OA는 10 μM의 농도에서 35%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melanoma cells에서 MITF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의 발현 억제 수준은 mPEG-OA 유도체는 50 μM의 농도에서 59%, OA는 10 uM의 농도에서 49%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합적으로 mPEG-OA 유도체와 OA의 수용성 및 미백활성을 비교한 결과, mPEG-OA 유도체는 OA보다 뛰어난 수용성을 가지며,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바디나물 열매의 Coumarin 성분 연구(I) (A Study on Coumarins of Angelica decursiva)

  • 육창수
    • 생약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49-150
    • /
    • 1975
  • Silicagel colum chromatography of the ether extract of the fruits of Angelica decursiva $F_R$. et SAV. gave four crystalline products of coumarins and one steroid. The following furocoumarins and ${\beta}-sitosterol$ were identifed by UV, IR, NMR spectra and physicochemical tests: ${\beta}-sitosterol$, iso-imperatorin, imperatorin, bergapten, umbelliferone.

  • PDF

Supercapacitor용 이온성 액체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percapacitor Using Ionic Liquid Electrolyte)

  • 김상길;황갑진;김재철;유철휘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01-207
    • /
    • 2011
  • 수퍼커패시터는 다양한 응용범위를 갖는 유망한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에너지 밀도 향상을 위하여 이온성 액체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4급화 반응과 음이온 교환반응을 거쳐 4급 imidazolium 염을 생성하는 반응으로 두 종류의 EMI-$BF_4$를 합성하였다. $^1H$-NMR을 통하여 EMI-$BF_4$의 합성을 확인하였고 TGA를 통하여 열적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때 합성된 이온성 액체를 열처리한 경우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LSV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합성한 EMI-$BF_4$가 4 V 이상의 넓은 전위창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전해질 대비 우수한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충방전 실험 결과 본 실험에서 합성한 이온성 액체를 상용화 제품과 비교한 경우 용량은 각각 0.067 F 및 0.073 F로 측정되었다.

Fomitella fraxinea 중 Steroid계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및 구조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ructural Analysis of the Steroid Compound from Fomitella fraxinea)

  • 박상신;이종석;배강규;유국현;한혜철;민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7-71
    • /
    • 2001
  • 민간약재로 사용되어지는 아카시재목 버섯(Fomitella fraxinea) 자실체의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ethyl acetate 추출, silica gel chromatography, preparative TLC 등의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steroid계 화합물, F-1을 분리 정제하였다. EI-Mass, FT-IR, $^1H$$^{13}C$ NMR 등 기기 분석에 의하여 F-1은 분자량이 412.65, 분자식이 $C_{28}H_{44}O_2$의 steroid 화합물, ergosta-7,22-diene-3-one-$16{\beta}-ol$임을 확인하였다. F-1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은 $10^{\mu}g/ml$의 농도에서 86%의 지질과산화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IC_{50}$ 값은 $3.8{\mu}g/ml$이었다. 이 화합물은 항산화제인 ${\alpha}-tocoperol$과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펜타메틸시클로펜타디에닐) 비스(포스핀)루테늄의 염화물과 수소화물 유도체 (Chloro- and Hydrido Complexes of (Pentamethylcyclopentadienyl) bis(phosphine)ruthenium)

  • 이동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48-254
    • /
    • 1992
  • 에탄올 용매 중에서, 착물 $[({\eta}^5-C_5Me_5)RuCl_2]_2$ (1)에 대하여 과량의 포스핀을 반응시켜 비스(포스핀)루테늄 유도체$({\eta}^5-C_5Me_5)Ru(PR_3)_2Cl(PR_3=PMe_3,\; PMe_2Ph,\;PEt_3,\;PMePh_2$, 1/2DPPE, 1/2DPPB) (2a${\sim}$2f)를 합성하였다. 이 유도체들은 에탄올 용매 중에서 $NaBH_4$와 반응하여 상응하는 황색의 착수소화물 $({\eta}^5-C_5Me_5)Ru(PR_3)_2Hl(PR_3=PMe_3,\;PEt_3,\;PMePh_2$, 1/2 DPPE, 1/2DPPB) (3a${\sim}$3e)을 생성한다. 착염화물 (2a${\sim}$2f)와 착수소화물 (3a∼3e)는 모두 결정으로 얻어졌으며, IR, $^1H-NMR$ 그리고 원소분석으로 동정되었다.

  • PDF

밀집된 상자성체 $CuF_{2}$의 초교환 상호작용 (Superexchange in the Dense Paramagnet $CuF_{2}$)

  • Jun Hyeong Kim;Chang Hoon Lee;Cheol Eui Lee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1-174
    • /
    • 1995
  • 성자성 $CuF_{2}$$^{19}F$에 대한 펄스 핵자기공명을 수행하였다. 분말시료에 대하여 상온과 질소온도에서 측정된 선모양은 서로 다른 자리의 $^{19}F$에 대응하는 잘 분리된 두개의 공명선으로 구성되었다. 두 공명선의 서로 다른 주파수 이동량을 구리원자로부터 불소 원자로 부분적으로 이동된 전자에 의한 기여로 해석할 수 있었다. 두 공명선은 모두 매우 짧은 스핀-격자 완화시간($T_{1}$)을 나타내었으며 더 큰 주파수 이동을 나타내는 $^{19}F$ 공명선이 더 짧은 스핀-격자 완화시간을 보였다. 이를 두 $^{19}F$ 자리 주위의 서로 다른 전자 환경이 반영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하였다.

  • PDF

국내산 몰푸레나무속 수종 수피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bark of domestic Fraxinus species)

  • 이상극;배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42-52
    • /
    • 2001
  • 국내에 자생하는 몰푸레, 쇠몰푸레 그리고 들메나무의 수피를 채취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한 후 동결건조시켜서 분말로 제조하였고 Sephadex LH-20 및 TSK 40F로 충진한 칼럼 상에서 메탄올, 에탄올 그리고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용이용매로 상요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키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NMR스펙트럼을 상용하여 정확한 구조규명을 하였고 FAB-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쿠마린 유도체들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소량의 ester형태의 화합물들도 단리 되었다. 물푸레와 쇠물푸레에서는 aesculetin, aesculin 및 fraxetin과 같은 쿠마린 화합물들과 ligstroside와 oleuropein과 같은 ester형태의 화합무들이 모두 단리 되었으며 들메나무에서는 ester형태의 화합물만 단리 되었다.

  • PDF

항칸다디아 활성이 우수한 bis acetylated hybrid pyrazoles의 합성 연구 (Novel Synthesis of bis Acetylated Hybrid Pyrazoles as Potent Anticandidiasis Agents)

  • Kanagarajan, V.;Ezhilarasi, M. R.;Gopalakrishnan, M.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256-261
    • /
    • 2011
  • Bis acetylated hybrid pyrazoles 을 합성하여 이들 화합물에 대해 녹는점, 원소분석, MS, FT-IR, one-dimensional $^1H,-$$^{13}C$-NMR로 분석하였다. 합성한 화합물들에 대해 in vitro 항균활성을 Candida sp. namely Candida albicans, Candida glabrata, Candida parapsilosis, Candida dubliniensis 및 Candida tropicali 균에 대해 수행하였다. Pyrazoles의 페닐고리에 작용기($-CH_3$, $-OCH_3$, -F, -Cl, 및 Br)가 있는 화합물은 Candida species에 대해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