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Index

검색결과 446건 처리시간 0.027초

보은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암석-토양-식물계내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이동 (Dispersion and Migration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from the Boeun Area Underlain by Black Shales, Korea)

  • 이진수;전효택;김경웅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6호
    • /
    • pp.587-601
    • /
    • 1997
  • This study had three purposes: (1) to investigate the enrichment levels and dispersion patterns of potentially toxic elements in the rock-soil-plant system; (2) to evaluate the uptake ratios of heavy metals from soils into plants and (3) to assess the chemical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Rock, surface soil and plant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Boeun area underlain by black shales of the Okchon Zone.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multi-elements using INAA, ICP-AES and AAS. The maximum abundance of U in black shales is 16 mg/kg and radioactivity counts up to 300 cpm. In particular, Mo, V, Ba, Cd, Pb and U are enriched in black shales. Most of soils derived from black shales show high concentrations of U, As, Mo, Ba, Cu, Cd, Pb, Zn and mean concentrations of As and Mo in soils (20 mg/kg of As and 6.6 mg/kg of Mo) a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suggested by Kloke (1979). Enrichment index values of soils are calculated and higher than 1.0 in the black shale area with the highest value of 6.4. Mean concentration of Cd in plants is higher than those of Cu, Pb and Zn. The concentration of Cd in plant species decreases in the order of Chinese cabbage > red pepper > soybean=sesame > rice stalk > com > rice grain. The biological absorption coefficients (BAC) in plants are in the order of Cd > Zn=Cu > Pb, which suggests that Cd is more bioavailable to plants than Cu, Pb and Zn. From the results of sequential extraction analysis of soils,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Cu, Pb and Zn are present as residual fractions whereas that of Cd as non-residual fractions. Cadmuim occurs predominantly as exchangeable/water-acid soluble phase in soils, and Cd is more mobile and bioavailable than Cu, Pb and Zn.

  • PDF

Diversity of Butyrivibrio Group Bacteria in the Rumen of Goats and Its Response to the Supplementation of Garlic Oil

  • Zhu, Zhi;Hang, Suqin;Mao, Shengyong;Zhu, Weiy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2호
    • /
    • pp.179-186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the Butyrivibrio group bacteria in goat rumen and its response to garlic oil (GO) supplementation as revealed by molecular analysis of cloned 16S rRNA genes. Six wethers fitted with ruminal fistula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for a cross-over design with 28-d experimental period and 14-d interval. Goats were fed a basal diet without (control) or with GO ruminal infusion (0.8 g/d). Ruminal contents were used for DNA extraction collected before morning feeding on d 28. A total bacterial clone library was firstly constructed by nearly full-length 16S rRNA gene cloned sequences using universal primers. The resulting plasmids selected by Butyrivibrio-specific primers were used to construct a Butyrivibrio group-specific bacterial clone library. Butyrivibrio group represented 12.98% and 10.95% of total bacteria in control and GO group, respectively. In libraries, clones were classified to the genus Pseudobutyrivibrio, Butyrivibrio and others within the family Lachnospiraceae. Additionally, some specific clones were observed in GO group, being classified to the genus Ruminococcus and others within the family Ruminococcaceae. Based on the criterion that the similarity was 97% or greater with database sequences, there were 29.73% and 18.42% of clones identified as known isolates (i.e. B. proteoclasticus and Ps. ruminis) in control and GO groups, respectively. Further clones identified as B. fibrisolvens (5.41%) and R. flavefaciens (7.89%) were specifically found in control and GO groups, respectively. The majority of clones resembled Ps. ruminis (98% to 99% similarity), except for Lachnospiraceae bacteria (87% to 92% similarity) in the two libraries. The two clone libraries also appeared different in Shannon diversity index (control 2.47 and GO group 2.91).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Butyrivibrio group bacteria had a complex community with considerable unknown species in the goat rumen.

Posterior available space의 crowding과의 상관관계 및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CE OF POSTER10R AVAILBLE SPA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ERIOR AVAILABLE SPACE AND CROWDING)

  • 이노범;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35-546
    • /
    • 1994
  • The research work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establish facts on posterior available space in patients with crowding. The relation between crowding and posterior available space was worked out through a cross sectinal study of fifty eight patients showing class I malocclusion. In addition, a longitudinal overlapping study was done by examing twenty patients who had their bicuspid extracted and forty nine patients who did not, at the orthodontic department of dental clinic affiliated in Chosun University. The patients had been examined for three years and eight months on a regular basis, and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conculusion. 1.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posterior available space between patients with serious crowding and those with slight crowding. The former marked 15.2mm of posterior available space and the latter 19.9mm. 2. Posterior crowding index was acquired by joint consideration of the diameter of posterior teeth and posterior available space, and manifeste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crowding among measured items. 3. Patients who had their bicuspids extracted exhibited increase in posterior available space of 1.6mm/year and those who did not 1.8mm/year. 4. The absorption of anterior border of ramus turned out to be most deeply related with the increase of posterior available space. 5. Anterior border of ramus was absorbed at the average rate of 0.7mm/year during the period of observation. 6. The extraction of bicuspids had little influnce on the change in posterior available space.

  • PDF

Safety, Efficac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inospora crispa Ointment: A Community-Based Formulation against Pediculus humanus capitis

  • Torre, Gerwin Louis Tapan Dela;Ponsaran, Kerstin Mariae Gonzales;de Guzman, Angelica Louise Dela Pena;Manalo, Richelle Ann Mallapre;Arollado, Erna Custodi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409-416
    • /
    • 2017
  • The high prevalence of pediculosis capitis, commonly known as head lice (Pediculus humanus capitis) infestation, has led to the preparation of a community-based pediculicidal ointment, which is made of common household items and the extract of Tinospora crispa stem.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safety, efficac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T. crispa pediculicidal ointmen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ointment were characterized, and safety was determined using acute dermal irritation test (OECD 404), while the efficacy was assessed using an in vitro pediculicidal assay. Furthermore, the chemical compounds present in T. crispa were identified using liquid-liquid extraction followed by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quadruple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ic (UPLC-qTOF/MS) analysis. The community-based ointment formulation was light yellow in color, homogeneous, smooth, with distinct aromatic odor and pH of $6.92{\pm}0.09$. It has spreadability value of $15.04{\pm}0.98g{\cdot}cm/sec$ and has thixotropic behavior. It was also found to be non-irritant, with a primary irritation index value of 0.15. Moreover, it was comparable to the pediculicidal activity of the positive control $Kwell^{(R)}$, a commercially available 1% permethrin shampoo (P>0.05), an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activity of the negative control ointment, a mixture of palm oil and candle wax (P<0.05).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community-based T. crispa pediculicidal ointment is safe and effective, having acceptabl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ts activity can b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f compounds moupinamide and physalin I.

논문 인용에 따른 학술지 군집화 방법의 비교 (Comparison of journal clustering methods based on citation structure)

  • 김진광;김소형;오창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4호
    • /
    • pp.827-839
    • /
    • 2015
  • 학술지 인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네트워크 구조분석을 통해 학술지의 공동체를 추출하는 것은 인용관계에 따른 학술지의 집단을 파악하는 유용한 수단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학술지 인용데이터베이스인 Thomson Reuters의 SCI나 Elsevier의 SCOPUS가 제공하는 자료를 활용하여 인용관계에 따른 공동체 구조를 파악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국내 학술지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KCI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현재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여러 가지 네트워크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KCI에 등재되어 있는 자연과학 분야 학술지를 대상으로 인용관계에 따른 공동체를 파악하고 KCI에 등록된 학술지 분류와 비교하여 보았다. 적용된 군집화 방법 중 인포맵 알고리즘에 의한 분류가 KCI 등재 자연과학 분야 학술지의 인용관계 구조를 잘 반영하며, 기존의 KCI 분류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KCI의 기존 분류와 차이점들은 장차 KCI 학술지의 재분류가 이루어질 시 고려의 대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최근 5년간 소년원 여학생의 치과치료 및 구강건강실태 (Dental Treatments and Oral Health Status of Adolescent Girl Inmates in a Juvenile Detention Facility for the Last 5 Years)

  • 전요원;백광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01-409
    • /
    • 2016
  • 본 연구는 만 11세에서 18세 사이에 해당하는 소년원 여학생과 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동일한 연령대 환자들의 구강 건강상태를 조사하여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최근 5년간 누적된 소년원 여학생과 아주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의 치과기록을 수집하여 치과치료에 분석하였다. 소년원 여학생과 대학병원 환자 모두 수복치료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소년원 여학생에서는 치아우식에 의한 영구치의 발거가 중,고등학교 시기에 점차 증가한 반면에 대학병원 환자에서는 영구치의 발거 비율이 적었다. 현재 수용되어있는 만 11부터 18세까지의 소년원 여학생 130명과 최근 1년간 대학 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에 대해 구강검진을 시행하여 우식, 상실, 충전 치아 수를 검사하여 구강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우식경험영구치지수가 대학병원에서 4.15인 반면에 소년원 여학생에서는 7.53로 약 2배 높았다.

휘도투시모델을 적용한 효율적인 비디오 검색기법 (Efficient Video Retrieval Scheme with Luminance Projection Model)

  • 김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649-8653
    • /
    • 2015
  • 대용량 비디오 데이터베이스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많은 비디오 색인 및 검색 알고리즘들이 제안되고 있다. 비디오 콘텐츠 관리 시스템에서 비디오 유사도 측정방법은 가장 중요한 기술적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유사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휘도특성 모델을 제안한다. 비디오 색인에 관한 대부분의 알고리즘들이 공통적으로 히스토그램, 윤곽선, 움직임 특성을 사용한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휘도투시를 사용한 효율적인 유사도 측정법을 적용하였다. 비디오 시퀀스의 효율적인 색인과 계산량 감소를 위해 누적된 유사도에 의해 추출된 키프레임 들을 이용한 비디오 유사도를 계산하고 수정된 하우스도르프 거리를 사용하여 키프레임 묶음들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휘도투시 모델이 적은 계산량으로 기존의 히스토그램 비교법을 사용한 알고리즘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도 및 성능을 보였다.

과거 궤적 색인을 위한 TB-트리의 시공간 중첩 최소화 정책 (The Policy of Minimizing Spatio-Temporal Overlaps on the TB-tree for Trajectories Index)

  • 조대수;임덕성;홍봉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3-24
    • /
    • 2005
  • 차량과 같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객체를 이동체라 한다. 이동체의 과거 궤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적되므로 대용량 정보가 된다. 대용량 궤적 정보를 저장하는 이동체 데이터베이스에서 효율적으로 궤적을 검색하기 위해서는 색인이 필요하다. 특히 궤적을 선택하는 과정(영역 질의)과 선택된 궤적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과정(궤적 질의)으로 이루어진 복합 질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궤적 보존을 지원하는 TB-tree와 같은 색인 구조가 적합하다. 그러나 TB-tree는 비단말 노드에서의 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여 영역 질의시 불필요한 노드 접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영역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TB-tree의 비단말 노드의 사장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는 분할정책을 제안하고 이를 TB-tree에 적용하여 구현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분할 정책은 높은 공간 활용도, 효과적인 궤적 추출과 같은 TB-tree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비단말 노드의 사장 영역을 줄임으로써 영역 질의에 효과적인 특징이 있다. 제안된 분할 정책은 성능평가를 통하여 기존의 TB-tree보다 영역 질의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비-파라미터 기반의 움직임 분류를 통한 비디오 검색 기법 (Video retrieval method using non-parametric based motion classification)

  • 김낙우;최종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2호
    • /
    • pp.1-1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샷(shot) 기반 비디오 색인 구조에서 비-파라미터(non-parametric) 기반의 움직임 분류를 통한 비디오 영상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비디오 검색 시스템은 장면 전환 기법을 통해 얻은 샷 단위의 짧은 비디오로부터 대표 프레임과 움직임 정보를 취득한 후, 이를 통해 시각적 특징과 움직임 특징을 추출하여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시-공간적 특징을 이용한 실시간 검색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비-파라미터 기반의 움직임 특징의 추출은 MPEG 압축 스트림으로부터 정규화된 움직임 벡터계(界)를 추출한 후, 각각의 정규화된 움직임 벡터를 여러 개의 각도 빈(bin)으로 양자화하고 이의 평균과 분산, 방향 등을 고려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대표 프레임에서의 시각 특징 검출을 위해서는 에지 기반의 공간 기술자를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영상 색인 및 검색에 있어서 제안된 시스템이 매우 효과적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 데이터베이스 내 영상의 색인을 위해서는 R*-tree 구조를 이용한다.

Centroid 위치벡터를 이용한 영상 검색 기법 (A Centroid-based Image Retrieval Scheme Using Centroid Situation Vector)

  • 방상배;남재열;최재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6-135
    • /
    • 2002
  • 영상은 색상, 형태, 위치, 질감 같은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특성만을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영상을 검색할 경우, 만족할 만한 검색효율을 얻기가 어렵다. 특히,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베이스일수록 그 같은 현상은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기존의 내용 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들은 대부분 하나 이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검색효율 향상을 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entroid 위치벡터를 이용하여 영상 내의 색상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색상에 대한 위치정보를 고려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질의영상의 한 색상에 대해 Centroid 위치벡터를 추출하고 비교영상의 같은 색상의 Centroid 위치벡터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그 거리가 짧을수록 각 색상의 위치 유사도를 높게 책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검색 기법은 기존의 색상 분포만을 이용하는 검색 기법에 비해, 원근 처리된 영상에 강인하고, 회전되거나 뒤집힌 영상의 변별력이 향상되었다. 또한, 제안된 방식은 색상정보와 위치정보의 추출을 이원화시키지 않고 동시에 추출함으로써 계산량을 줄이고, 효율적인 색인 파일을 생성하여 검색속도를 향상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