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orporeal fixa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Intraoral reinsertion after extracorporeal fixation in condylar fracture

  • Kim, Soung 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7권6호
    • /
    • pp.476-479
    • /
    • 2021
  • For treatment of mandibular condyle fracture,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urgical protocol of intraoral reinsertion after extracorporeal fixation. This efficient, anatomically acceptable, extraoral scar-free, and relatively uncomplicated approach for condylar fracture can be compared with conventional extraoral fixation through various approaches. Clinical step-by-step procedures with a scientific basis were described in this technical strategy note.

A follow-up study on extracorporeal fixation of condylar fractures using vertical ramus osteotomy

  • Park, Sung Yong;Im, Jae Hyoung;Yoon, Seong Hoe;Lee, Dong K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0권2호
    • /
    • pp.76-82
    • /
    • 2014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results of extracorporeal fixation in patients with mandibular condylar fractures and compare them with the clinical results of conservative treatment. Materials an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92 patients (73 male [M] : 19 female [F], age 13-69 years, mean 33.1 years) treated for condylar fractures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Sun Dental Hospital (Daejeon, Korea) from 2007 to 2012 were reviewed.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23 patients; M : F=18 : 5, age 21-69 years, mean 32.6 years), treated with extracorporeal fixation; group B (30 patients; M : F=24 : 6, age 16-57 years, mean 21.1 years), treated by conventional open reduction; and group C (39 patients; M : F=31 : 8, age 16-63 years, mean 34.4 years), treated with the conservative method ('closed' reduction).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were evaluated and analyzed statistically. Results: Occurrence of postoperative condylar resorption correlated with certain locations and types of fracture. In this study, patients in group A (treated with extracorporeal fixation) did not demonstrate significant postoperative complications such as malocclusion, mandibular hypomobility, temporomandibular disorder, or complete resorption of condyle fragments. Conclusion: In superiorly located mandibular condyle fractures, exact reconstruction of condylar structure with the conventional open reduction technique can be difficult due to the limited surgical and visual fields. In such cases, extracorporeal fixation of the condyle using vertical ramus osteotomy may be a better choice of treatment because it results in anatomically accurate reconstruction and low risk of complications.

하악 과두골절에 관한 임상적 연구: 효과적인 체외고정법 (A CLINICAL STUDY ON FRACTURES OF THE MANDIBULAR CONDYLES: EFFECTIVE EXTRACORPOREAL FIXATION TECHNIQUE)

  • 권광준;정지훈;김지혁;박영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359-369
    • /
    • 2008
  • Purpose: Fractures of the mandibular condyle accounts for 15% to 30% of all the mandibular fractures and lots of complications are reported. Among these complications, condylar resorption is the most important one to be taken into accou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valuating condylar resorption pattern in relation to extracorporeal fixation technique. Patients & methods: Thirty four patients with 42 mandibular condylar fractures were retrospectively examined with an average follow-up of 18.5 months (6-66 months). Male/female ratio is 27 males (7 bilateral cases) and 7 females (1 bilateral case). Applicated surgical techniques were extracorporeal fixation via submandibular approach and extracorporeal fixation via intraoral approach. We compared radiographic views of post-operative periods with that of most long term follow up in 34 operated sites respectively. Result: There were 2 generalized condylar resorption sites and 3 partial resorption sites with clinical implications. Others (29 joints) showed good healing or satisfactory adaptive state of temporomandibular joints clinically. Radiologically, signs of partial condylar resorption and/or osteoarthrosis were diagnosed in 11 patients. But, 8 out of the 11 patients didn't show significant clinical symptoms, which means successful adaptive remodeling of the surgically located condylar head.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intentional ramal osteotomy, temporary detachment of the fractured condyle and extracorporeal fixation technique seems to be effective and useful in those cases of condylar fractures in which reduction of the dislocated condyle is very difficult or virtually impossible.

Modified Extracorporeal Reduction of the Mandibular Condylar Neck Fracture

  • Kim, Min-Keun;Kwon, Kwang-Jun;Kim, Seong-Gon;Park, Young-Wook;Kim, Jwa-Young;Kweon, Hae-Yo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0-36
    • /
    • 2014
  • There are many treatment options in management of mandibular condylar neck fractures. Closed reduction is the most conservative treatment; however, achievement of anatomic reduction is difficult, and there are some risks of mandibular functional impairment. Open anatomic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have some advantages; therefore, many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have attempted to achieve anatomic reduction through the open approach and extracorporeal reduction and fixation. However, when using this method, there is some risk of resorption of the fractured mandibular condylar head. Therefore, we designed a modified extracorporeal reduction technique, without detaching the lateral pterygoid muscle in order to maintain the blood supply to the fractured mandibular condylar head. We believe that this minor modification may minimize the risk of resorption of the fractured mandibular condylar head.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is technique in detail, and report on two cases.

골반골의 악성 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 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 보고 (Recycling Bone Autotransplantation with Extracorporeal Heat-Treatment for Malignant Bone Tumors of Pelvis)

  • 김세훈;이상훈;조환성;김한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5-123
    • /
    • 2003
  • 연구계획: 골반골의 악성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의 후향적 연구 연구목적: 골반골의 악성골종양의 재건술에서 체외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이 골반골의 재건에 있어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증례: 증 례 1~20세 여자 환자로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우측 고관절부와 대퇴부 동통을 주소로 외부 병원에서 우측 장골에 소파술 및 골 시멘트 충전술 시행 후 악성 골종양으로 진단하에 술 후 방사선 치료 6회 시행 후 전원되어 우측 장골 광범위 절제술 및 섭씨 132도에서 2분간 열처리 후 자가골 재삽입술 시행하고 우측 고관절의 인공 관절 치환술 (ABG$^{(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후 조직 병리 검사상 고분화 골육종 진단되었으며 술전 또는 술후 화학 요법은 시행하지 않았다. 증 례2~56세 여자 환자로 약 3개월 전부터 시작된 우측 대퇴부 동통으로 방사선 검사상 이상 발견되어 전원 후 절개 생검 시행하였다. 결과상 골육종 진단되어 우측 골반골 광범위 절제술 후 섭씨 6 5도 하에서 3 0분간 저온 열처리 후 자가골 삽입 고정술 시행하고 우측 고관절에 대하여 인공 관절 치환술 (ABG$^{(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 후 조직 병리 검사상 고등급 섬유모세포형의 골육종이 진단되었다. 술후 화학 요법은 HDMTX, ADR, CDDP으로 시행하였다. 증 례 3~46세 여자 환자로 우연히 발견된 좌측 장골의 종괴로 연골육종 의심 하에 좌측 골반골 광범위 절제술 후 섭씨 65도 하에서 30분간 저온 열처리 후 자가골 삽입 고정술 시행하고 좌측 고관절에 대하여 인공 관절 치환술 (Protek$^{(R)}$)을 병행하였다. 수술 당시 전이의 증거는 없었으며 술후 조직 병리 검사상 II/III 등급의 연골육종이 진단되었다. 결과: 최종 추시상 각 증례의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는 증례 1은 7년 추시상 국소적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Ennecking 등에 따른 기능적 평가 지수에서 53%로 평가되었다. 방사선 추시상 약 1년에서 1년 6개월 사이에 골유합이 관찰되었으며 최종 추시시 장골의 재건 금속판의 파괴 소견이 보였으나 환자의 증상과 연관되지는 않았다. 증례 2는 3년 6개월 추시상 국소적 및 원격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기능적 평가 지수는 60%로 평가되었다. 증례 3은 7개월 추시상 국소적 및 원격 재발이 없는 상태였으며 기능적 평가 지수는 63%로 평가되었다. 결론: 체외 열처리를 이용한 재활용 자가골 이식술 및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례에서 비교적 만족할만한 종양학적 및 기능적 결과를 보였으며 한국에서 동종 골 이식술이 어려운 점을 감안할 때 이 방법은 골반골을 재건하는데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Chest Wall Reconstruction with a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Flap in an Extremely Oversized Heart Transplantation

  • Yim, Ji Hong;Eom, Jin Sup;Kim, Deok Yeol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3권2호
    • /
    • pp.89-92
    • /
    • 2014
  • An 8-year-old girl diagnosed with dilated cardiomyopathy and Russell-Silver syndrome was admitted to our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due to low cardiac output and multiple-organ dysfunction. The patient was placed on the heart transplant waiting list an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was performed as a bridge to transplantation. After 17 days, heart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The donor was a 46-year-old female (weight, 50 kg; height, 150 cm). The donor:recipient weight ratio was 3.37:1. Because the dimension and volume of the recipient's thoracic cage were insufficient, the sternum could not be closed. Nine days after transplantation, the patient underwent delayed sternal closure. To obtain adequate space, we left the sternum 4.5 cm apart from each margin using four transverse titanium plates. A transverse rectus abdominis musculocutaneous flap was chosen to cover the wound. Due to the shortage of donors, a size-mismatched pediatric heart transplantation is sometimes unavoidable. Closure of the opened sternum of a transplant recipient can be challenging. Sternal reconstruction after an extremely oversized heart transplantation with transverse titanium plate fixation and a musculocutaneous flap can effectively achieve sternal closure and stability.

근위 대퇴골 전이성 종양의 수술적 치료로서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복합 고관절 성형술 (Surgical Treatment of Metastatic Tumor in Proximal Femur with Recycling Autograft Prosthetic Composite after Wide Excision)

  • 김재도;박필재;권영호;장재호;이영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81
    • /
    • 2005
  • 목적: 근위 대퇴골의 전이성 종양에서 소파술 후 금속 내고정술 또는 고관절 성형술을 시행했던 환자에게서 종양의 국소 재발로 인한 금속 부전을 경험한 저자들은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 이식을 이용한 고관절 성형술을 시행하고, 술 후 국소 재발의 유무와 하지의 기능, 합병증의 발생을 통해 전이성 골종양에서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재건술의 타당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근위 대퇴골의 전이성 종양 환자 중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6례,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60.8세, 남녀 비는 3:2였고 술 후 평균 생존 기간은 23.2개월(7~57개월) 이었다. 원발 병소로는 폐암이 2례였고, 위암, 신장암, 다발성 골수종이 각각 1례였다. 수술은 전례에서 광범위 절제술 후 고관절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재건술로는 체외 방사선 조사 후 자가골 이식술 및 고관절 반치환술을 4례, 저온 처리한 자가골 이식술 및 고관절 전치환술을 2례에서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의 Musculoskeletal Tumor Society(MSTS) 기능 평가 지수(1993년) 및 합병증, 생존 기간 동안의 국소 재발의 유무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술 후 6개월에 조사한 MSTS 기능 평가 지수는 63.3%였고, 술 후 합병증으로는 고관절 탈구가 1례에서 발견되었다. 생존 기간 동안 국소 재발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술 후 생존 기간이 6개월 이상으로 추정되는 근위 대퇴골의 전이성 종양에서 소파술 후 금속 내고정술이나 고관절 성형술을 시행하는 것보다 광범위 절제술 후 재활용 자가골을 이용한 고관절 재건술을 시행하는 것이 국소 재발을 방지하여, 환자의 생존 기간동안 사지의 기능을 보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