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3초

하변토양의 미생물체외효소활성에 미치는 칩입성 식물의 영향 (Influences of Invasive Plant on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in Riparian Ecosystems)

  • 박순영;김재근;강호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7
    • /
    • 2012
  • 하변에 침입하는 외래종 식물은 하변 토양의 생태구조 및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년간 국내 하변 총 네 지점에서 유기물질 분해율을 대표할 수 있는 미생물 체외효소 활성(${\beta}$-glucosidase, N-acetylglucosaminidase, phosphatase, arylsulfatase)을 외래종 유무에 따라 측정하였다. 하변 침입종인 환삼덩굴과 가시박 생장구 및 외래종 제거구의 토양을 분석한 결과 일부 침입성 덩굴식물 실험구에서 효소활성이 높았으나 계절 및 효소별로 그 특성이 달라 어떤 경향을 밝혀낼 수는 없었다. 허나, 교란이 발생한 하변 생태계에서는 침입성 덩굴 식물이 토양의 유기물질 분해를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남해 퇴적토에서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 및 세포의 효소 활성력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Bacteria in the Sediment of South Sea, Korea)

  • 김상진;이건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83-390
    • /
    • 1992
  •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남해해역 ($123^{\circ}$/30'E-$128^{\circ}$/30'E, $32^{\circ}00N-34^{\circ}$ 30'N)을 대상으로 퇴적토 시료를 1988년 7월 31일부터 8월 10일, 1989년 3월 9일 부텨 3월 13일에 걸쳐 2회 채취하였다. 퇴적토시료는 숙성된 해수와 증류수를 각각 넣은 ZoBell 2216 E 평판배지를 사용하여 해양 세균과 담수 새균을 계수하였고 종속영양 세균분포와 세포외 효소활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종석영양세균의 분포는 하계의 경우 해양 세균과 담수 세균 각각 $0.3{\times}10^{6}~15{\times}10^{6}/cm^{3}$ sediment, $0.3{\times}10^{7}~30{\times}10^{7}/cm^{3}$ sediment, $0.01{\times}10^{6}~19{\times}10^{6}/cm^{3}$ sediment로 나타났다. 1989 년 춘계, sediment 표층 종속영양 세균의 절대값은 정점에 따라 1988 년 하계에 비해 최고 100배 이상으로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정점에서 많은 세균수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총세균에 대한 담수세균의 비율은 하계보다 춘계에 항승하는 결과를 나타냇다. 퇴적토 함수율은 하계보다 춘계에 낮게 나타났으나 유기물량을 나타내는 회분량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춘계에는 하계에 비해 입자가 큰 최적토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나 유기물의 유입이 많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때 남해해열 퇴적토 세균군집은 계절에 따라 매우 높은 분포를 보이고 이 요인으로는 육수의 유입으로 인한 영향을 들 수 있다. 또한 춘계에 해수의 혼합으로 무기영양물질 공급이 일어나고 이어 증식한 프랑크톤이 침강하여 퇴적토에 유입되므로써 세포외 효소 활성력이 높은 세균에 의해 고분자물질이 분해되고 이로 인한 영양물질 공급이 세균상승의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팔당호에서 종속영양 활성도의 계절적 변화 및 세균의 세포외 효소활성 (Seasonal Fluctuations of Heterotrophic Activity and Bacterial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in Paldang Lake)

  • 김상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3-98
    • /
    • 1993
  • 수계생태계에서 유기물질의 순환을 이해하기 위하여 팔당호에서 종속영양 활성도와 세균세포의 효소활성의 계절절 변화를 연구하였다. 팔당호 I 의 glucose 전환시간은 수층, 퇴적토에서 2-1,300 시간, 17-170 시간, protein hydrolysate 는 5-900 시간, 15-240 시간, acetic acid 는 4-350 시간, 15-230 시간으로 계절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Glucose, protein hydrolysate, acetate 각각의 호흡율은 수층에서 23-32%, 38-41%, 22-28%로 나타났고 퇴적토에서는 34%, 61% and 41% 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 3가지 유기물질 종류 모두가 수층보다 퇴적토에서는 높은 율로 호흡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세균의 $\alpha$-glucosidase, $\beta$-glucosidase, N-acetyl-$\beta$-D-glucosaminidase, aminopeptidase 활성력을 살펴본 결과 수층에서는 효소 각각에 대해 32-44%, 31-32%, 18-34% 61-67% 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퇴적토에서는 34%, 40%, 23% 65%로 나타났다.

  • PDF

지렁이 꼬리 재생시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Activity During Earthworm Tail Regeneration)

  • 탁은식;조성진;김재영;이규석;박순철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1-106
    • /
    • 1999
  • 지렁이 꼬리재생 초기에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은 세포외기질의 재구성에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렁이의 꼬리 재생 중에 발현된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과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지렁이의 꼬리 재생 중에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최소 7개이며 그 분자량은 각각 58, 45, 32, 27, 23, 19 그리고 12kDa로 측정되었다. 피브리노겐 분해효소의 활성은 절단 후 1일부터 효소의 활성이 나타나서 7일까지 거의 유사한 정도의 활성이 유지되었으며, 7일 이후부터는 이 효소들의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14일에는 그 활성이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지렁이 꼬리 재생 중 발현된 모든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PMSF와 aprotinin를 처리하였을 때 효소들의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Ca$^{2+}$의 제거는 이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지렁이 꼬리재생시 발현되는 피브리노겐 분해효소는 serine계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Geostatistical Analysis of Soil Enzyme Activities in Mud Flat of Korea

  • Jung, Soohyun;Lee, Seunghoon;Park, Joonhong;Seo, Juyoung;Kang, Hoje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2호
    • /
    • pp.93-96
    • /
    • 2017
  • Spatial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variabl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spatial heterogeneity of those variables in intertidal flat. Variograms were constructed for understanding spatial autocorrelations of variables by a geostatistical analysis and spatial correlations between two variables were evaluated by applications of a Cross-Mantel test with a Monte Carlo procedure (with 999 permutations).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pH, nitrate, sulfate, chlorid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four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beta}-glucosidase$, N-acetyl-glucosaminidase, phosphatase, arylsulfatase), and bacterial diversity in soil were measured along a transect perpendicular to shore line. Most variables showed strong spatial autocorrelation or no spatial structure except for DOC. It was suggested that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sediment might controls DOC. Intertidal flat sediment appeared to be spatially heterogeneous. Bacterial diversity was found to be spatially correlated with enzyme activities. Chloride and sulfate were spatially correlated with microbial properties indicating that salinity in coastal environment would influence spatial distributions of decomposition capacities mediated by microorganisms. Overall, it was suggested that considera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intertidal flat sediment should be included when sampling scheme is designed for decomposition processes in intertidal flat sediment.

국내산 침엽수 목분의 진탕배양에서 나타난 Fomitopsis palustris의 효소 활성 및 셀룰로오스 분해 (Enzyme Activities and Cellulose Degradation of Domestic Softwoods in Shaking Culture of Fomitopsis palustris)

  • 최두열;이영민;김영균;윤정준;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6호
    • /
    • pp.91-99
    • /
    • 2007
  • 소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등 국내산 침엽수 목분을 기질로 진탕배양했을 때 갈색부후균인 Fomitopsis palustris로부터 분비된 당 분해성 균체 외 효소는 Endoglucanase (EG), $\beta$-glucosidase (BGL) 및 $\beta$-1,4-xylosidase (BXL)와 함께 결정형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Cellobiohydrolase (CBH)도 활성을 갖은 것으로 나타났다. 4주간 배양에서 변재는 심재에 비해 큰 효소활성을 나타냈으나, 배양기간을 증가시킴으로써 효소활성이 커지는 것으로 밝혀져 효소에 의한 목질바이오매스 분해의 경우 심변재 혼합처리도 가능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그리고, 균체 의 단백질을 SDS-PAGE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수종에서 나타나는 효소의 단백질 패턴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효소를 이용한 목질계 바이오매스 분해의 경구 수종별 혼합처리도 가능함이 시사되었다. F. palustris에 의해 분해된 목분(60 mesh 통과) 셀룰로오스의 결정화도 감소율은 4주 배양에서 약 4.2~20.4%, 8주 배양에서 약 12.9~28.9% 수준으로 나타났다.

녹강균(Metarhizium anisopliae)의 최적 배양조건 및 효소활성 (Optimal Culture Condition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y of Metarhizium anisopliae)

  • 박영일;한영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7-102
    • /
    • 2000
  • 녹장균(Metarhizium ansiopliae)을 생물살충제로서 활용할 목적으로 녹강균의 균사생육 및 포자형성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균사외 분비 효소 활성에 대하여 조사였다. M. anisopliae DGUM35001의 균사 생장을 보여주었으며, 공중균사는 SDPY 사용시 가장 우수하엿다. 최소배지로 Czapek-Dox 한천배지를 사용하여 탄소원 이용성 실험의 결과, 단당류에서 glucoserk 이당류에서 sucrose가 가장 우수한 탄소원이었다. 고분자 물질로 chitin 사용시 우수한 균사 생육을 보여주었다. 유기질소원으로 bacto-peptone과 soytone아 무기질소원으로 urea와 ammonium phosphate가 우수한 균사생육을 나타내었으며, 아미노산으로 serine 첨가시 가장 우수한 균사 생육을 나타내었다. Starch배지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포자형성의 결과를 얻었다. 액체배양후 군사를 제거한 상등액을 조효소액으로 사용시 analyase와 prorease 효소 활성이 우수하였다. 그러나,;ipase와 chitinase 효소활동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 PDF

A New Record of Penicillium antarcticum from Marine Environments in Korea

  • Park, Myung Soo;Lee, Eun Ji;Fong, Jonathan J.;Sohn, Jae Hak;Lim, Young Woon
    • Myc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09-113
    • /
    • 2014
  • During a survey of marine fungi from the waters surrounding Jeju Island, Korea, several Penicillium strains were isolated from seawater and marine sponges.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and RNA polymerase subunit II, four strains were identified as Penicillium antarcticum, a fungus tha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had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Here, we provid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the four strains.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rtar for Restraining Surface Algal Growth

  • Park, Soon-young;Kim, Jinhyun;Kang, Hoje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5권2호
    • /
    • pp.82-87
    • /
    • 2018
  • Proliferation of algae on the surface of concrete or mortar in aquatic habitat has a negative impact on maintenance of concrete-based structures. Growth of algae may decrease stability of structure by bio-deterioration.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unctional mortar for restraining bio-deterioration by using $Cu^{2+}$ ion. The mortar contains soluble glass beads made of $Cu^{2+}$ ion, which can dissolve into water slowly. Mortars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 of glass beads (0, 2, 5, 10, and 15%) were placed in a culture medium with algae and incubated over a month period. Water chemistry, chlorophyll-a,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incubation was conducted in both freshwater and seawater conditions, to assess applicability to both aquatic conditions. Overall, mortar with Cu glass exhibited lower chlorophyll-a content, suggesting that the functional mortar reduced algal growth. DOC concentration increased because debris of dead algae increased. Cu glass also decreased phosphatase activity, which is involved in the regeneration of inorganic P from organic moieties. Since, P is often a limiting nutrient for algal production, algal growth may be inhibited. Activities of ${\beta}$-glucosidase and N-acetylglucosaminidase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ecause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may not be influenced by the Cu glass beads. Our study suggests that functional mortar with Cu glass beads may reduce the growth of algae on the surface, while it has little environmental impact.

제주전통된장으로부터 세포외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Producing Extracellular Enzymes from Jeju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 오유성;박지은;오현정;김정현;오명철;오창경;오영주;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3
    • /
    • 2010
  • 제주 전통된장으로부터 세포외효소(protease, fibrinolytic enzyme, amylase, cellulase, lipase) 분비능이 우수한 세균을 분리한 후 16S rRNA 유전자 분석과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균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Protease 분비능은 JR14, JR19, JR25, JR32, JR38, JR47과 JR64가 표준균주인 Bacillus subtilis KCCM12027보다 활성이 높았다. Amylase 분비능은 JR6, JR25, JR38, JR56, JR81에서 나타난 반면 표준균주인 KCCM12027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Cellulase 분비능은 JR6, JR14, JR48과 JR65가 다른 분리균주 또는 표준균주보다 높았으며, lipase 분비능은 JR14와 JR48이 높았다. 혈전용해 활성은 positive control인 plasmin의 용해 영역에 비하여 JR19가 192%로 가장 높았고, hemolysis 활성도 높았다. 혈전용해능이 있는 균주인 JR19, JR32, JR47, JR64의 배양액을 zymography한 결과, 25~75 kDa 사이에서 4~5개의 밴드가 확인되었다.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모두 Bacillus species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혈전용해능이 가장 우수한 JR19는 B. stratosphericus $41KF2a^T$와 거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