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nal radiotherapy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8초

처방선량 및 치료기법별 치료성적 분석 결과에 기반한 자궁경부암 환자의 최적 방사선치료 스케줄 (Optimum Radiotherapy Schedule for Uterine Cervical Cancer based-on the Detailed Information of Dose Fractionation and Radiotherapy Technique)

  • 조재호;김현창;서창옥;이창걸;금기창;조남훈;이익재;심수정;서양권;성진실;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43-156
    • /
    • 2005
  • 목적: 고선량률 강내근접치료와 외부방사선의 병합치료는 자궁경부암의 표준치료법이지만, 최적의 병합 방식 및 선량 분할 스케줄은 아직 정해지지 않고 있다. 부분적으로는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다양성 및 기존의 문헌들의 방사선 선량에 관한 자세한 정보 부족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선량률 강내근접치료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단일기관에서 비교적 균일한 치료를 받은 많은 수의 환자 모집단을 대상으로 이들 다양한 인자들 및 방사선치료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통해서 최적의 방사선치료를 위한 지침을 얻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부터 1996년까지 연세암센터에서 고선량률 강내근접치료 및 외부방사선치료로 자궁경부암에 대한 근치적 치료를 받은 74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중앙추적관찰 기간은 52개월이었다. FIGO 병기 분포는 IB 198명, IIA 77명, IIB 364명, IIIA 7명, IIIB 89명, IVA 8명이었다. 전골반방사선 선량은 $23.4\~59.4$ Gy (중앙값 45 Gy)의 분포를 보였으며, 진단 시 종양의 크기 및 외부방사선치료에 대한 종양의 반응에 따라서 그 시기를 조절하는 중앙차폐는 495예에서 시행되었으며, 그 시기는 $14.4\~43.2$ Gy (중앙값 36.0 Gy)로 비교적 광범위하고 다양한 분포를 보였다. 강내근접치료와 외부방사선치료의 분할 선량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생물학적 유효선량(Biologically Effective Dose, BED)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종양 및 정상 조직에 대한 $\alpha/\beta$비는 각각 10 및 3으로 하였다. 모든 개별 환자의 직장 전벽 및 방광 흡수선량을 분석하였고, 합병증 및 골반제어율과의 상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외에도 방사선치료 스케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인 총 치료기간, 강내근접치료의 분할 선량 크기, 주치의의 선호도에 따른 치료 스케줄 차이 등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RTOG Grade 1-4독성 발생률은 $33.1\%$였다. 전체 환자의 5년 골반제어율은 $83\%$로 분석되었다. 중앙차폐이전 외부방사선선량과 강내근접치료의 합산 BED값(=MD-BED $Gy_{\alpha/\beta}$$\alpha/\beta$=10인 경우 $62.0\~121.9\;Gy_{10}$ (중앙값: $93.0\;Gy_{10}$)의 분포를, ${\alpha/\beta}=3$인 경우 $93.6\~187.3\;Gy_3$ (중앙값=$137.6\;Gy_3$ )의 분포를 보였다. MD-BED $Gy_3$는 직장합병증 발생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방광합병증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장합병증과의 연관성은 MD-BED $Gy_3$보다 개별 환자의 직장전벽 총 선량 BED값인 R-BED $Gy_3$가 훨씬 더 높았다. 요도카테터 풍선의 후방지점이 대변하는 방광의 총 선량 BED값인 V-BED $Gy_3$도 방광합병증과 경향성 테스트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하지만, 어떠한 방사선선량도 골반제어율과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기관에서 주치의의 선호도에 따라 강내근접치료가 외부방사선치료의 중간에 시행되는 형태인 샌드위치기법과 외부방사선치료 후반부에 시행되는 순차적 기법으로 구분하였을 때, 두 방식간 치료성적 및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 총 치료기간에 대한 분석에서는 치료기간이 길어질수록 재발 위험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나이 및 병기, 종양의 크기, MD-BED $Gy_{10}$ 등의 예후 인자를 보정한 다변량분석에서는 치료기간이 100일 이상인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강내근접치료 분할선량 크기인 3 Gy와 5 Gy 사이에 골반제어율 및 합병증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자궁경부암의 최적방사선치료 스케줄에 대한 지침을 세우기 어렵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강내근접치료가 갖는 선량분포 특성에서 기인하는 방사선선량-골반제어율 상관 관계의 부재 및 개별 종양의 방사선에 대한 반응 속도가 환자마다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전체적인 원칙과 함께 개인화된 맞춤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지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들의 복합적인 고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합병증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생물학적 유효선량을 낮추기 위해 적절한 조기 중앙차폐 및 강내근접치료의 분할선량 크기 감소를 고려해볼 수 있다.

External Beau Radiation Therapy of Adenocarcinoma of the Prostate

  • Han Ihn H.;Kanellitsas Christos;Rouere Janice La;Vadivel Sakthi P.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2호
    • /
    • pp.245-252
    • /
    • 1984
  • The record of radiation therapy cases during a five year period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Hospitals has been analyzed. Of a total of 73 adenocarcinoma of prostate, the majority belonged to Stage B and C which represented 49 and 20 cases, respectively. The mortality rate after irradiation was clearly related to the tumor stage. Local irradiation resulted in $88\%$ of the local control of well·differentiated adenocarcinomas. Stage C cases had $50\%$ mortality, whereas that of Stage B patients was $14\%$. Results of this study are in general agreement with previous data in terms of the local disease control after irradiation and provide a basis for conservative radiotherapy regimen as an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localized prostatic carcinomas.

  • PDF

갑상선 종양에 의한 기도협착 치험 -1례 보고- (Circumferential Resection and Direct End to End Anastomosis of Tracheal Stenosis Invaded by Thyroid Carcinoma.)

  • 변형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2호
    • /
    • pp.389-394
    • /
    • 1988
  • The patient was 22-year old male who had been suffered from labored breathing. Computerized tomography, tracheoscopy, tracheogram disclosed tracheal obstruction by external mass compression on Tl level, which ranged 4.Oem in the length and approximately 4mm in diameter on tracheogram. Under the local anesthesia, tracheostomy was done to prevent intraoperative airway obstruction. And general anesthesia, low collar incision 8z extended median sternotomy was made and nearly total thyroidectomy was performed. After the circumferential resection of the obstructed segment approximately 4cm in length[7 tracheal rings], direct end-to-end anastomosis of trachea was performed. Postoperatively, the patient`s neck was maintained in flexion state to reduce tension of anastomotic site. Postoperatively. medical therapy[Comthyroid k Calcium lactate] and radiotherapy were done. At present, 2-months after operation, he lives well.

  • PDF

두경부암의 근접방사선 치료 (Brachy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 류성렬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9
    • /
    • 1991
  • Brachytherapy is a method of radiotherapy in advantage to achieve better local control with minimum radiation toxicity in comparison with external irradiation because radiation dose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inverse square low of gamma-ray emitted from the implanted sourc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rachytherapy are delivering of higher dose to target volume shortening of total treatment period and sparing of normal tissue. Recent development of iridium ribbons for low dose rate implant provides improvement of technology of brachytherapy in terms of safety and efficiency. High dose rate method. on the other hand, is effective to avoid unnecessary expoure of medical personnel.

  • PDF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 결과 (Treatment Results of Ovarian Dysgerminoma)

  • 정은지;서창옥;성진실;금기창;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21-228
    • /
    • 1996
  • 목적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방법, 국소 제어율, 치료 실패 양상, 생존율 등 치료 성적을 분석해 보고,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13 환자들에서의 적절한 치료 방침을 찾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5년 1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연세 의대 신촌 세브란스병원, 연세암센터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34명의 난소 미분화세포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2예의 gonadoblastoma(46,XY)와 3예의 혼합 배세포종(mixed germ cell tumor)을 제외하고 나머지 순수 미분화세포종(pure dysgermlnoma) 환자 29예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치료 방법에 따라 두군으로 나누어 성적을 분석하였다. 1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21예였고,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군으로 8예였다. 대상 환자의 연령 분포는 8-39세였고 중앙치는 23세였다. 진단 시 임상 증상은 촉지되는 복부 골반부 종괴가 가장 호발하였다. 병기는 I이 23명으로 $89.3\%$로 다수를 차지하였다. 방사선치료는 병기 I, II에서는 전복부조사 20-25 Gy, 골반부에 축소하여 10-15 Gy 추가 조사하였고 종격동과 쇄골 상부의 방사선치료는 대부분 II기 이상의 진행된 병기에서 20-26 Gy 조사하였다. 환자들의 추적 관찰 중앙치는 80개월(13-201개월)이었다. 결과 :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인 1군(21예)은 전원 국소제어 및 무병 생존중이었다. 2군은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하지 않은 8예인데 이중 6예에서 국소 재발지 발생하여 4예는 구제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1예는 항암화학요법을 1예는 재수술만 시행 받았다. 구제 치료 결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4예중 3예, 항암화학요법 받은 1예 및 재수술을 받은 1예는 완치되었으나, 1예만 암종증(carcinomatosis)으로 진행되어 방사선치료후 11개월에 사망하였다. 그러므로 29예 전체의 5년 국소 제어율 및 5년 생존율은 $96.6\%$(28/29)였다. 일측 난소에 국한된 병기 la 환자 13예 중 7예는 수술 및 수술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이들은 전원 국소제어 되어 20-201개월간(중앙치 80개월) 무병 추적 관찰 중이나, 수술로 일측 난소난 관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없이 지내던 6예의 환자 중 5예에서 재발하였으나 이들 모두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재수술 등의 구제치료에 성공하였다. 즉 13예의 병기 la 환자 전원이 20-201개월간 무병 생존 중이다. 결론 : 난소 미분화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부가함으로 종양의 크기, 병기, 수술법에 관계없이 $100\%$ 국소 제어율 및 $100\%$ 5년 생존율을 획득하였다. 수술후 재발한 경우라도 암종증(carclnomatosis)이나 복부 이외의 장기에 원격 전이가 없다면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또는 재수술로 구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가임력을 보존하기 원하는 병기 la 환자에서는 보존적 수술인 일측 난관난소절제술만 시행하고 추적 관찰하는 것도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겠다.

  • PDF

자궁경부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결과 (Therapeutic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or Uterine Cervical Cancer)

  • 최두호;홍성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69-376
    • /
    • 1994
  • This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4 patients who was treated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after radic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pelvic lymphadenectomy (53 patients) or total abdominal hysterectomy(11 patients) for uterine cervix cancer between May 1980 and September 1991 at the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ogy,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Most patients were FIGO IB (31 Patients) and IIA (25 patients), and median period of follow-up was 5.1 years. Of these patients,24 received adjuvant whole pelvis irradiation of 6000 cGy and 40 received 5000-5500 cGy whole pelvis irradiation and/or intracavitary radiation (7 Patients). The actuarial overall and relapse free 5 year survival rate were $71.0\%$, $68.3\%$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s by stage were $79.1\%$ in stage I, and $61.2\%$ in stage II. Treatment failure was noted in 18 of 64 patients ($28.1\%$), Iocoregional failure in 8 ($12.5\%$), distant metastasis in 8 ($12.5\%$), paraaortic node metastasis in 1 and one patient and concurrent locoregional and distant metastasis. The univariat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to overall survival rate represented lymph node status, the number and site of metastatic lymph node, parametrial invasion, the thichness of cervical wall invasion, and size of cancer mass. Histology, vessel invasion, endometrial extension, hemoglobin level. resection margin status, age, radiation dose were no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Complication relating to operation and postoperative radiation were variable according to radiation therapy method: 6000 cGy RT group 8/24($33.3\%$), 5000-5500 cGy+ICR 3/7 ($42.9\%$), 5000-5500 cGy external RT only group 3/33 ($9.1\%$).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necessary in high risk patients for locoregional control and improving survival rate, and higher dose does not improve results but only increases complication.

  • PDF

암의 다발성 뼈 전이의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The Radiopharmaceutical Therapy for Multiple Bone Metastases of Cancer)

  • 최상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4호
    • /
    • pp.207-215
    • /
    • 2014
  • 암의 다발성 뼈 전이는 폐암, 유방암, 전립선암, 신장암 등 다양한 암에서 흔히 관찰된다. 뼈 전이는 뼈에 발생한 이차적인 암으로 통증, 골절, 그리고 체중을 지지하는 뼈의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어 신체활동과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뼈 전이 치료 시 병리조직소견, 환자의 전신 상태, 침범 부위, 그리고 환자의 신경학적 소견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진통제, 수술, 항암화학요법 그리고 방사선 치료 등을 시행하게 된다. 외부 방사선 치료는 전통적으로 국소 뼈 전이로 인한 통증의 치료에 이용되어왔지만 특히 유방암이나 전립선암의 다발성 골형성 뼈 전이의 경우 $^{89}Sr$, $^{186}Re$, $^{188}Re$, $^{153}Sm$ and $^{117m}Sn$ 등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치료가 시행되고 있는데, 약제 투여의 간편함, 낮은 부작용, 방사능 피폭위험에서의 안전성, 높은 치료 반응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치료로 임상에서의 유용성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국소적으로 진행된 췌장암의 치료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Pancreatic Cancer)

  • 김대용;하성환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331-335
    • /
    • 1993
  • 1981년 1월부터 1991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치료를 받은 40명의 국소적으로 절제불가능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치료를 2주의 간격을 두고 2000 cGy씩 총 4000 cGy를 조사하고 5-FU (5-fluorouracil)를 방사선조사의 각 course의 첫 3일에 걸쳐 투여한 40명의 모든 환자에 대해 분석을 하였으며 그중 23명의 환자는 방사선치료 4주 후부터 5-FU 단독 혹은 FAN (5-FU, Adriamycin, Mitomycin)을 유지요법으로 시행하였다. 생존의 중앙치는 9개월이며, 2년 생존율은 $10.0\%$이었다. 통증완화는 $70.0\%$에서 완전 혹은 부분관해를 보였다. 치료전 performance status가 중요한 예후 인자였으며 치료전 고식적 수술을 시행한 군 및 종양이 두부에 위치한 군이 의미 있게 생존율이 높았다.

  • PDF

뼈전이의 방사성동위원소 통증치료 (Radiopharmaceuticals for the Therapy of Metastatic Bone Pain)

  • 안병철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2호
    • /
    • pp.82-89
    • /
    • 2006
  • Bone metastasis is a common sequelae of solid malignant tumors such as prostate, breast, lung, and renal cancers, which can lead to various complications, including fractures, hypercalcemia, and bone pain, as well as reduced performance status and quality of life it occurs as a result of a complex pathophysiologic process between host and tumor cells leading to cellular invasion, migration adhesion, and stimulation of osteoclastic and osteoblastic activity. Several sequelae occur as a result of osseous metastases and resulting bone pain can lead to significant debilitation.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s usually required not only to address the etiology of the pain and its complicating factors but also to treat the patient appropriately. Pharmaceutical therapy of bone pain, includes non-steroidal analgesics, opiates, steroids, hormones, bisphosphonates, and chemotherapy. While external beam radiation therapy remains the mainstay of pain palliation of a solitary lesions, bone seeking radiopharmaceuticals have entered the therapeutic armamentarium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painful osseous lesions. $^{32}P,\;^{89}SrCl,\;^{153}Sm-EDTMP,\;^{188}Re/^{186}Re-HEDP,\;and\;^{177}Lu-EDTMP$ can be used to treat painful osseous metastases. These various radiopharmaceuticals have shown good efficacy in relieving bone pain secondary to bone metastasis. This systemic form of metabolic radiotherapy is simple to administer and complements other treatment options. This has been associated with improved mobility in many patients, reduced dependence on narcotic and non-narcotic analgesics, improved performance status and quality of life, and, in some studios, improved survival. All of these agents, although comprising different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fer certain advantages in that they are simple to administer, are well tolerated by the patient if used appropriately, and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the other forms of treatment. This article illustrates the salient features of these radiopharmaceuticals, including the usual therapuetic dose, method of administration, and indications for use and also describe about the pre-management checklists, and jndication/contraindication and follow-up protocol.

부적절한 수술루 침윤성 자궁경부암의 방사선치료 결과 (Radiation Therapy Results of Invasive Cervical Carcinoma Found After Inappropriate Hysterectomy)

  • 최두호;김은석;남계현;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3호
    • /
    • pp.211-219
    • /
    • 1996
  • 목적 : 상피내암, 초기 침윤성 자궁경부암, 또는 양성 질환으로 자궁적출술 받은 후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확인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치료 결과와 예후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5년 9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수술후 침윤성 자궁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전 진단은 상피내암이 가장 많았으며 (38명), 초기 침윤성 자궁암 (10명), 자궁근종 (6명)등이었다. 대부분 수술후 2개월 이내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였으며 3명은 추적검사중 재발암으로 확인되어 치료하였다. 8명은 강내치료만을, 47명은 외부 방사선치료만을, 그리고 6명은 강내치료와 외부 방사선치료를 같이 시행하였다. 결과 : 5년 생존율 및 무병 생존율은 각각 $83.8\%$, $86.9\%$ 였으며 수술 당시의 육안적 잔존병소가 있었던 경우는 $38.4\%$로 매우 낮았다. 모두 8명의 치료실패가 있었으며 예후인자로는 후향적 병기, 잔존병소 유무, 병리조직유형이 있었다. 결론 : 조기 침윤성 자궁암은 부적절한 수술후에도 방사선치료로 효과가 좋으나 잔존병소가 있는 경우에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좀 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무엇보다도 조기에 정확한 검진과 병기 결정을 시행하여 각 병기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