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nal Technology Exploita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중소 수출기업의 개방형 정보 혁신, 전략적 제휴, 수출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relationship among open information innovation, strategic alliance and export performance of SMEs)

  • 조연성;고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19-22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정보 혁신을 기술 흡수형 혁신과 기술 활용형 혁신으로 나누어 전략적 제휴 요인과 통합하여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모형의 PLS(Partial Least Square)를 사용하여 개방형정보 혁신과 전략적 제휴, 수출성과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설정한 6개의 가설을 201개 표본으로 실증분석 했다. 분석 결과 개방형 정보 혁신 중 기술 흡수형 혁신은 전략적 제휴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반면 기술활용형 혁신은 전략적 제휴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전략적 제휴는 또한 수출성과에 긍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조직문화와 기술 흡수형 혁신의 상호작용은 전략적 제휴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조직문화와 기술 활용형 혁신의 조절효과도 전략적 제휴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직문화와 전략적 제휴의 조절효과는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점에서 기여도가 있다. 향후에는 개방형 정보 혁신과 외부요인의 통합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온라인 기술시장에서 기술공급자의 기술 활용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 기업특허 특성분석을 중심으로 (The Patent Exploitation Strategy of Technology Suppliers in the Online Technology Market in Korea : An Empirical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Firms' Patents)

  • 이성기;한정희;김연배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79-398
    • /
    • 2010
  • 온라인 기술시장은 기술거래에서 발생하는 거래비용을 낮춰줌으로써 기술공급자에게 기술을 외부적으로 활용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온라인 기술시장의 존재가 기술공급자의 기술활용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내 온라인 기술시장 중 국가기술은행에 공급된 특허기술을 대상으로, 기술공급 기업이 온라인 기술시장에 제공하는 기술의 특성과 해당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기술의 특성을 비교하는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술공급 기업이 온라인 기술시장에 제공하는 기술의 특성이 진부화된 특허, 기술공급자의 특허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비핵심 기술영역의 특허, 청구항수와 발명자수가 많은 특허인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온라인 기술시장이 기술공급 기업들이 내부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기술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PDF

양손잡이 제휴(Ambidextrous Alliance)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mbidextrous Alliance on Firm Performance)

  • 정도범;곽주영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1호
    • /
    • pp.17-43
    • /
    • 2012
  • 전략적 제휴는 기업의 생존 및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획득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기술의 변화 속도가 매우 빠른 첨단 기술 산업에서는 다양한 파트너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외부 지식을 공유하고 이를 습득함으로써 기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March(1991)가 주장한 2개 유형의 활동, 즉 탐색(exploration)과 활용(exploitation) 간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둘 중 하나의 활동을 외부화하는 방법으로 전략적 제휴가 수행되기도 한다. 하지만 최근 기술경영 분야에서는 탐색과 활용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양손잡이 조직(ambidextrous organization)이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으며, 기업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활동 중의 하나인 전략적 제휴에서도 탐색과 활용 간의 균형이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탐색과 활용을 동시에 수행하는 양손잡이 제휴(ambidextrous alliance)와 기업 성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양손잡이 제휴에 대해 건수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는 전체적인 제휴 구성(alliance portfolio)과 개별적인 제휴 파트너(alliance partner) 측면으로 접근하여 탐색과 활용 간의 균형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질 것이다. 본 연구는 높은 불확실성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외부 지식의 획득이 매우 중요한 미국의 바이오/제약 산업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하였고,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자료를 수집하여 패널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증적으로 양손잡이 제휴의 중요성을 제시하며, 실무적으로도 기업의 전략적인 의사결정에서 탐색과 활용 간의 균형을 강조한다.

  • PDF

The Role of Open Business Model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Park, Hyo J.;Shin, Wan S.;Ju, Yong J.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77-496
    • /
    • 2014
  • Purpos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impact of open innovation business model in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with the data from 30 companies of manufacturing firms in South Korea. Methods: The findings provide support for distinguishing five hypotheses relating to development time, IP management, sales, firm size and R&D intensity.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using via e-mail and fax. Small and medium-sized (less than 300 employees) and large industrial firms were chosen for this study.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openness in its business mod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ccessful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and the implications are: First, as the business model gets more open, development period of technology will be more favorable which gets benefit from rising costs of innovation. Second, as the business model gets more open, large portion of sales are created from new products. Thus, the problem of shorter product life in the market which affects large portion of market revenue can be solved through an open business model. Third, in general, R&D intensity, firm size and the level of IP management affect determination of business model type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companies need to increasingly address their external technology exploitation process instead of focusing on their internal innovation processes.

The Effect of IT Human Capability and Absorptive Capacity on Knowledge Transfer

  • Park, Joo-Yeo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5권3호
    • /
    • pp.209-22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T human capability and knowledge transfer and the role of absorptive capacity between them. From the test of both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IT human capability is found to be significant to absorptive capacity and knowledge transfer. Absorptive capacity is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knowledge transfer. The interesting result found in this study is that the path of absorptive capacity drawn from IT human capability to knowledge transfer is stronger than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IT human capability and knowledge transfer, indicating that absorptive capac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knowledge transf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personnel with stronger technical skill, interpersonal skill and management capability are more likely to acquire and learn knowledge effectively from outside expertise. Moreover, this study shows that absorptive capacity, the individual’s ability to utilize external knowledge is derived from IT human capability and strongly effects on transferring knowledge from outsourcing vendors. This study suggests IT related managers that the development of IT human capability and absorptive capacity should be recognized for a successful exploitation of outside knowledge within a firm. It is also a necessary condition for a successful IT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independently and economically from outside vendors.

  • PDF

CONSTRUCTION FINANCING AND INDUSTRY DEVELOPMENT

  • Yat-Hung, Chi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962-969
    • /
    • 2009
  • The market of building construction has been competitive in Hong Kong, perhaps as anywhere else in the world. The barrier to entry is low because there are relatively low requirements on the three factors of production - technology, manpower and finance. The prevailing building technology is traditional and labour-intensive. There is also not much need of capital because clients' periodic payments have been the main source of project finance. Further, capitalizing on trade sub-contracting, contractors have been able to keep their direct labour-force small and to transfer much of their business risk to the sub-contractors. Based on interviews to solicit the perception of a sample of building contractors on the particular issues of construction finance, we present the findings in this paper and discuss the various implications. We believe that the current practice of construction financing is both the cause and effect of the competition within,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building construction sector in Hong Kong. We conclude that the building construction sector is "locked or stuck" in this "equilibrium" of traditional technology, reliance on clients' finance and exploitation of sub-contracting. In this "equilibrium" state, there is hardly any motivation for contractors to engage themselves in product or process innovation. Consequently, any talk of industry reform or innovation could only remain just that. We believe that this problem is not unique in Hong Kong. The building construction sector in many other developed and developing economies is posed with similar if not the same problems and constraints. We conclude that there has to be some "external forces" to bring this "equilibrium" state to a higher level "equilibrium" one where higher value-added building construction services are supplied and demanded. This is a state where building contractors possessing innovative technology, better financial and manpower resources could thrive to build better buildings with innovative building methods and processes.

  • PDF

한·중 황해거버넌스에 관한 고찰 (A Consideration on Yellow Sea Governance of Korea and China)

  • 조동오;주현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6-192
    • /
    • 2013
  • 황해(Yellow Sea)는 평균수심(44 m)이 낮고 한국과 중국연안에 넓은 갯벌이 있어서 1차 생산성(>300 $gC/m^2/year$)이 매우 높아 수산자원 등 해양생물자원이 풍부한 생태물리환경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황해는 중국대륙과 한반도로 둘러싸인 반폐쇄해역(49만$km^2$)의 광역해양생태계로서 오염 및 남획 등에 의한 외부충격이 심할 경우 생태계의 균형이 파괴되고 회복이 불가능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 한 중간 어업협정 이후 중국 어민의 남획 및 불법조업 그리고 한 중 연안의 과도한 개발로 인한 환경피해로 황해생태계에 심각한 충격이 가해지고 있다. 본 논문은 한 중 황해거버넌스의 주요 구성요소인 이해당사자, 법률 및 제도, 정부조직 및 정책을 고찰하고 한 중 황해국제협력인 황해광역생태계보전사업(YSLME), 북서태평양보전실천계획(NOWPAP), 한 중황해환경공동조사사업의 평가를 통해 황해의 이용 및 개발압력의 지속적 증가에 대처하는 통합적 거버넌스체계의 구축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근해 병어류의 자원생물학적 연구 6. 덕대의 자원해석과 관리 (Studies on the Fishery Biology of Pomfrets, Pampus spp. in the Korean Waters 6. Stock Assessment of Korean pomfret, Pampus echinogaster)

  • 김용문;강용주;박병하;이동우;이주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06-316
    • /
    • 1989
  • 우리나라 근해에서 어획되는 병어류의 어획물에 혼재된 "병어"와 "덕대"의 혼획비를 조사하고, 그중에서 양적으로 월등히 많은 것으로 확인된 덕대를 대상으로 실측 조사된 체급별 체장조성과 어체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여 자원해석을 실시하고 자원관리방안을 검토하였다. 병어류의 어획물중에서 덕대의 혼획비율은 중양비로써 $60\~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어획물의 체장조성은 FL 15 cm를 중심으로 한 단일 mode로 구성되고 체장조성의 연변동은 거의 없었으며, 연령조성은 1세어가 $41\~46\%$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많은 조성비를 차지하는 것은 0세어로 나타났다. 현재의 자원특성치는 다음과 같이 추정되었다. 자연사망계수(M) : 0.6 어획사망계수(F) : 0.924($1986\~1988$년 값의 평균) 어장가입년령($t_r$) : 0.19 어획개시년령($t_c$) : 0.49 0세어의 어장가입률(Q) : 0.29 가입당어획이론에 의하여 이루어진 자원진단결과 어획개시연령과 어획사망의 두 가지 기준에서 볼 때 덕대의 현재 자원상태는 적정수준이하에 있으며, 어획강도의 조절에 의한 어획량증가효과는 거의 없으므로 최선의 관리방법은 어획강도의 조절보다 어획개시년령을 현재의 0.49로 부터 1.5세 부근까지 높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한강수계 수질측정망 개선을 위한 목적 지향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Object-oriented Design for Water Quality Monitoring Networks in the Han River System)

  • 왕수균;나은혜;박석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53-460
    • /
    • 2005
  •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후반 이후 여러 기관의 상이한 필요성과 측정목적에 따라 별도의 측정망에서 수질측정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수질측정망의 분산된 운영으로 인한 일관된 측정 원칙의 결여는 수질자료의 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이는 과거 수질측정망의 확대 과정에서 과학적인 측정지점 선정 원칙이 결여된 채 수질 악화로 인한 관리의 필요성 증대에 따라 관리자의 경험과 주관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단기 수질변화 경향의 파악, 수질환경기준 위반사항 조사, 수질변화를 야기하는 외부 영향 파악, 용수이용 지원, 특정시기의 수질변화 규명 등 전통적인 측정망 운영 목적과 함께 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 따른 배수구역별 오염부하량을 산정, 과학적인 수질정책 수립을 위한 수질모델 적용 지원, 물관리정보화 지원 등 새로운 물관리 환경 변화에 따른 운영 목적에 대하여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수질자료 생산을 위한 수질측정망의 측정 지점 선정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한강수계에 적용하여 수질측정망의 개선 확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