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nal Fuel Tank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8초

Store Separation Analysis of a Fighter Aircraft's External Fuel Tank

  • Cho, Hwan-Kee;Kang, Chi-Hang;Jang, Young-Il;Lee, Sang-Hyun;Kim, Kwang-Ye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1권4호
    • /
    • pp.345-350
    • /
    • 2010
  • The repetitive vibrating action of an aerodynamic load causes an external fuel tank's horizontal fin to experience a shorter life cycle than its originally predicted one. Store separation analysis is needed to redesign the fin of an external fuel tank. In this research, free-drop tests were conducted using 15% scaled models in a subsonic wind tunnel in order to analyze the store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an external fuel tank. The store separation trajectory based on grid tests was also obtained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free-drop tests. The results acquired from the free-drop tests correlated well with the grid tests in regards to the trajectories and behavior of the stores separated from the aircraft. This agreement was especially not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store separation.

분리하중에 대한 항공기용 외부연료탱크 구조 건전성 평가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of Aircraft External Fuel Tank for Separation Loads)

  • 김현기;김성찬;박민수;안수홍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4-71
    • /
    • 2024
  • 항공기 외부연료탱크는 항공기의 항속거리를 증가시키는 주요 구성품으로써, 비상시 파일런에서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어야 된다. 이 때, 외부연료탱크의 핀(fin)과 피벗(pivot)에는 분리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외부연료탱크의 안정적인 분리를 위해서는 핀과 피벗의 구조 건전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로부터 외부연료탱크가 분리 될 때 외부연료탱크의 핀과 피벗의 구조건전성 검증을 위해 수행된 구조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문에서는 구조시험에 사용되는 유압 및 하중제어장비, 데이터 획득장치 그리고 공압공급장치로 구성되는 시험구성도를 설명하였고, 각 시험조건에 대한 시험설치와 시험하중 인가계획을 제시하였다. 구조시험 결과, 각 시험조건에서 시험하중과 시험체의 내부압력이 허용 범위 내에서 적절히 제어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시험체에서도 심각한 구조적 결함이 발생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최종적으로, 설계 제한하중과 설계 극한하중에 대한 구조시험을 통해서 본 연구의 항공기용 외부연료탱크 핀과 피벗은 충분한 구조 강도를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슬로싱 운동에 의한 회전익항공기 외부연료탱크 체결부 하중 및 구조건전성 평가 (Assessment of Structural Soundness and Joint Load of the Rotorcraft External Fuel Tank by Sloshing Movement)

  • 김현기;김성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605-611
    • /
    • 2019
  • 항공기가 급격한 기동을 하는 경우에는 연료의 쏠림에 의해 상당한 하중이 관련 구성품들에 작용하는데 심각한 상황에서는 구성품이나 배관의 파손이 발생하여 연료탱크 외부로 연료가 누설될 수 있다. 특히, 외부 연료탱크가 장착된 경우에는 슬로싱 운동에 의해 외부 연료탱크 체결부에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해당 하중을 반영하지 않은 설계로 인하여 체결부의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항공기 안전 뿐만 아니라 승무원의 생존에도 악영향을 미칠수가 있다. 따라서, 따라서, 항공기 및 승무원의 생존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료 슬로싱 운동에 의한 하중을 고려하여 연료탱크와 내부 부품뿐만 아니라 체결부에 대한 설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익항공기용 외부 연료탱크의 슬로싱 시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기법으로 유체-구조 연성해석의 하나인 ALE 방법을 사용하였고 미군사 규격에서 요구하는 시험조건을 수치해석에 적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로 외부 연료탱크 체결부 하중을 계산하여 체결부 설계시 고려해야 하는 하중 수준을 검토하였다. 또한, 슬로싱 운동에 의해 금속피팅부와 복합재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응력수준과 안전여유 분석을 통해 구조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150갤런 복합재 외부연료탱크 설계 및 시험평가 (On the Design and Test for the 150 Gallon Composite External Fuel Tank)

  • 장인기;김창영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22-27
    • /
    • 2007
  • The 150 gal Ion EFT(External Fuel Tank) used to enlarge the aircraft operation range was adopted an import equipment in T-50 FSD phase. But in Production phase the EFT was planed to develop for the stable ILS(Integrated Logistics Support) and technical ability improvement by using the composite materials. The design for configuration and fuel system is intended to maintain compatibility with aircraft systems and the development test is performed on component, assembly and aircraft. This study is conducted to provide the technology of design and test for the 150 gallon composite EFT in LRU level. The test results show that the composite EFT is satisfied with structural, functional and environment requirements which are described in specification.

  • PDF

전투기 외부 연료 탱크의 종방향 정안정성 및 투하 궤적 해석 (Analysis of the Longitudinal Static Stability and the Drop Trajectory of a Fighter Aircraft's External Fuel Tank)

  • 강치행;조환기;장영일;이상현;김광연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4-27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원 형상에 비해 20% 축소 설계된 수평 핀을 부착한 전투기의 외부 연료 탱크의 정적인 세로 안정성을 해석하고 투하궤적을 분석하였다. 얇은 에어포일의 공력 자료를 이용하여 연료 탱크의 정적 피칭 안정성을 해석한 결과는 풍동 실험 결과와 거의 일치하였다. 연료탱크의 6자유도 운동방정식에 대한 수치적인 모사에서 얻은 낙하 궤적을 실제 모델의 투하 실험 궤적과 비교 분석한 결과 투하 시 항공기의 자세가 연료 탱크의 수직 이동 궤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수평 이동 궤적에는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이론 해석 및 실험 결과의 분석을 통해 재설계 핀을 부착한 외부 연료 탱크를 비행 중 항공기로 부터 분리할 때 비행운용 규범을 기준으로 수행한다면 항공기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음이 검증되었다.

회전익항공기용 외부 보조연료탱크 충돌충격시험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f Crash Impact Test for External Auxiliary Fuel Tank of Rotorcraft)

  • 김현기;김성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724-729
    • /
    • 2017
  • 회전익항공기용 연료탱크의 중요한 성능 중의 하나인 내충격성능은 충돌충격시험을 통해 검증된다. 충돌충격시험은 작용하는 하중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실패 위험이 큰 시험인데, 만약, 연료탱크가 내충격 요구조건을 불만족하게 되면 항공기 전체 개발 일정에 심각한 차질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설계단계부터 연료탱크 충돌충격시험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실물시험에서의 실패 가능성을 최소화 하려는 노력이 수행되어 왔다. 최근, 국내개발 회전익항공기의 항속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외부 보조연료탱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외부 보조연료탱크의 내충격 성능의 검토를 위해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충돌충격시험에 대한 수치해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수치해석 방법으로는 유체-구조 연성해석 방법인 입자법을 적용하였고, 미군사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시험조건을 해석조건으로 반영하였다. 또한, 실물 연료탱크 소재의 시편시험을 통해 기 확보된 바 있는 물성데이타를 수치해석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로 연료탱크 외피 및 피팅 부위의 등가응력을 계산하고 내부 장착품의 거동과 작용 하중을 분석함으로써 외부 보조연료탱크의 내충격성 설계를 위한 데이터 확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외부연료탱크의 분리 안정성 검증을 위한 지상 분리시험 (Ground Separation Test to Verify Separation Stability of External Fuel Tank)

  • 김현기;홍승호;하병근;김성찬;이준원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99-104
    • /
    • 2022
  • 항공기 파일런은 엔진이나 외부장착물을 주날개에 연결하고 파일런 자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항공기의 주구조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긴급상황이나 임무수행시 파일런에 탑재된 외부장착물을 분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외부장착물 분리과정에서 주변기류나 기능적 문제로 외부장착물의 분리가 적절히 수행되지 않으면 항공기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항공기 적용 전에 파일런으로부터 외부장착물의 분리 안정성이 입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장착물인 외부연료탱크가 파일런으로부터 안전하게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지상분리시험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험 결과로, 외부연료탱크가 시험치구로부터 분리된 후 투하 움직임을 고속카메라로 계측하고, 파일런으로부터 외부연료탱크의 분리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시험결과는 실제 항공기에서의 외부장착물 분리 안정성 평가에 대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체 중앙에 연료탱크를 장착한 전투기의 섬광탄 운용 방안 연구 (A Study of Flare Operation Method for The Fighter with An External Center Fuel Tank)

  • 강치행;장영일;권기범;윤용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616-62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센터 파일론에 150갤런 외부 연료 탱크를 장착한 전투기의 전술기동 중 섬광탄 운용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운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섬광탄 발사시 투하 궤적 및 외부 연료 탱크 수평 핀의 손상 범위를 풍동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1) 섬광탄 발사 각도를 조정하는 방안과 2) 핀의 형상을 변경하는 방안을 비교 검토 및 실용성을 분석한 결과 핀을 재설계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풍동실험을 통하여 재설계한 수평 핀을 장착한 외부 연료 탱크의 투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회전익항공기 외부 보조연료탱크용 복합재 컨테이너 조류충돌 수치모사 연구 (Study on the numerical simulation of bird strike for composite container of external auxiliary fuel tank for rotorcraft)

  • 김현기;김성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709-713
    • /
    • 2017
  • 일반적으로 항공기용 연료탱크는 평상시에는 연료 보관이 주요 기능이지만, 추락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연료탱크의 건전성은 승무원의 생존 가능 여부와 직결된다. 특히, 항공기의 외부 보조 연료탱크가 조류충돌(bird strike)에 의한 파손으로 누유가 발생하게 되면 승무원의 생존성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항속거리 확장을 위한 보조연료탱크가 항공기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류충돌에 대한 연료탱크의 건전성 입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보조연료탱크용 복합재 컨테이너의 조류충돌 상황에 대한 영향성 분석을 위해 충돌해석 전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모사를 위해 컨테이너 구조물은 쉘 유한요소를 사용하여 유한요소로 모델링하고 유체와 조류는 입자법을 사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로 조류충돌에 의한 내부 유체의 거동을 살펴보고 구조물의 최대 변형량과 변형률을 계산하였으며 보조연료탱크 장착용 복합재 컨테이너의 최대응력 수준을 파악하여 외부 보조연료탱크 개발 초기 단계에서 조류충돌 영향성을 반영하기 위한 데이터 확보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외부위협체의 충돌에 의한 연료탱크의 순간화재 발생가능성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Flash Fire of Fuel Tank by Plate and Projectile Impacts)

  • 이은민;박영주;이해평;이창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2-67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vulnerability of the situation in which combat system is shot by external projectile impacts. In developing combat system, it is vital to consider the survivability as well as its mission capability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loss of lives. Especially, when the parts which are susceptible to fire are shot under battle situation, the system is exposed to the dangerousness and the situation when the parts such as fuel tanks are impacted by external projectile impacts can lead to flash fire as a result of the leakage of fu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flash fire was calculated by analyzing a variety of variables supposing that fuel tank in the combat system is sho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ffective methods in the basic steps when combat system is desig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