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ressing Emotions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3초

현대 남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키치(Kitsch) 특성 (Kitsch Features Expressed in Contemporary Men's Collection)

  • 유현서;윤정아;이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25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features in contemporary men's collection to provide data for characteristics of kitsch in men's collection. The research method was to see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kitsch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s, the Internet, paper. Five designers' collections that have characteristics of kitsch were selected. The range of collection is from the 2000 S/S to 2011 F/W in Men's colle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kitsch characteristics could be classified by amusements, inappropriateness, satire. First, exaggerative amusements in men's collection appeared exaggerated form, large size, which is ridiculous at the same time. Infantile amusements represents the image of a pure concentric matching accessories such as toys to the children express. sensual amusements reveals the sexual instincts and desires and people can feel satisfaction through sensual amusements. Second, inappropriateness is characteristic of kitsch to escape from normal life. Clothing does not fit the body and destroyed the design or design of this feature appears. It looks clumsy and strange. Inappropriateness characteristic in men's collection can be divided into inadequate performance and sexual inappropriateness. Third, satire can be divided into resistant satire, imitative satire, and popular satire. Resistance satire with anti-social tendencies through their clothing is achieved by expressing their needs. It was affected by sub-culture like Hippie or Punk. Imitative satire is to imitate other culture, customs and race. It is to resolve complaints through the consumption of things in disparities of wealth and materialism in the society. Popular satire is to express emotions that are free using materials that can recycling like can, bottle or paper.

  • PDF

불안의 생물학적 근원 (The Neurobiology of Anxiety)

  • 석정호;김세주;김찬형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13
    • /
    • 2005
  • Anxiety is one of the basic emotions which human experiences across different cultures in the world and it can be observed in mammals. Our understanding of the neurobiology of this emotion has made some advances, even though it has not been completed, with the development and advance in the investigation method including neuroimaging, neurochemical, and genetic approaches. In this article, the neuroanatomical and neurochemical basis of anxiety is reviewed. The amygdaloid complex has been known to playa key role in processing of anxiety or fear. It has extensive afferent and/or efferent connections with cortical and subcortical structures. The mesial temporal structures including hippocampus appear to be involved in acquisition of anxiety and related behaviors. The prefrontal cortical structures appear to play important roles in conscious awareness of anxiety and in modulating anxiety and related behavior. The bed nucleus of the stria terminalis (BNST) is known to playa critical role in unconditioned fear response. The central noradrenergic system and hypothalamo-pituitary-adrenal axis are known to play important roles in modulating and expressing anxiety-related responses. Anxiety has been gathering attentions from many investigators and numerous preclinical and clinical investigations of anxiety and anxiety disorders have been done. In particular, neural plasticity in critical period and the psychobiological factors related to resilience to extreme stress and anxiety are important issues in this field.

  • PDF

Building Living Lab for Acquiring Behavioral Data for Early Screening of Developmental Disorders

  • Kim, Jung-Jun;Kwon, Yong-Seop;Kim, Min-Gyu;Kim, Eun-Soo;Kim, Kyung-Ho;Sohn, Dong-Seop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47-54
    • /
    • 2020
  • 발달장애는 영유아 기부터 시작하는 뇌 신경계 발달장애들의 집합으로 언어 및 의사소통, 인지력, 사회성 등의 측면에서 이루어져야 할 발달이 심하게 지체되거나 성취되지 않은 장애를 의미한다. 이러한 발달장애 진단에는 아동의 얼굴 표정과 같은 감정표현의 의미와 맥락 등 비언어적 반응에 대한 관찰로 이루어진다. 이를 사람이 측정기에는 상당히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하게 되어 객관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아동의 언어, 비언어적 행동 반응을 관찰하는 ADOS(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와 BeDevel(Behavior Development Screening for Toddler) 검사에서 검사자와 피검사자간의 상호작용이 녹화된 영상을 리빙랩 환경에서 획득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비정상적/상동적 행동 인지 기술 개발에 필요한 영상 및 음성 데이터 확보를 목표로 한다.

Haar-like와 베지어 곡선을 이용한 얼굴 성분 검출 (Facial Detection using Haar-like Feature and Bezier Curve)

  • 안경준;이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311-318
    • /
    • 2013
  • 얼굴 검출 기법들의 경우 조명과 배경에 따라 검출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의 눈과 입의 성분을 분석하여 인간의 감성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처리속도가 빠르고 환경 요소들에 강인한 검출율을 보이는 얼굴 특징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방법은 적분 이미지를 적용한 Haar-like Feature기법을 이용하여 얼굴 성분(두 눈, 입)을 검출한 후, 색상 정보를 바탕으로 검출된 성분들을 이진화하고 피부영역과 얼굴 성분영역을 구분한다. 그 후, 빠르고 정확한 shape를 생성하기 위해 베지어 곡선을 이용하여 검출된 성분들의 shape를 생성한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Face Recognition Homepage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정교한 얼굴 성분 검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캘리그라피에 특화된 래스터 이미지 확대 방법 (A Raster Image Scaling Method focused on Calligraphy)

  • 안지혜;박진호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0
    • /
    • 2015
  • 사람들이 감성을 중요시하게 되면서 캘리그라피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캘리그라피에서는 획, 점, 삐침뿐 아니라 갈라점과 농담(뽑淡)을 동해 희노애락(편感哀樂) 감은 감성을 표현한다. 하지만 캘리그라피를 다양한 크기의 인쇄물에 사용하기 위하여 디지탤 작엽을 할 때 갈라점과 농담은 소실될 수 있어 이들이 표현하는 감성이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캘리그라피를 사용한 이미지 편집을 위해 전문가는 스캐너를 동해 얻은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로 작엽하지만 일반 사용자들은 스마트 폰으로 촬영한 낫은 해상도의 이미지로 작엽한다. 우리는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해상도가 낫은 캘리그라피 이미지를 다양한 크기의 인쇄물에 사용 가능하고, 갈라점과 농담이 주는 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캘리그라피에 특화된 래스터 이미지를 확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방법은 래스터 기반에서 이미지를 확대할 때 문제가 되는 경계를 재 채색한다. 재 채색을 할 때 이미지 그라디언트(Image-gradient)를 사용하여 엘리어싱을 감소시키고 금자 이미지를 더옥 선명하게 하며, alpha 값을 사용하여 붓의 갈라점과 농담이 주는 감성을 유지한다.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에 나타난 조형 분석 연구 (A study on anlysis of modeling from the short story 'When Buckwheat Flowers Bloom' of Lee Hyoseok)

  • 최산;박승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73-378
    • /
    • 2019
  • 다양한 문화와 문명 속에서 예술가들은 새로운 무언가를 창작하기 보다는 고전의 아름다움을 재해석하고 현대에 맞게 정의 하는 새로운 발상을 시도하고 있다. 즉, 현대의 문화 트렌드는 넘쳐나는 많은 정보들 속에서 고전의 감성과 예술가의 현대적 감각이 합쳐지는 새로운 문화가 수행되고 있는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의 변화에 맞춰 다양한 문화와 디자인의 결합을 시도하고자한다. 소설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에 나타난 개인의 심리적 정서, 불가능한 체험의 세계를 표현한 특징을 바탕으로 현실과 상상 속 이분화 된 세계의 경계 부분인 불완전한 의식 영역은 사고와 잠재적인 세계로서 독자로 하여금 상상력을 일으키며, 이러한 문학적 서정성은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분야이다. 또한 시각화하기 좋은 언어의 구성으로 연구자는 소설 속에서의 언어를 바탕으로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적, 심상적 아름다움을 디자인의 소재로 활용하여 조형분석 하고자 한다.

억울 경험의 과정과 특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Eogul')

  • 서신화 ;허태균 ;한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4호
    • /
    • pp.643-674
    • /
    • 2016
  • 한국 사람들에게 억울은 자신이 처한 상황 또는 마음상태를 묘사하는 유용한 수단이자 화병에서 자살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람들이 어떤 경우에 억울함을 느끼며 어떤 방식으로 이를 해소하는지, 억울하다는 것을 어떠한 의미로 받아들이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억울에 대한 이해를 보다 명확히 하기위해 2개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한국인들이 억울이라는 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상황과 억울을 경험하는 전반적인 과정을 조사하여 억울 경험의 구조와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억울함은 자신의 일을 주관적으로 부당하다고 인식하고 여기에 부정적인 정서가 따름으로써 경험되는 보편적인 과정을 거쳐 발생하였다. 하지만 어떠한 상황을 부당하다고 여기는지 그리고 억울을 어떻게 표현하며 해소하는지는 각 문화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연구 2에서 억울 경험 과정에 연관된 문화적 맥락(주체성-대상성-자율성 자기관,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관, 느슨한-경직된 체계특성, 권위주의 성향)이 억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억울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드러난 MZ세대의 감성과 여론조사 간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s of the MZ Generation Revealed in Online Communities and Public Opinion Surveys)

  • 최한별;김수림;양희동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1-118
    • /
    • 2023
  • The 'MZ generation' is accustomed to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opinions online. As a result, the role of social media in understanding the opinions and public sentiment of the MZ gener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In particular, the role of social media in understanding the opinions of young people in political contexts such as policies and elections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Traditionally, in such political situations, various institutions conduct opinion surveys to grasp the opinions of the people. However, existing opinion surveys have many errors and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specific opinions of the entire population since they are conducted on arbitrary individuals through survey techniques. Online communities are representative social media that share the opinions of the public on specific issues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Therefore, online communities are widely used as a mean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opinion polls. In particular, the MZ generation is familiar with online platforms, and their political suppor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lection results and policy decisions. With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timent reflected in online community text data by age group on major candidates and public opinion survey support rates during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for those in their 20s. The analysis showed that negative sentiments reflected in online communities by the MZ generation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ublic opinion survey support rat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ory and practice by revealing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ocial media and public opinion polls.

대사를 생명력 있게 만드는 멘탈 이미지의 하위양식 (Sub-modality of Mental Images to Make lines Alive)

  • 최정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19-129
    • /
    • 2019
  • 연기교육에서 기존의 화술교육은 장단음 찾기, 자음과 모음의 조음연습, 딕션연습 등 대사를 표현하는 기술적인 측면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교육으로 대사가 말처럼 살아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대사가 살아나는 순간은 배우가 대사를 말하는 사이 단어 이면의 멘탈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보는 순간이다. 필자는 뇌과학 분야에서 인지뇌과학과 NLP (Neural Linguistic Programing)의 지식을 빌려와 멘탈 이미지가 무엇인지, 왜 멘탈 이미지가 생각과 감정의 기본 요소인지를 추적한다. 또한, 멘탈 이미지를 섬세하게 떠올리는 과정(하위양식)에서 신체의 근육들이 어떻게 반응하게 되고, 그 반응하는 근육들을 이용해 어떻게 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의 말하기 재료들(강세, 사이, 피치, 억양 등)이 살아나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화술교육에서 왜 멘탈 이미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는지를 증명한다. 결론에서는 멘탈 이미지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배우가 만나게 되는 장애물에 대해 열거하고, 장애물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로 '호흡의 활성화'를 후속논문으로 계획한다.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Depression and Emotional Balance of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 Moon, Ju Ran;Yoo, Yong Kweon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7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depression and emotional balance of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Ten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registered in the Mokpo branch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were selected, and participated in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mposed of 14 sessions from May 15 to July 31.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planting tropical orchids,' 'making a dish garden,' 'making plum pickles,' 'decorating a table with flowers,' 'making a hanging pot with succulent plants,' 'making pressed flowers with hydrangea,' 'making a fan with pressed flowers,' 'making a terrarium,' 'making a flower basket,' 'making a mosquito repellent spray,' 'decorating a heart-shaped cup with flowers,' 'making a natural herbal soap,' 'making a hydrangea bouquet' and 'making watermelon salad.' The depression and emotional balance scales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the pre- and post-program scores were compared. The mean value of depres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49.0 points before the program to 43.9 points after the program. In addition, the mean value of emotional balanc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0.3 points before the program to 2.3 points after the program. The activity of drawing a picture after each session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positive emotional balance by expressing emotions through pictures. The programs preferred by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 included 'making plum pickles,' 'making pressed flowers with hydrangea,' 'planting tropical orchids,' 'making a mosquito repellent spray,' 'making a natural herbal soap,' and 'making watermelon salad.' In conclusi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were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emotional balance of women with hearing impai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