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licit explana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Rule Extraction from Neural Networks : Enhancing the Explanation Capability

  • Park, Sang-Chan;Lam, Monica-S.;Gupta, Amit
    • 지능정보연구
    • /
    • 제1권2호
    • /
    • pp.57-71
    • /
    • 1995
  • This paper presents a rule extraction algorithm RE to acquire explicit rules from trained neural networks. The validity of extracted rules has been confirmed using 6 different data sets.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we conclude that extracted rules from RE predict more accurately and robustly than neural networks themselves and rules obtained from an inductive learning algorithm do. Rule extraction algorithm for neural networks are important for incorporating knowledge obtained from trained networks into knowledge based systems. In lieu of this, the proposed RE algorithm contributes to the trend toward developing hybrid and versatile knowledge-based system including expert systems and knowledge-based decision su, pp.rt systems.

  • PDF

The English Cause-Focused Causal Construction

  • Kim, Ya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61-166
    • /
    • 2020
  • The primary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resultative adjunct clause, i.e., (thus/thereby/hence) ~ing participle and provide explicit syntactic, semantic and sociolinguistic explanation on the question what causes the cause-focused causal construction with resultative (thus/thereby/hence) ~ing participle in English. What comes first is either cause or effect clause. This study explores the recent style shift of causal constructions from the effect-focused pattern to the cause-focused pattern. In this study, we argue that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cause-focused main clause with a resultative ~ing participle clause shows the process of the style evolution improving speech/wring style in many respects including syntactic simplification, clarification of the sentence meaning with impact on the focused clauses, and improvement of the flow of speech/writing. The style shift found in the English resultative adjunct clauses, i.e., (thus/hence/thereby) ~ing participle constructions prove to be the style evolution from syntactic, semantic and sociolinguistic point of views.

Teaching Models for Scientific Inquiry Activity through the Nature of Science (NOS)

  • Park, Jong-W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59-767
    • /
    • 2008
  • This article arose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suggested a synthetic list for the nature of science (NOS),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S and scientific inquiry and the development of the NOS in the context of scientific inquiry. In this article, for teaching scientific inquiry through the NOS, I proposed three teaching models - reflection, interaction, and the direct model -. Within these teaching models, understanding the NOS is viewed as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improved performance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reflection model, the NOS is embedded and reflected in scientific inquiry without explicit introduction or direct explanation of the NOS. In the interaction model, concrete interaction between scientific inquiry and the NOS is encouraged during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direct model, subsequent to directly comprehending the NOS at the first stage of activity, students conduct scientific inquiry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NOS. The intention of this present article is to facilitate the use of these models to develop teaching materials for more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초등 예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성한 과학적 추론의 인식론적 의미 - 증거-설명 연속선의 관점 -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of Scientific Reasoning Design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uring Their Simulation Teaching: Evidence-Explanation Continuum Perspective)

  • 맹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09-126
    • /
    • 2023
  •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가 모의수업 시연에서 구성한 과학적 추론을 증거-설명의 연속선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들의 과학적 추론이 갖는 인식론적 의미를 조사하였다. 연구를 위해 계절 변화에 관한 모의 수업을 시연한 예비교사 2명, 고기압과 저기압 및 바람에 관한 모의수업을 시연한 예비교사 2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예비교사의 교수발화 중에서 귀납적, 연역적(가설-연역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의 사례가 드러난 에피소드에서 각 추론이 증거-설명의 연속선의 단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비교하여 예비교사의 과학적 추론이 가진 인식론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모의수업을 시연했던 두 예비교사는 학생들이 수집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증거를 인식하였고, 증거와 가설을 비교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가설-연역적 추론을 활용하여 설명을 구성하였다. 고기압과 저기압 및 바람의 방향을 주제로 모의수업을 시연했던 두 예비교사는 모둠별 데이터를 종합하여 증거로 인식하는 귀납적 추론과 선형적 논리 구조를 가진 연역적 추론을 설명구성 전략으로 선택하여 최종 설명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은 유사한 주제의 모의수업 시연에서 대체로 비슷한 흐름의 과학적 추론을 활용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였으나, 증거-설명의 연속선에서 데이터, 증거, 모델, 설명으로 전개되는 인식론적 의미 측면에서 조금씩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공통적으로 증거에서 모델을 탐색하는 과학적 추론은 부족하였으며, 가설이나 설명모델을 추리하기 위한 귀추적 추론이 부재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틀로 적용했던 증거-설명의 연속선 접근은 과학적 추론의 인식론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하며 대안적인 과학적 추론 함양 지도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 (Types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Appeared in Challenge Math in the 5th and 6th Grade Math Teacher's Guidebooks)

  • 임영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2호
    • /
    • pp.143-160
    • /
    • 2022
  • 본 연구는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 및 육성이 가능한 수학적 사고의 유형을 정리하고,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구상한 뒤,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에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우리나라 초등학교 5, 6학년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도전 수학'은 계획 수립, 실행의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지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유형의 문제로 구성이 되어있다. 다만 자세한 보조문항으로 인하여 의도된 수학적 사고만이 발현될 것이 우려되며, 스스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지는 불분명한 경우가 많았다. 둘째, 교사용 지도서의 문제 이해 단계와 반성 단계의 발문이 매우 전형적으로 제시됨으로써 해당 단계에서는 다양한 수학적 사고를 유발하기 어렵다. 셋째, 교사용 지도서에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이 부족하며 추후 개발될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수학적 사고에 대한 명시적 설명을 보완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형태에 초점을 맞춘 교수가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 영작문 교육을 위한 탐색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on EFL learners' English writing ability: An inquiry for teaching business English writing)

  • 김부자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1호
    • /
    • pp.77-98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focus-on-form instru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accuracy in writing and to make some suggestions regarding education in business English writing. For this purpose, an experiment, of which the participants were 29 college sophomores taking a course in business English, was made. The learners received instruction in the English nouns followed by modificatory phrases or clauses through the focus-on-form techniques, feedback and explicit expla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who received focus-on-form instruction improved accuracy in writing. Seco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s and the effects of focus-on-form instruction. Third, the high level learn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focus-on-form instruction than the low level ones. To promote accuracy in written business communica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First, focus-on-form instruction should be incorporated into a content-based business English class. Second, repeated focus-on-form instruction is needed. Third,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focus-on-form instruction is given.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Knowledge Sharing and Enterprise Performance: Evidence from Vietnam

  • HOANG, Thanh Nhon;TRUONG, Cong Bac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11호
    • /
    • pp.133-143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enterprise performance with knowledge sharing as the mediator. By employing the data of 677 respondents collected from delivering questionnaires to small and medium-size firms in Vietnam in 2020, this study suggests a two-step approach that combines exploration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path analysis (SEM). The empirical findings significantly support our proposed model by demonstrating that knowledge sharing mediates the connection between all three elements of social capital and enterprise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sharing as a major benefit of social capital and a substantial driving element of both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all three social capital qualities (structural, relational, and cognitive) significantly impact both tacit and explicit knowledge sharing, while knowledge is one of the main routes connecting social capital to enterprise performance. Hence, our research model may be used in future studies to evaluate social capital, knowledge sharing, and firm performance as a new theoretical model. Our results offer a plausible explanation for how social capital improves knowledge sharing and enterprise performance.

'마른 장마'는 진정 형용모순인가?: 장마와 자연종 (Is 'Dry Changma' a Case of Contradictio In Adjecto?: Changma and Natural Kinds)

교사-학생 상호작용간의 과학논증 탐색: 인식론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Exploring Scientific Argumentation from Teacher-Student Interaction with Epistem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 박영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06-117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논증을 인식론적 (사고과정) 및 심리학적 (사고유형) 관점에서 탐색하여 어떠한 사고과정 및 유형으로 교사가 학생들의 논증 형성 능력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35년의 교사경력을 지니고 있는 교사 및 그의 26명 학생의 과학수업 60시간을 관찰하고,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학생들의 논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두 개의 도구, 즉 인식론적 및 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참여자인 교사는 학생들의 논증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하여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한 명시적인 교수법 "주장-근거 교수법"을 수업 시간에 활용하였다. 논증을 두 개의 다른 관점으로 분석해 본 결과, "보기" 또는 "예"를 이용한 사고과정에서는 "정교성" 사고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모든 탐구의 시작인 가설을 세우기 위해 학생들은 "귀납" 사고과정으로 "일반화" 사고유형을 통해 탐구의 시작단계인 본인들의 "주장"을 형성하였다. 좀 더 높은 수준의 논증은 다른 지식이나 경험을 통한 개념의 "일관성" 사고 과정을 통해 교사의 도움에 힘입어 학생들이 "설명"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논증 기회에서 확인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스스로 논증을 형성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 조력자,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을 평가하는 것이 아닌 좀더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확장시켜 주는 정교자 (elaborator), 그리고 학생들의 논증 수준이 높아질 수 있도록 논증을 추적하여 발전시켜주는 멘토로 확인되었다. 논증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사들은 학생들이 과학의 참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논증 기회를 제공하는 명시적인 교수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겠다.

펜 입력 장치 환경을 고려한 컨텍스트 기반 Annotation ((Context-based Annotation for Pen Input Device Environment))

  • 김재경;손원성;임순범;최윤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5_6호
    • /
    • pp.559-569
    • /
    • 2003
  • Annotation은 개인의 의견, 해설, 요약 등을 표기한 것으로써, 현재 전자문서 환경에서annotation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annotation의 기능성에 치중하여 직관적인 펜기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일부 시스템에서도 원본 문서와 annotation의 관계가 명확하지 못하여 재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문서에서 펜 입력 장치 환경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annotation 모델링을 정의하고, 이를 활용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annotation 유형, 문서의 컨텍스트 정보, 그리고 annotation과 원본 문서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모델링 정보에 기반한 펜기반 annotation 입력 인터페이스 와 annotation DTD를 정의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펜기반 입력 환경에서 컨텍스트 기반 annotation의 정확한 정의가 가능하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앞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