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tial avoidanc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 봉은주;김윤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21-129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남지역 소재의 일개 대학교에 1-2학년에 재학 중인 총 283명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Sobel test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경험회피, 우울, 스마트폰 중독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경험회피는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과 모두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서도 경험회피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험회피가 간호대학생의 우울이나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정신건강문제를 발생시키는데 핵심기제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정신건강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 동안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경험회피 정도를 우선적으로 확인하고, 경험회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부모의 문제음주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아동기 외상경험, 경험회피, 우울의 다중매개효과 (Impact of Parents' Problem Drinking on Suicidal Ideation of Their University Student Children :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hildhood Trauma, Experiential Avoidance and Depression)

  • 이은숙;봉은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65-57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about impact of parents' problem drinking on suicidal ideation of their children who ar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hildhood trauma, experiential avoidance, and depression based on stress-vulnerability model. Methods: A purposive sample of 400 university students was recruited from three universities in provincial area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and November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Multiple mediating effects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 and bootstrapping were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Results: We foun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parents' problem drinking, but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hildhood trauma and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parents' problem drinking and depression (B=.38, p=.001). The path from parents' problem drinking to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childhood trauma and depression (B=.02, p=.016) and by childhood trauma, experiential avoidance, and depression (B=.05, p=.011), but experiential avoida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B=.02, p=.616).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in order to decrease depression and prevent suicide of university students, considering of parents' problem drinking and childhood trauma, intervention methods that decreased chronic use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trengthen acceptance should be developed and made available to them.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on Subjective Well-Being: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 박영례;조성호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1호
    • /
    • pp.49-62
    • /
    • 2018
  •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21일부터 24일까지 전국의 일반 성인 28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통 감내력 부족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 수용 행동 질문지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온라인 조사 전문업체에 의뢰하여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통 감내력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경험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주관적 안녕감과 경험회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험회피는 유의한 수준에서 고통 감내력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검증을 위하여 편향수정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고통 감내력이 경험회피를 거쳐 주관적 안녕감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반인의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경험회피를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고려사항에 대해 논하였다.

미혼남녀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관계중독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 Avoidance)

  • 김가연;박정윤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30권2호
    • /
    • pp.221-238
    • /
    • 2024
  • 본 연구는 미혼남녀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경험회피가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이성 교제 중인 만 20~29세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2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과 PROCESS MACRO v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혼남녀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경험회피는 관계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미혼남녀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경험회피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미혼남녀의 관계중독 경향을 낮추기 위해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향상시키고 내적 경험을 수용하도록 돕는 상담적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관계중독을 발생시키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미혼남녀가 안정적인 관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관계중독 경향을 감소시키는 상담 개입의 근거자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to Depress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xperiential Avoidance)

  • 오예람;송원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50-160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우울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를 탐색하였다. 전국의 성인 201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수용-행동 질문지-II, 우울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Pearson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을 실행하였고, 간접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정서표현 양가성, 경험회피는 우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결과를 바탕으로 우울을 높이는 변인으로써 정서표현 양가성과 경험 회피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정서표현 양가성, 경험 회피, 우울의 통합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경험 회피를 이용한 치료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어판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Korean translate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Questionnaire)

  • 정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17-526
    • /
    • 2018
  • 본 연구는 $G{\acute{a}}mez$, Chmielewski, Kotov, Ruggero와 Watson이 개발한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요인, 50문항이 확인되었다. 50문항 전체의 내적 합치도 계수는 .91이었다. 대학생 315명에게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를 실시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275명에게 수용 행동 질문지II, 사고억제 질문지, Toronto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 신경증, 회피적 대처, 한국판 CES-D, 한국판 Beck 불안 척도, 한국판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함께 실시하여 다차원적 체험회피와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다차원적 체험회피 질문지는 수렴, 변별, 준거타당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 및 우울 장애에 있어서 불확실성에 대한 불내성의 역할 (The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 이준엽;이상혁;서호석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
    • /
    • 2013
  • Intolerance of uncertainty (IU) is defined as the tendency to react negatively on an emotional, cognitive, and behavioral level to uncertain situations and events. However, this definition is somewhat categorical and does not explain the phenomenology of IU.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IUS), the standard measure of IU, was considered to have two factors : 'unacceptability and avoidanc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leading to the inability to act'. IU may be a cognitive vulnerability factor for clinical worry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 number of moderators and mediators including cognitive avoidance, experiential avoidance and rumination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U, worry,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xious and depressive symptoms. IU may be more strongly related to the symptoms of GAD than to symptoms of other anxiety disorders including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IU may serve as an important transdiagnostic feature across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Incorporating IU-specific treatment components into therapeutic protocols may result in pervasive benefits, and not only for those with GAD or OCD, but for people with any anxiety disorder or with depression.

수용전념치료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 나의현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51-55
    • /
    • 2018
  •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is a functional contextual intervention approach based on the behavioral theory on human language, which views human suffering as originating in psychological inflexibility fostered by cognitive fus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us, the goal of ACT is to enhance psychological flexibility using six core processes including acceptance, cognitive defusion, self-as-context, contact with present moment, values clarification, and committed action. Recent clinical trials have suggested the efficacy for ACT in the treatment of various mental illn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e aim of this review is to offer more knowledge and better understanding of ACT by presenting its underlying principle and an overview of the research field.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위한 마음챙김기반 치료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 홍현미;정영은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22
  • Mindfulness has been widely researched in mental, physical health, and healthy populations. The effectiveness of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have also been demonstrated in research studies. This report reviews the research on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s currently employed for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indfulness-based theories postulate that symptoms of PTSD are developed and maintained by experiential avoidance and non-mindful behaviors. Recent emerging work indicates that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s, such as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ay improve the symptoms of PTSD. Further advances are neede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bility of mindfulness based interventions to target specific symptom dimensions of PTSD and the psychological/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ctions underlying these interventions.

근친 성학대 피해 아동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 쉼터에서 생활하는 아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daptation Process About Sexually Abused Children by Kin and Kith - With a Focus on the Children at the Shelter -)

  • 한인영;김진숙;박명숙;유서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199-240
    • /
    • 2008
  • 본 연구는 성학대가 피해 아동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이들의 내면세계를 살펴봄으로써 성학대를 경험한 아동들의 적응과정과 경험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학대 경험이후 쉼터에서 생활하는 만 8세부터 16세까지의 아동 13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원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0)이 개발한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결과 근친성학대를 받은 뒤 쉼터에 생활하는 아동의 적응과정의 핵심적인 주제는 '남과 동일한 모습으로 대해주기를 원함'으로 나타났다. 자료분석을 근거로 중심현상은 '피해자 비난'으로 상정하였고 인과적 조건은 '조각난 가정', '반인륜적인 성학대', '성학대의 공론화', '핏줄의 덫' 등 네 가지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가족이라는 이름의 굴레', '최후의 보루로서의 가족', '구조적 침묵강요' 등 세 가지로 상정하였다. 중재적 조건은 '쉼터에 대한 이중적인 감정'으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전략은 '폭력의 후유증'과 '벗어나고자 함' 두 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결과는 '미래에 대한 준비'과 '불투명한 미래'로 상정하였다. 분석결과 과정분석은 혼란단계, 비밀유지단계, 외부누설단계, 외부개입단계, 사회적 지지단계, 도전 및 순응단계로 나타났다. 유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축회피형', '현실안주형', '극복도전형' 세 가지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방안과 개입전략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