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d depression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초

외상 후 정신 장애의 장해 평가에 대한 정신과 전문가의 일반 의견 (Opinion of Experts about Psychiatric Evaluation after Trauma in Korea)

  • 이병철;류성곤;정한용
    • 생물정신의학
    • /
    • 제15권4호
    • /
    • pp.310-315
    • /
    • 2008
  • Objectives : The evaluation of disability after trauma in psychiatry is relatively subjective compared with other departments. A consensus among evaluators could improve reliability of evaluations. We compared disability rate of common psychiatric disorders without definite brain injury depending on their diagnosis from experienced evaluators in Korea. Methods : A written questionnaire was mailed to each evaluator and the reply was analyzed. The questions included disability rate ranges of postconcussional syndrome, PTSD and depression. Other questions related with admission for evaluation, expected duration of treatment, life expectancy and need of supporting person were also asked. Results : Range of disability rate were from $8.6{\pm}4.5%$ to $26.6{\pm}12.8%$ in postconcussional syndrome, from $10.4{\pm}6.8%$ to $36.4{\pm}13.8%$ in PTSD and from $10.0{\pm}4.6%$ to $30.6{\pm}10.3%$ in depressive disorder. There were lots of diversity in expected duration of treatment with psychiatric disability. Decline of life expectancy and need of supporting person were considered at least 50% of disability. Conclusion : There is much diversity in evaluation of psychiatric disabilities with disability rate and expected duration of treatments even among experienced evaluators. A common consensus among experts may increase reliability of psychiatric evaluations after trauma.

  • PDF

주택환경이 노년기 보행기능제한, 장애 및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among walking limitation, disability and depression of older people)

  • 구본미;임은정;채철균
    • 한국노년학
    • /
    • 제40권3호
    • /
    • pp.543-563
    • /
    • 2020
  • 사람들은 노화가 진행되고 신체기능이 저하될수록 집 안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주택환경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그동안 주택환경과 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으나, 신체기능이 저하된 노인의 장애 발생과 우울에 미치는 주택환경의 영향을 밝히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기능제한과 장애, 그로 인한 장애와 우울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주택환경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2018년 서울시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응답자를 제외한 총 3,02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분석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주택환경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보행기능제한(OR=1.487, 95% CI: 1.250 - 1.770), IADL장애(OR=1.594, 95% CI: 1.303 - 1.949)와 우울(OR=1.943, 95% CI: 1.553 - 2.430)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택환경은 보행기능 제한이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 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며 보행기능제한을 경험하는 노인의 IADL장애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주택환경은 보행기능을 통제한 후에도, IADL장애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열악한 환경에 거주하는 IADL장애 노인의 우울 수준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년기 장애와 우울을 예방하고, 자신의 집에 오래 머물러 살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개입전략으로서 노인의 신체적, 기능적 특성을 반영한 주택환경 개선사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노인 아증후군적 우울증 환자의 인지기능 및 삶의 질 저하 (Cognitive Impairment and Decreas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Subsyndromal Depression)

  • 류재성;김문두;이창인;박준혁
    • 생물정신의학
    • /
    • 제20권2호
    • /
    • pp.45-53
    • /
    • 2013
  • Objectives Non-major depression with fewer symptoms than required for a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diagnosi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has consistently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In this study, we aim to estimate the cognitive impairment and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patients with subsyndromal depression (SSD) compared with non-depressive elderly (NDE). Methods The Korean version of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was administered to 194 outpatients with depression and 108 normal controls. SSD is defined as having five or more current depressive symptoms with core depressive symptoms (depressive mood or loss of interest or pleasure) during more than half a day and more than seven days over two weeks. Depression was evaluated by the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of a 15-item short version. Global cognition was assessed by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version of CERAD assessment packet (MMSE-KC).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was assessed by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 Questionnaire. Quality of life was evaluated by the Korean Version of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MMSE-KC in the SSD group was lower than that in the NDE group with adjustment for age, gender, and education [F = 4.270, p = 0.04,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If we defined those having Z-score of MMSE-KC < -1.5 as a high risk group of cognitive impairment, the odds ratio for the high risk group of cognitive impairment was 1.86 [95% confidence intervals (CI) 1.04-3.34] in SSD and 7.57 (95% CI 3.50-16.40) in MDD compared to NDE. The scores of physical component summary (F = 9.274, p = 0.003, ANCOVA)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F = 53.166, p < 0.001, ANCOVA) in the SSD group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DE group with adjustment for age, gender, and education. Conclusions The subjects with SSD, as well as those with MDD, showed impairment of global cognition and also experienced low quality of life in bo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compared to the NDE group.

아동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과 성별 간 다집단 분석- (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 김재엽;황현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3호
    • /
    • pp.105-133
    • /
    • 2016
  • 본 연구는 아동학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를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소재 중 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총 1,601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서울시와 인천시, 경기도)에서 각 권역별로 유의 표집한 중학생 및 고등학생 1,601명이었다. 각 변수의 실태파악을 위해 기술통계, t-test를 실시하였고 조절효과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39.9%, 즉 10명 중 4명 정도의 청소년이 최근 1년 간 아동학대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학대 피해경험 수준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24.5%, 즉 4명 중 1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학대는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남학생의 경우 아동학대가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학생의 경우 우울을 거쳐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성별을 고려하여 청소년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언하였다.

시설거주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기초생활수급권자 입소노인을 중심으로- (Effect of Relational Aggression on Depression of Nursing Home Residents -Focusing on Low-income Elderly-)

  • 김동배;민정선;정규형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203-227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이 경험하는 관계적 공격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설적응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기초생활수급자 대상 노인전문요양시설 3곳과 노인요양시설 3곳에서 182부의 설문지를 회수해서 분석의 근거로 삼았다. 그리고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등을, AMOS 7.0 프로그램을 사용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했다. 그밖에 Sobel test를 이용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했다.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에서 생활하는 노인들 사이에 나타나는 관계적 공격성과 우울감 사이에는 통계적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 간의 관계적 공격성이 우울감 사이에 시설적응의 매개효과가 있다. 즉, 시설에서 관계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노인들의 시설적응은 낮아지고, 시설적응이 낮을수록 노인들의 우울감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들 사이의 긍정적인 유대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새로운 입소노인들이 기존 입소노인들과 함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건강프로그램, 종교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공통된 관심사를 통해 상호관계를 증진시키도록 한다. 둘째, 노인들의 시설적응을 돕기 위한 방안으로써, 개인용품을 시설에 반입하는 허용 범위를 넓히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노인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괴롭힘 같은 부정적 관계가 발생하는 상황을 중재 혹은 예방 및 경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해당 시설에서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지역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특성과 우울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 유선영;이다영;이정현;김지애;전경선;김도훈;심민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4-93
    • /
    • 2019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s it is seen to be corresponding with the work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Methods : The data of 671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uly to December 2015 as a part of an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Likewise,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a short form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the results of which were evaluated and reviewed. Results : The study noted that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related to depression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fter adjusting for age and job grade.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variables of job insecurity, lack of reward,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 depressed mood in the participant in a general sense. Notably, the factor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ed mood among the general administrative group; meanwhile, lack of reward in the welfare group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 the technical grou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a depressed mood in participants reviewed. I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group, job insecur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depressed mood, whereas job demand was related more with the incidence of depression in the field work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epression vari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work environment. These findings may be used to enhance the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according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to bring awareness to this issue.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Marital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Democratic Parenting of Father)

  • 조설애;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6권4호
    • /
    • pp.435-456
    • /
    • 202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양육으로 조절된 결혼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아동패널조사 8차년도의 워킹맘 610명과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 워킹맘의 결혼만족도 및 우울의 설문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결혼 만족도는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워킹맘의 일-가족 갈등, 결혼 만족도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은 조절된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남편의 민주적 자녀 양육이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결혼 만족도를 보호함으로써 워킹맘의 우울을 완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일-가족 갈등을 경험하는 워킹맘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결혼 만족도를 증가시키고, 남편의 양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who visited a senior center: with activity of daily living, quality of sleep and depression)

  • 김은하;이지원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425-440
    • /
    • 2009
  • 본 연구는 복지관 이용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우울과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복지관 이용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측면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22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일대일 면담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피어슨상관계수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복지관 이용 노인은 87.9-97.3%가 일상생활 수행에 제한을 느끼지 않았고, 34.1%가 수면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57.8%가 우울증의심을 나타냈다. 둘째, 건강관련 삶의 질은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에서 우울이 가장 강력한 설명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를 지속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간호중재방안의 모색과 더불어 우울예방을 위한 교육 및 스크리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Correlation of commute time with the risk of subjective mental health problems: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 Hyo Choon Lee;Eun Hye Yang;Soonsu Shin;Seoung Ho Moon;Nan Song;Jae-Hong Ryoo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5권
    • /
    • pp.9.1-9.10
    • /
    • 2023
  • Background: Studies conducted so far on the link between commute time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s remain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e time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using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Methods: Self-reported commute time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 30 (group 1), 30-60 (group 2), 60-120 (group 3), and > 120 minutes (group 4). Subjective depression was defined as a score of 50 points or less on the WHO-5 well-being index. Subjective anxiety and fatigue were defined as answering 'yes' to the questionnaire on whether they had experienced it over the past year. The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χ2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commute time,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according to commute time were calculat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djusted for sex,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company size, weekly working hours, and shift work status. Results: Long commute times showed increased ORs and graded increasing trends fo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The ORs for de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06 [1.01-1.11]), group 3 (1.23 [1.13-1.33]), and group 4 (1.31 [1.09-1.57]) compared to group 1 (reference). The ORs for anxie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17 [1.06-1.29]), group 3 (1.43 [1.23-1.65]) and group 4 (1.89 [1.42-2.53]). The ORs for fatig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09 [1.04-1.15]), group 3 (1.32 [1.21-1.43]), and group 4 (1.51 [1.25-1.82]).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risk of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increases with commute time.

A Caring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among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A Quasi- Experimental Pilot Study

  • Kim Goun;Kim, Heejung;Park, Jeongok;Kang, Hee Sun;Kim, Soojin;Kim, Sunah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00-513
    • /
    • 2023
  • Purpose: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post-traumatic stress (PTS) than men, causing several health problems. Nurses should understand and work with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and provide interventions to promote their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pilot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4 women recruited between December 2019 and May 2020 from a self-sufficiency support center in South Korea for sexually-exploited women who had experienced trauma.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one-on-one intervention sessions per week for six weeks. Each session averaged 60~120 minutes.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and one-month follow-up. Changes in outcome variables over time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and Friedman tests. Results: The caring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was divided into six sessions: understanding the self, sharing traumatic events and negative emotions, reframing the meaning of traumatic events, identifying thoughts and physical and emotional responses, developing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maintaining a positive attitude during the process of change. As a result of the caring program, PTS (F = 36.33, p < .001), depression (F = 24.45, p < .001), health-promoting behaviors (F = 7.06, p = .004), and self-esteem (F = 19.74, p < .001) among the participants differed significantly at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 theory-driven program by nurses in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s to provide comprehensive care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