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Based Design

검색결과 2,087건 처리시간 0.033초

Research on the Features of VR Marketing Design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 Sui, Qiao;Cho, Dong-Mi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537-545
    • /
    • 2022
  • Emotional experience (James, 1884)[1] can affect people's behavior. There are few types of research on VR marketing(Maojun Zhou, Zeru Yan, 2018)[2] design based on emotional experience. This article is based on emotional evaluation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and the VR marketing case "Buy+" online shopping platform (Wu Yongyi, 2016). It is concluded that there are three levels of emotional experience definition on VR marketing which decompose the features of the VR marketing design of "Buy+ as an online-shop" correspondingly and find out the design features of VR marketing from the perspective of emotional experience.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data, it verified that vividness, functionality and effectiveness could represent the features of VR marketing design. Moreover, it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se factors. Vividness and functionality have the closest relationship among them. The definition, the components, and the correlation of the three-layer emotional experience obtained from this research can provide theoretical support and reference for other VR marketing designs.

사용자 경험 디자인과 미니멀리즘 비교 (Comparing User Experience-based Design and Minimalism)

  • 조동희;임병우;조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45-154
    • /
    • 2008
  • 모더니즘의 끝자락이자 포스트모던의 출발점 사이인 미묘한 시점의 순수예술에서 시작된 미니멀리즘은 Fine Art에서 그치지 않고 건축, 의상, 디자인 등 전반적인 조형분야와 다양한 분야에 그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러한 미니멀리즘과 최근 디지털 디바이스 환경에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역사적, 이론적으로 비교 고찰해 봄으로써 디지털 환경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프로세스가 단순히 실용적인 디자인 테크닉에 머무르지 않고 보다 체계 있는 학문적 이론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미니멀리즘의 속성 및 사조에서 매우 유사한 동질성을 발견 하였고, 그 동질성을 바탕으로 미니멀리즘과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학술적, 이론적 정리를 진행하여, 향후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의 학문적, 철학적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E-customized Product: User-centered Co-design Experiences

  • Li, Pei;Liu, Zi Y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9호
    • /
    • pp.3680-369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ient users' touchpoints in co-design experience, to identify their need via visualized experience map, to recommend valid design information in online e-customization services. A user-centered co-design experience map (UCEM) is adopte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users' desire and time spent, so as to evaluate the online co-design experiences. Based on evolutionary algorithm and fuzzy theory, data of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30 participants.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in SPSS, and frequency query and word cloud in NVivo. Employing design category and evaluating users' time spent, the findings are that (a) vamp color matching is consistent with interview data; (b) supported by qualitative feedback, the virtual experience ma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co-design process and the visualized interaction process; and (c) participants prefer to get more information and professional help on color matching and exterior design. Based on the findings in design category, future work should be focused on develop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design resource recommendations and multi-stakeholder communication.

건축문화유산의 공간경험 디자인 - 지능형 콘텐츠 서비스 플랫폼과 정보표현체계 - (Designing Augmented Spatial Experiences of Architectural Heritage - Information Modeling for Intelligent Content Service Platform -)

  • 장선영;김성준;김성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4호
    • /
    • pp.15-24
    • /
    • 2019
  • Currently, museums and architectural heritage provide augmented user experiences by incorporating various media technologies. They still, however, suffer from the limitation of entertainment-based and the provision of location-based simple and repetitive contents. In addition, while acting as a key medium of experience for architectural heritage, the concept of space is not properly reflected in current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user space experience considering such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spatial experience content and content production platform are defined. This software platform creates content that enhances the experience of the place by giving a context-based digital data associated with space and objects. The spatial experience content is designed as a series of experience sequences. The composition of the sequence borrows the method of film and narrative which segment and connect consecutive experiences on a scene basis considering user's detailed spatial experience. Therefore, content components can be combined and reproduced in various types. Augmented contents were extracted by using rule-based reasoning function of ontology at the moment. As a practical example of architectural heritage, the Seokjojeon Hall is used to reveal a spatial experience scenario.

브랜드 경험(Brand Experience)디자인 시스템 개발사례 연구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개발사례 중심으로- (Case Study about BX(Brand Experience) Design System Development -Focusing on JUNGGANEGOTGAN Brand-)

  • 김성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8-46
    • /
    • 2018
  • 본 연구는 브랜드 경험(BX : Brand Experience) 기반의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개발사례에 관한 연구로, 2018년 1월 - 4월에 진행된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 개발 사례를 토대로 연구 하였다. 브랜드의 경험은 소비자의 주관적이며 내적인 반응이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포함한 브랜드 디자인의 자극을 통해 발생하는 소비자의 반응이다. BX 디자인은 브랜드의 경험을 바탕으로 브랜드와 관련된 자극으로 브랜드디자인의 자극물과 소비자가 브랜드와 접촉을 통해 일어나는 반응이 서로 상호작용 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경험이 발생한다. BX 디자인의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브랜드의 다양한 접점에서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한 브랜드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특정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BX디자인을 기반으로 진행된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디자인 시스템의 개발 전략과 함께 최종 완성된 브랜드 디자인 시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정가(家)네곳간 브랜드 경험 디자인의 조형성과 연상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0.961, p<.001).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는 조형성(${\beta}=.443$, p<.001), 연상성(${\beta}=.218$, p<.001)순으로 브랜드 디자인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용 마스크의 요구사항 및 만족도 (Requirements and satisfaction with medical masks)

  • 박영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1호
    • /
    • pp.1-17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requirements for medical masks and difference in satisfaction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s experience caused by wearing medical masks. Three factors related to requirements for medical masks were identified: wearing comfort and usability, blocking function for harmfulness, and design.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for requirements of medical mask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ll three facto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occupation. Design did in age and monthly income.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breathing difficulties experience, design factor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skin trouble experience, wearing comfort and usabil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medical mask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 experience caused by wearing medical masks, breathing, ear string tightness, blocking harmful substances, price, and over all wearing comfor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marital status, age,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and the presence of absence of breathing difficulty experience and skin trouble experience,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effect analysis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ide effects experience caused by wearing medical masks, it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monthly income, between marital status and monthly income, between monthly income and breathing difficulties experience, and between monthly income and skin trouble experience.

체험 마케팅에 의한 직업체험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어린이 직업체험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Experience Facilities in Accordance with Experience Marketing - Focused on Vocational Experience Facilities for Children -)

  • 주희문;변대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08-116
    • /
    • 2013
  •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view the way of experience element and property of space design appearing in vocational experience space and accumulate basic study material for children's vocational experience space and build systematic and specialized modules. Analysing the marketing elements of experience space through pilot research to arrange frame of analysis, and in a determined range, experimental marketing's property appearing in children's vocational experience center is analysed. This researcher analysed experimental displaying space's function of recognition, emotional, behavior, sense marketing and experimental marketing induced from pilot research on space design expressive elements of experimental marketing when it is applied to spaces through the frame of analysis with the combination of total 8 kind's experience display space function such as investigative, conceptional, aesthetic, entertaining, logical, relative, participating, and comprehensive experience based on 5 vocational experience spac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opened after 2010, being operated at present with more than 500 pyeong (about 1,650 square meter) and targeted for children, after this researcher visited the site directly to make check list with the frame of analysis together with the staff and administrator in charge of vocational experience education. As a conclusion, vocational experience center is a space of edutainment helping children experience various profession more easily to find their interest and to bring up their dream. By analysing current vocational experience center through the element called experimental marketing, current status of vocational experience center could be known. the experience itself in vocational experience center becomes a merchandise. Instead of mere experience, so as to get professional experience and new information, new experiences should be provided by incessant variation and development. This study is to build basic research data for children's vocational experience space, however not only drawing specialty of vocational experience center through the connection of enterprises based on the contents arranged above but also systematic and specialized modules are expected to be built in next researches.

경험디자인의 구성과 적용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Design Construction and Its Application Model)

  • 윤세균;김태균;채승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89-298
    • /
    • 2003
  • 21세기는 소비자의 내외재적 경험을 중시하는 경험경제(Experience Economy)의 시대라고 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새로운 관점에서 소비자의 욕구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간 전문가 중심적 관점의 디자인 개발은 제품의 사용성이나 조형성 개선에 주력하였으나 이제는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경험 전반에 무게를 두는 진전된 개념을 적용하도록 요구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가치체계에 대한 연구를 디자인의 중심적 지식기반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가장 핵심적인 내용의 하나가 경험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다. 이런 배경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제품디자인에 있어 '경험(experience)'의 개념을 소비자의 삶의 중요한 측면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두 번째, 경험디자인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며, 마지막으로 그 디자인 실무를 위한 적용체계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전개는 경험론(Empiricism)과 존 듀이(John Dewey)의 이론을 기반으로 경험개념을 밝혔고, 경험의 의미와 유형을 디자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경험을 유발하는 구성인자를 도출하여 이를 디자인의 전개 체계와 적용 모형으로 설정하여 디자인에 활용 가능한 방법론이 되게 하였다. 제시된 적용 모형의 내용은 인간과 환경이 상호관계(interaction)하는 방식에 대해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경험 유형과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독특한 경험대상을 체득하게 하며 동시에 다양한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경험디자인은 이와 같은 모형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출될 수 있는 경험을 사용자 목표에 맞게 계획하고 설계하여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제품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PDF

중국 스마트 호텔의 사례 연구를 통한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Customer Experience Design through analyzing Smart Hotels in China)

  • 루쉬안;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5-124
    • /
    • 2021
  • 코로나(COVID-19) 폭발로 인해 비접촉 서비스의 특징과 장점이 갈수록 두드러졌고 스마트호텔의 발전이 가속화되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접촉점에서고객 체험 과정에 발생하는 스마트 서비스 체험을 식별, 분류 및 정의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스마트 호텔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연구 토론해 보았다. 스마트 호텔의 스마트 체험 인자와 고객 접촉점을 활용하여 분석 프레임 워크를 디자인하였다. 이로써 중국에서 선별된 스마트 호텔에 대해 현장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한다. 사례 분석 결과를 보면 스마트 호텔의 고객 체험 디자인이 교호성, 개별화, 접근 가능성, 정보성, 프라이버시 안전성에 어느 정도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미래의 스마트 호텔 CX 디자인이 개인화된 서비스 관련 체험을 개발하기 위해 데이터를 통합하는 방향으로 발전하는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