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7초

수도권 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계약직 취업경험: 고용형태 및 처우를 중심으로 (Contract Employment Experiences of Visiting Nurses at Public Health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rea: Focused on Employment Type and Treatment)

  • 김희걸;장숙랑;진영란;허정이;이연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5-18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group interview that drew out experiences,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in the workplac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visiting nurses in the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A total of 12 visiting nurses are those working in the public secto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Analysis categories and coding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mpensation system, occupational status, and opinions to improve their treatment.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urrent working status and compensation system of visiting nurses were described. Results: The main themes derived from the significant statements of visiting nurses were 'Ten years of frozen salary system', 'Full-time workers of their own league', 'Excluded from performance benefits', 'Every visiting nurses are virtually precarious', 'Experience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and 'Reasons and barriers to be a full-time worker'. All of the visiting nurses working in the community insisted on having equal treatment for work of equal value. Visiting nurses in the public health sector wanted to be set to the same payment system and the fair allowance system as well.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ek solutions to the problems left in insisting on the civil service of visiting nurses. Conclusion: Visiting nurses who were working in a precarious job position felt job insecurity, and experienced discrimination, alienation, and exclusion. Legal and institutional reform is needed to improve the treatment of visiting nurses.

판별시스템 중심의 지능형공공서비스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정보시스템성공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Intelligent Public Servic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Perspective)

  • 김정연;이경수;권오병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1호
    • /
    • pp.109-146
    • /
    • 2023
  • Purpose With Intelligent public service (IPS),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quality of civil affairs,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citizens, and provide timely public services. However, empirical studies on factors for the successful use of IPS are still insufficient.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uccess of IPS with classification function. ISSM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is considered as the underlying research model, and how the algorithm quality, data quality, and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discrimination system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intentions is analyzed. Design/methodology/approach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users using IPS. After giving them a preliminary explanation of the intelligent public service centered on the discrimination system, they briefly experienced two types of IPS currently being used in the public sector.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mart-PLS 4.0 with a total of 415 valid samples. Finding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lgorithm quality and data qual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formation quality and system qua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environmental quali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use of IPS. Thirdly,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IP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net profit for the use of IP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knowledge on AI, the perceived accuracy of discriminative experience and IPS, and the user was analyzed. The results suggest that ISSM and TOE framework can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uccess of IPS.

Predictive validity of the gait scale in the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for stroke survivor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An, Seungheon;Jee, Youngju;Lee, Donggeon;Song, Sunhae;Lee, Gyuchang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1호
    • /
    • pp.1-8
    • /
    • 2016
  • Objective: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ion capacity of the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Gait Scale (POMA-GS), for predicting falls in stroke survivors. Design: Retrospective cohort study. Methods: Data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and number of falls of 52 chronic stroke patients from a rehabilitation center were collected. The number of falls each subject had experienced in the previous year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number of falls: if falls occurred twice or more on the basis of the time of study after stroke, they were defined as the falls group and if there was no fall experience or one fall, they were defined as the non-falls group. The subjects were examined with the POMA-GS, and physical functions were examined using by the One Leg Stand Test (OLST), Sit to Stand Test (SST), 10-m Walk Test, Lower Extremity in Fugl-Meyer assessment (FM-LE), and Trunk Impairment Scale (TIS). The validity of POMA-GS for falls prediction was analyzed. Results: In the POMA-GS, which predicts falls in stroke survivors, the cut-off value was 8.5 (sensitivity 72%; specificity 65%)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was 0.75 (95% confidence interval: 0.60-0.90, p<0.007).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LST, SST, FM-LE, and TIS between the subjects with POMA-GS >8.5 and the subjects with POMA-GS ${\leq}8.5$. Conclusions: The POMA-GS could be a useful tool in predicting falls in stroke survivors, as its discrimination capacity and predictive validity is proven satisfactory.

장애인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Re-Employment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 김용탁;구인순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51-17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노동시장 재진입에 어떠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재취업 지원 정책에 대해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4차 장애인 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차~4차 패널 중에서 재취업자와 미취업자이다. 분석은 인적 요인, 장애요인, 편의요인, 사회적 요인 그리고 이전 직장 요인을 변수로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전체 장애인과 남성 및 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취업에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력, 만성 질병 여부, 일상생활에서의 타인의 도움 유무, 일자리 차별 경험 그리고 고용 형태 등으로 나타났다. 남성과 여성을 구분할 경우 남성은 정신적 일자리에서 재취업에 유리하지만, 여성은 배우자가 없는 경우(미혼이 아닌), 고용서비스를 받은 경우 재취업에 유리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성에 대한 취업 지원 정책의 구체화, 장애인의 취업과 의료 및 보건분야와의 연계, 일자리 차별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 그리고 괜찮은 일자리로의 진입을 도모할 수 있는 정책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남자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의 경험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f Men in Nursing as a Student)

  • 김미화;송미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223-229
    • /
    • 2020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남자 간호대학생의 임상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임상 실습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남자 간호대학생의 임상 실습이 진로설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현재 H대학교 간호학과 재학 중인 남학생으로 임상 실습 경험이 있는 3학년 3명과 4학년 남학생 3명을 눈덩이 표집으로 선정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의미 있는 진술을 분석하여 남자 간호학생들의 임상 실습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3개의 범주로 구분되며, 6개의 주제, 14개의 의미 있는 진술로 도출되었다. 이는 '병동실습에서 경험한 부정적인 간호이미지', '감당해야 할 스스로의 짊', '특수파트 실습경험에서 찾은 간호의 매력'으로 남자 간호학생들은 남자 간호대학생이라는 이유로 차별을 경험했으며, 그로 인해 직업에 대한 갈등과 혼란을 일으키고 있었다. 하지만, 그 속에서도 간호사의 전문성을 확인하고 배움의 즐거움을 찾아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남자 간호학생들의 임상 실습 경험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남자 간호대학생의 학과 적응과 임상 실습 적응에 대한 상담과 지도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남자 간호학생의 졸업 후 진로결정 상담에서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성인 뇌병변장애인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 1인 가구와 다인가구 비교 (Factors of the Life Satisfaction of Adults with Brain Lesions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One-Person and Multi-Person Households)

  • 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696-703
    • /
    • 2021
  • 본 연구는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분석하고 이를 향상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차 웨이브 4차 장애인고용패널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성인 뇌병변장애인 1인 가구 54명, 다인가구 227명이다. 분석은 χ2, ANOVA,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뇌병변장애인 1인 가구는 다인가구에 비해 중년층과 노년층 비율이 높고, 소득이 낮으며, 수급자, 일상생활도움이 필요없고, 낮은 사회활동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다인가구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장애정도(p<.05), 건강상태(p<.05), 사회활동 참여(p<.001), 장애차별경험(p<.05)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1인 가구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영향 요인은 성별(p<.05), 연령(p<.05), 건강상태(p<.001), 고용(p<.05), 장애차별경험(p<.001)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가구유형에 따른 성인 뇌병변장애인의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정, 학교 및 장애 특성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Focused on Household, School and Disability Related Characteristics)

  • 이은순;윤상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343-351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현재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장애 아동 및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한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원 자료를 분석 자료로 하여,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97명을 대상으로 가족관계 만족도, 가정폭력 여부, 경제상태, 가구 유형, 차별정도, 장애정도, 주관적 건강상태, 친구들의 수 만족도, 학교생활적응도 등 가정, 학교 및 장애 특성 요인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집단 간 평균비교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정폭력 여부, 가족관계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 친구의 수 만족도 등이 장애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 구조와 기능강화, 아동 및 청소년들과 가족이 함께하는 프로그램 확대, 사회성 강화 프로그램 실시, 건강 증진 방안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탈북여성들에 대한 남한 사회의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과 탈북여성들의 공동체 형성 및 활동 (The Ethnicized Stigma against Women Escaped from North Korea and Their Community Building and Coping Strategies toward it in Contemporary South Korea)

  • 성정현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53호
    • /
    • pp.79-115
    • /
    • 2016
  • 본 연구는 남한 사회에서 탈북여성들이 경험하는 차별과 낙인을 역사적 배경과 연관된 '종족화된 낙인(ethnicized stigma)'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 8명, 전문가 4명(2명은 탈북여성)을 심층 면접하였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언어와 의사표현 등 소통의 어려움과 내국인으로의 불인정을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종족 정체성(ethnic identity)의 혼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원인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선(先)경험과 잘못된 정보의 일반화, 오랜 분단의 역사와 공간적 거리감에서 초래된 종족성(ethnicity)의 부인 등이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북여성들은 부정적 인식과 차별로 인한 부정적 정서와 외로움을 해소하고 적응하기 위해 그들만의 공동체를 구축하였으며, 이것은 정서적 도구적 지지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공동체 내 구성원간의 갈등, 후원금과 자원배분의 문제, 공동체 경험의 부재, 북한체제에서 겪은 불신과 호상비판의 일상, 신변노출의 문제, 자유와 인권에 대한 몰이해 등으로 갈등과 해체의 위기를 경험하였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남북한 교류를 위한 모임과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존감, 사회참여, 차별경험의 매개 및 조절효과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Social Participation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ocial Competence in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 김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377-386
    • /
    • 2019
  • 본 연구는 장애수용으로 사회적 유능감을 예측함에 있어 자존감의 매개효과 및 사회참여와 차별경험의 조절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심리-사회적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전략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만19세부터 65세 사이의 지체장애인 1943명(남 1338명, 여 605명)과 뇌병변 장애인 233명(남 160명, 여 73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장애의 정도와 발생 시기를 통제한 조건부 과정분석(model 18)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존감은 장애수용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과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사회참여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별경험에 의해서는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참여와 사회적 유능감 간의 관계는 차별경험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참여에 의해 조절된 자존감의 매개효과는 차별경험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 focusing on ecosystem perspectives)

  • 권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39-250
    • /
    • 2018
  •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연령, 교육수준 월소득, 수급여부, 동거기간), 개인체계 요인(한국어 능력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감, 다문화지향성), 가족체계요인(배우자관계만족도, 자녀관계만족도, 부부대화시간, 의사결정 수준), 사회체계요인(사회적지지, 모임참여, 차별경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용 경험)으로 구분하여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의 결혼이주여성 14,464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체계 요인 즉, 개인체계, 가족체계, 사회체계 요인들 모두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개인체계 요인과 가족체계 요인이 생활만족도의 설명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러 요인들 중 배우자만족도가 생활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중에서는 소득수준이, 개인체계 요인중에서는 우울감이, 가족체계 요인에서는 배우자 관계만족도가, 사회체계 요인중에서는 사회적 차별경험이 가장 큰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개입이나 증진을 위해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