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idence Based Instruc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중학생들의 주장, 자료, 근거와 과학 논의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조사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pistemic Ideas of Claim, Data, Evidence, and Argument When Evaluating and Critiquing Arguments)

  • 유선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9-208
    • /
    • 2015
  • An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what counts as a scientific argument and how scientists justify their claims with evidence-has been central in Korean science instruction. However, despite its importance, scholars are generally concerned about the difficulty of both addressing and improving students' epistemic understanding, especially for students of a young age. This study investigated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pistemic ideas about claim, data, evidence, and argument when they engage in reading both text-based and data-inscription argument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how a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claim and evidence. Yet, these students think that there is only a single way of interpreting data. When comparing students' ideas from text-based and data-inscription arguments, the majority of Korean students barely perceive text description as evidence and recognize only measured data as evidence.

예비 초등교사들의 동료 탐구 수업 비평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ritiques of Peers' Inquiry-Based Instruction)

  • 이신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89-4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의 과학 탐구 수업 비평 기준과 비평에서 드러나는 특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예비 초등교사들은 초등과학 탐구 수업 강의를 수강하는 교육대학교 2학년 31명의 학생들로 2-3인이 한 조로 과학 탐구 수업을 설계 및 시연하였다. 예비교사들은 동료가 시연한 과학 탐구 수업에 학생 입장으로 참여하였으며, 매 수업이 끝난 이후에 시연된 수업에 대해 비평을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동료 수업 비평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수업 맥락, 과학 내용, 교수 전략, 학습자, 교육 목표, 비언어적 태도, 평가 기준 순으로 비평하였으며, 전반적으로 구성주의 관점을 가지고 학생 중심과 활동 중심의 교육관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교사들의 비평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업 비평 내용에서 강의식, 학문적 엄격성, 활동 중심, 탐구 교수지향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교수지향이 혼재되어 나타나기도 하였다. 과학 탐구 수업 시연이 진행될수록 예비교사들의 비평은 단순히 비판만 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수업 일반적인 대안과 탐구 수업 특성화된 수업 전략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적 이해가 높아지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과학 탐구 수업과 관련된 탐구 특이적 비평 기준의 비율 증가 경향성이 나타나고,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모둠 내의 학생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것이 나타났으며, 실험의 오차를 인식하고 설명하는 것과 관련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예비 초등교사 교육에서 탐구 수업 시연과 비평 활동을 통해 탐구 수업에 대한 신념과 이해를 확인하는 것과 함께 이를 발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장영양 간호실무지침 개정 (Updates of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Enteral Nutrition)

  • 조용애;구미옥;은영;유미;김정연;이현희;민자경;송정미
    • 임상간호연구
    • /
    • 제26권1호
    • /
    • pp.10-2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pdate the previously develop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enteral nutrition (EN). Methods: The guideline update was done in 22 steps using standardized methodology for nursing practice guidelines. Results: The updated EN guideline consisted of 16 domains and 228 recommendations. The domains and number of recommendations in each domain were for IDSA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8 on general instruction, 9 on general instruction for special nutrition, 9 on general instruction for EN, 3 on assessment of EN, 10 on access to EN, 18 on EN device insertion, 16 on selection and preparation of nutritional supplements, 46 on administration and stopping EN, 22 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EN, 9 on monitoring EN, 16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of EN, 18 on medication administration, 20 on EN in various situations, 20 on prevention of errors, 1 on nursing education, and 3 on nursing documentation. For the levels of evidence, there were 9.7% for level I, 13.1% for level II, 62.5% for level III and 1.1% for GRAD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3.3% for low, 0.8% for moderate, 9.3% for very low. A total of 133 recommendations were newly developed and 10 previous recommendations were modified. Conclusion: This updated EN nursing practice guideline can be used to enhance evidence-based practice in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and it should be disseminated to nurses nationwid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EN practice.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Examine the Features of Evidence 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book For Students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 Underachievement - Only about Number and Operations)

  • 김병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53-370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수와 연산' 영역이 학습장애 학생과 학습부진 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을 얼마나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은 선행연구를 기초로 제작된 분석기준을 활용하여 초등교사 3명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수학 교사용지도서의 학습장애 학생 및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증거기반교수 요인 포함수준은 전반적으로 중간정도였고, 학년별로 분석해본 결과 1~4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 5, 6학년 수학교사용지도서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증거기반 교수의 특징별로 분석해본 결과, '명확한 목표의 제시, 단일한 핵심개념 및 기술의 지도, 구체적 조작물과 반구체물의 사용, 명시적 교수, 관련된 예들의 제공, 충분한 독립적 연습기회의 제공 그리고 학생 진보의 확인'과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중간정도로 나타났고, '선수 수학 개념들 및 기술들의 복습, 오류 수정 및 교정적 피드백의 제공, 핵심어휘의 지도 그리고 전략들의 지도'와 같은 요인들의 포함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과 증거기반 교수특징의 포함수준 사이에 부적상관관계 (r= -.343)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eacher's Gender-Related Beliefs about Mathematics

  • Zhang, Qiao-Ping;Wong, Ngai-Ying;Lam, Chi-Ch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3호
    • /
    • pp.153-167
    • /
    • 2013
  • Mathematics has been stereotyped as a male-dominated subject, and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to support this belief.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in the past three decades on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elementrny and secondrny school mathematics. The research found that teachers possess different beliefs about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influence their teaching behaviour, which then directly or indirectly impact their students' behaviours, beliefs, and achievements in mathematic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teacher questionnaire surveys in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this study examines teachers' beliefs about the achievements of boys and girls in mathematics. The study also compares the findings in the two regions surveyed.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gave more attention to boys than girls, regardless of the teacher's gender. Not only are teachers more likely to recall more boys than girls, but also more boys than girls with average academic standards.

백워드 수업설계에 기초한 고등학교 「기술·가정」교과 '가족생활 설계' 영역의 체제적 수업개발 (Systematic Development of Instruction for Family Life Planning of High School Curriculum fo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Based on Backward Design)

  • 유세종;이연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1호
    • /
    • pp.33-54
    • /
    • 2018
  • This study devised an instruction that applies the content factors of Family Life Planning to backward design by exploring the fundamental concepts of backward design and the structure of developing a systematic instruction. Furthermore, it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developed instruction by examining its validity with the help of experts and to find the method of applying it to the curriculum. The lesson desig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Making a unit outline, 2) Identifying the expected results (Shaping the objectives), 3) Deciding acceptable evidence (Planning evaluation), 4) Making a detailed blueprint for class tasks, 5) Planning learning experience, 6) Making a learning experience plan per time, 7) Checking the lesson design. Second,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the internal validity test about the process of the systematic lesson development of Family Life Design based on a backward design. The results were shown to be valid because the average was 3.7 out of a perfect score 4 and the CVI of all was over 0.9. The result of the IRA was also score 1, meaning that most of the experts agreed on the results of the test. The details of the lesson design were clear at every stage and the tasks and the results of each stage were specific. This study included most of the necessary stages for a backward design.

능숙도 중심의 대학 교양영어 교육을 위한 평가방안 연구 (An assessment model for proficiency oriented English instruction in college English)

  • 이종복
    • 영어어문교육
    • /
    • 제8권2호
    • /
    • pp.177-19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and program developers develop comprehensive and authentic assessment models with appropriate ways of using various kinds of assessment tools in college English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sessing by traditional discrete tests based on grammar and vocabulary cannot measure the authentic ability for language use in meaningful context in the real world. Currently, the trend in language assessment is changing to performance assessment. Increased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s that involve language students in selecting and reflecting on their learning means that language teachers will have a wider range of evidence on which to judge whether students are becoming purposeful and are able to communicate as English users. Also, language programs focused on performance assessment are likely to instil in students authentic skills related to communication in the global world and enable them to evaluate what they learn from their English classes. In this stud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need of change, and several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 PDF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을 경험한 학생들의 과학 주제 글쓰기 및 인식 분석 (Analysis of Student Science Writing and Perception on Argument-Based Claim and Evidence Writing Approach)

  • 박선영;최애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87-79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 적용 후 학생들의 주제 글쓰기를 분석하였고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 C여자 고등학교 2학년 3개 학급의 학생 108명을 실험집단으로 하여 5개 주제에 대하여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같은 학교 3학년 3개 학급의 학생 99명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전통적 강의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교수 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주제 글쓰기는 '친환경 에너지'의 big idea 요소를 제외한 다른 모든 요소에서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났다(p<.05). '친환경 에너지'의 경우, 8개의 개념 중 6개의 개념, '판구조론'의 경우 8개의 개념 중 4개의 개념에 대하여 실험집단 학생들이 비교집단보다 주제 글쓰기에서 더 많이 서술하였다.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 수업에서 학생들은 의문을 만들고 실험 설계와 수행, 자료해석, 주장과 증거를 만드는 동안 끊임없이 동료들과 논의를 하도록 안내된다. 또한 실험 결과나 주어진 자료의 해석을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의 정확성, 충분성,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면서 자신의 추론 과정을 돌아보고 개념을 정교화, 명료화한다. 이러한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의 과정이 학생들의 주제 글쓰기의 big idea, 개념, 다중 표상, 논리적 구조 형성과 포함된 개념의 형성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향후 논의를 강조한 주장과 증거 글쓰기와 같은 수업을 지속적으로 적용해야 함을 시사한다.

과학 수업 비디오에 기초한 반성 활동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전문적 시각의 변화 (Chan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 Visions through Video-Based Reflection on Science Classroom)

  • 윤혜경;송영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53-564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 8명을 대상으로 과학 수업 비디오에 기초한 개인적, 협동적 반성 활동이 예비교사의 전문적 시각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그 과정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로는 예비교사와의 개별 면담 녹음 자료, 예비교사의 과학 수업 지도안, 과학수업 비디오, 연구자가 수업 참관 시 작성한 현장 노트, 연구 일지, 예비교사가 작성한 이벤트 맵 등이 활용되었다. 예비교사의 전문적 시각은 '선택적 주목'과 '교육적 추론'의 두 가지 범주로 분석하였다. 선택적 주목은 1) 수업 운영과 통제, 2) 교사의 지도, 3) 학생의 사고와 학습 4) 내용 지식 5) 평가의 다섯 측면으로 구분하였고 교육적 추론수준은 증거의 수, 증거의 영역, 유형에 따라 6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 비디오에 기초한 개인적 반성은 '수업 운영과 통제'에 대한 주목을 줄이고 '교사의 지도'에 대해 좀 더 주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었다. '학생의 사고나 학습'에 대한 주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수업 비디오에 대한 개인적 반성 활동만으로는 그 효과가 충분하지 않고 협동적 반성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적 추론수준은 개인적 반성과 협동적 반성을 거치며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학생의 사고나 학습에 대한 주장에서 하나의 증거보다는 여러 증거를 사용하게 되었고 증거의 영역과 유형도 좀 더 다양해졌다. 그러나 증거 형태는 직접적인 관찰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교육이론에 기초한 증거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교육 과정에서 수업 비디오의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오류 상황을 포함하는 논증 과제 제시를 통한 초등 과학수업의 효과 및 특징 (Effect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on Argument Tasks with Incorrect Alternative Idea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임희준;정인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195-20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tific argumentation on argument tasks with incorrect alternative idea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The subjects were 41 fourth graders of 2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In the experimental group, argument tasks with pictures including incorrect alternative ideas were suggested in order to facilitate argumentation. Students were asked to perform argumentation with the component of claim, evidence, and reasoning. In the control group, textbook-based traditional instruction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scientific argumentation activities on argument tasks with incorrect alternative ideas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s. The analyses of students' argumentation revealed that argument tasks with incorrect alternative ideas could facilitate students' participation and exposure of their preconceptions. It also led students to find and connect evidence to support their claims. In some cases, students had difficulty in making appropriate argumentation because of unclear experimental data and/or invalid reasoning.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