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ns blu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초

Dexmedetomidine alleviates blood-brain barrier disruption in rats after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by suppressing JNK and p38 MAPK signaling

  • Canmin Zhu;Dili Wang;Chang Chang;Aofei Liu;Ji Zhou;Ting Yang;Yuanfeng Jiang;Xia Li;Weijian Jia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8권3호
    • /
    • pp.239-252
    • /
    • 2024
  • Dexmedetomidine displays multiple mechanisms of neuroprotection in ameliorating ischemic brain injury.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beneficial effects of dexmedetomidine on blood-brain barrier (BBB) integrity and neuroinflammation in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Sprague-Dawley rats were subjected to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for 1.5 h and reperfusion for 24 h to establish a rat model of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Dexmedetomidine (9 ㎍/kg) was administered to rats 30 min after MCAO through intravenous injection, and SB203580 (a p38 MAPK inhibitor, 200 ㎍/kg)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30 min before MCAO. Brain damages were evaluated by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staining, hematoxylin-eosin staining, Nissl staining, and brain water content assessment. BBB permeability was examined by Evans blue staining. Expression levels of claudin-5, zonula occludens-1, occludi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9 (MMP-9) as well as M1/M2 phenotypes-associated markers were assessed using immunofluorescence, RT-qPCR, Western blotting, and gelatin zymograph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as used to examine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We found that dexmedetomidine or SB203580 attenuated infarct volume, brain edema, BBB permeability, and neuroinflammation, and promoted M2 microglial polarization after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creased MMP-9 activity by ischemia/reperfusion injury was inhibited by dexmedetomidine or SB203580. Dexmedetomidine inhibited the activation of the ERK, JNK, and p38 MAPK pathways. Moreover, activation of JNK or p38 MAPK reversed the protective effects of dexmedetomidine against ischemic brain injury. Overall, dexmedetomidine ameliorated brain injury by alleviating BBB permeability and promoting M2 polarization in experimental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model b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JNK and p38 MAPK pathways.

아토피 피부염 모델에 대한 β-1,3/1,6-glucan과 Lactobacillus plantarum LM1004의 면역 조절 효과 (Immunomodulatory Effects of β-1,3/1,6-glucan and Lactobacillus plantarum LM1004 on Atopic Dermatitis Models)

  • 김인성;김성학;김정아;유다윤;김광일;박동찬;임종민;이상석;최인순;조광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 대한 ${\beta}$-1,3/1,6-glucan과 L. plantarum LM1004의 면역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려움증의 횟수와 유출된 evans blue, 그리고 혈청 IgE와 histamine의 농도는 ${\beta}$-1,3/1,6-glucan과 L. plantarum LM1004를 섭취한 그룹에서 아토피 피부염 유발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토피 피부염이 유발되면 전사 수준에서 Th2 및 Th17 세포의 전사인자 및 cytokine은 과발현되며, ${\beta}$-1,3/1,6-glucan과 L. plantarum LM1004를 섭취하였을 때 이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beta}$-1,3/1,6-glucan과 L. plantarum LM1004는 Th1 및 Treg 세포의 전사인자(T-bet, GATA-3, $ROR{\gamma}T$, Foxp3) 및 cytokine (INF-${\gamma}$, IL-4, IL-17, TGF-${\beta}$)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면역 균형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alectin-9과 filaggrin은 아토피피부염 유발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았으며, ${\beta}$-1,3/1,6-glucan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TSLP는 아토피 피부염 유발그룹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beta}$-1,3/1,6-glucan과 L. plantarum LM1004를 섭취한 그룹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beta}$-1,3/1,6-glucan과 L. plantarum LM1004는 아토피 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면역조절 작용 및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beta}$-1,3/1,6-glucan과 L. plantarum LM1004는 아토피 피부염에 유용한 천연소재로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맥문동(麥門冬) 에탄올 추출물이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Liriope platyphylla on Allergic Inflammation)

  • 김호석;박지혜;김현갑;김재현;이비나;민주희;김은영;정혁상;이향숙;손영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12-519
    • /
    • 2014
  • This study investegated the effect of Liriope platyphylla (LP) on allergic reactions and its mechanism of action.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P on Evans Blue (EB) extravasation induced by anti-dinitrophenyl (DNP)-IgE in rats. We tested whether the ethanol extract of LP reduced ear skin thickness and historical changes induced by topical application of 2,4-dinitrofluorobenzene (DNFB) to ears of mice. We evaluated compound 48/80-induced release of histamine in rats peritoneal mast cell (RPMCs). We also investigated the regulatory effect of LP on the level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PMACI-induced human mast cell (HMC-1); cytokine IL-6, IL-8, TNF-${\alpha}$ in HMC-1, MAPKs (ERK, JNK and p38) in HMC-1. The ethanol extract of LP (81.3 mg/100 g body weigh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PCA reac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However, LP did not prevent topical applications of DNFB-induced ear skin thickening and histological changes. In RPMCs, histamine release induced by compound 48/80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LP at $100{\mu}g/ml$ (P < 0.05). LP extract ($100{\mu}g/ml$) significantly reduced the PMACI-induced IL-6, IL-8, and TNF-${\alpha}$ secretion via inhibition of ERK phosphorylation in HMC-1. In conclusion, the ethanol extract of LP inhibited mast cell-derived, immediate-type allergic reactions, and the result suggest the potential of LP for preventing allergic inflammatory disorders.

저온저장 음나무 배발생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유도와 식물체 재생 (Somatic embryo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old-stored embryogenic callus of K. septemlobus)

  • 이나념;최용의;문흥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88-395
    • /
    • 2015
  •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으로 유망한 음나무의 대량생산 및 생식질 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배발생 조직을 재료로 저온저장 기간별 SE 유도 및 식물체 재생을 시험하였다. 배발생 캘러스는 저온저장 6개월까지 정상적인 체세포배 형성이 가능하였으나 유도 빈도는 저장 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발생능이 가장 좋은 ZE 10 세포주은 체세포배 유도 빈도에 있어 저장 기간에 따른 감소폭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세포배의 발아 및 식물체 재생은 캘러스의 저장기간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발아율은 93% 이상, 식물체 재생율은 91% 이상으로 저온저장에 따른 큰 문제는 없었다. 조직검경 결과 저장 기간에 따라 세포의 갈변화 및 활력 저하가 나타났으며, 아세토카민과 에반스블루의 염색을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음나무 배발샐 캘러스의 저온저장은 계대배양 없이 $4^{\circ}C$의 냉장고에서 6개월 까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후 체세포배 유도효율을 위해 배발생능이 양호한 세포주의 저장이 필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귤나무 과피 유래 한약재 주정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 (Prokin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Dried Citrus unshiu Peels in Mice)

  • 이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0-265
    • /
    • 2014
  • 귤나무(Citrus unshiu)의 과피를 말린 한약재인 진피(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NP)는 오래 전부터 대한민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에서 위장관 운동 관련 질환의 치료에 전통적으로 쓰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진피 주정 추출물(ANP-E)을 제조하여 실험하였는데, 우선 ANP-E는 5 g/kg의 고용량을 mouse에 경구 투여하였을 때에도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ANP-E가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cisapride의 효과와 비교하기 위하여, mouse를 대상으로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Cisapride는 20세기 말까지 다양한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임상적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었던 최고의 위장관 운동 촉진제였으나, 치명적인 부작용으로 인하여 2000년 이후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이다. 실험 결과, ANP-E는 정상 및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 모두 용량 의존적으로 위장관 운동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NP-E의 위장관 운동 촉진 효과를 cisapride와 비교해 보면, 정상 mouse에서는 cisapride와 거의 대등한 위장관 이송률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위장관 운동 저해 상황에서는 cisapride보다 약효 및 안전성 측면에서 모두 비교 우위를 점하는 강력한 위장관 운동 기능개선 효과를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들은, ANP-E가 인간의 위장관 운동 기능 저해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롭고 강력한 신약 후보 물질이자, 아직 시장에 출현하지 않고 있는 cisapride의 대체 의약품으로서 개발 가능함을 시사하고 있다.

접촉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단핵구의 유출 및 염증 반응에 대한 CD99-유래 펩타이드 CD99CRIII3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D99-derived Peptide CD99CRIII3 on the Extravasation of Monocytes and Inflammatory Reactions in Contact Dermatitis Mouse Model)

  • 주현미;박경한
    • 해부∙생물인류학
    • /
    • 제31권4호
    • /
    • pp.143-149
    • /
    • 2018
  • 접촉피부염은 피부가 이물질과 접촉함으로써 일어나는 염증반응으로 백혈구 혈관외유출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선행연구 결과 CD99가 ${\beta}1$ 인테그린 의존적 메커니즘을 통하여 단핵구의 혈관외유출을 조절하며, 따라서 염증 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의 신규 표적 분자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D99 유래 펩타이드인 CD99CRIII3가 단핵구의 혈관외유출과 접촉피부염 생쥐 모델에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인간 단핵구 세포주인 U937를 CD99CRIII로 처리할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beta}1$ integrin의 활성도가 감소되었으며, 이 세포주의 사람제대정맥내피세포에의 부착과 혈관외유출도 억제되었다. 나아가 CD99CRIII3는 포르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처리에 의해 유발된 생쥐 접촉피부염 모델에서 Evans Blue의 혈관투과와 귀조직 무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CD99CRIII3가 단핵구의 혈관외유출과 접촉피부염 동물 모델에서 일어나는 염증반응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CD99 유래 펩타이드가 피부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