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utcomes

검색결과 1,163건 처리시간 0.033초

균열모형시추공을 이용한 광학영상화검층 품질관리 시험 (A Quality-control Experiment Involving an Optical Televiewer Using a Fractured Borehole Model)

  • 정승호;신제현;황세호;김지수
    • 지질공학
    • /
    • 제30권1호
    • /
    • pp.17-30
    • /
    • 2020
  • 광학영상화검층은 광원과 CMOS 영상 센서를 이용하여 시추공벽을 이미지로 구현하는 물리검층 기술로 지하의 불연속면에 대한 여러 가지 원위치 정보를 고분해능으로 제공한다. 최근 시추공영상화검층은 지반침하 모니터링, 암반 무결성 평가, 응력으로 인한 단열 변화 탐지, 극지에서의 빙하 연대측정 등 그 활용범위가 매우 다양해졌다. 현재 국내외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시추공영상화검층 시스템은 장비 사양에 따라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적용 범위에 대한 검증과 여러 가지 시추공 환경에 대한 적절한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광학영상화검층의 자료로 도출되는 이미지는 원위치 정보로 정확도, 구현도, 신뢰성에 대한 검증에 직접적인 비교 확인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성 있는 고품질 자료 취득 방법과 자료 처리 방법을 확인하기 위해 시추공 환경과 유사한 모듈화 된 균열모형시추공을 설계·제작하여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실험에 대한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검출기 자기계 방향 확인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노출시간에 따른 색상의 구현도 및 균열의 분해능 관계, 정확한 간극 측정을 위한 자료 처리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다양한 시추공 환경을 모사한 균열모형시추공 실험을 통해 고분해능의 신뢰성 높은 광학영상화검층의 자료 취득 및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접근성을 높이는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Multisensory Interactions to Improve Artwork Appreciation Accessibility for the Visually Impaired People)

  • 박경빈;조성기;정찬호;최효진;홍태림;정재호;양창준;왕처우;조준동;이상원
    • 감성과학
    • /
    • 제23권1호
    • /
    • pp.41-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이 시각 외의 잔존감각인 촉각, 청각, 후각을 활용하여 미술 작품을 감상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설계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제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다중감각 인터랙션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을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경험에 대한 질적 인터뷰 기반의 사용자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사용자 테스트 결과, 미술 작품에 적용한 다중감각 인터랙션 요소들은 전반적으로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미술 작품 감상 및 이해를 도왔으며, 나아가 다중감각 인터랙션을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경험이 만족스러웠다는 긍정적인 평가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일부 다중감각 인터랙션 요소는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동안 전혀 인지하지 못하였거나 오히려 미술 작품 감상에 있어서 혼란을 야기했다는 부정적인 평가 결과도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문화예술 작품 감상의 접근성을 증진할 수 있는 기술적 대안으로서 비시각 다중감각 인터랙션의 구체적인 개발 방향성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 나아가, 시각장애인뿐만 아니라 아동이나 노인과 같은 비시각장애인도 유니버설 인터랙션 기술을 통해 기존의 시각 위주의 단편적 경험을 넘어선 종합적인 감각적 경험을 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흑마늘과 남해특용작물을 혼합 첨가하여 제조한 소시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Prepared with Black Garlic Extract and Dried Powder of Specialized Crops Cultivated in Namhae)

  • 윤환식;신정혜;강민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4-453
    • /
    • 2014
  • $15^{\circ}Bx$ 흑마늘 추출액 1%에 울금(ST1), 백년초(ST2), 아스파라거스(ST3) 및 알로에(ST4) 분말을 각각 0.3%씩 첨가한 소시지를 제조하여 $8^{\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살펴보았다. 색도는 흑마늘 추출물이 첨가된 대조구에 비해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ST2에서 명도, 적색도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황색도는 아스파라거스 분말을 첨가한 ST3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전단가는 저장 0일에 대조구가 $854.19{\pm}38.21cm/kg^2$으로 가장 높게 측정이 되었다. 산도는 pH와 유사한 경향으로 ST4가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의 처리구가 저장 2주까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당은 저장 0일에 ST4가 $17.46{\pm}0.92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다. TBARS 함량은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 농도에서 저장 0일에 $89.11{\pm}0.66{\sim}99.22{\pm}0.09%$의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 결과와 비교했을 시 흑마늘에 특화작물의 첨가가 상품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 분석 -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Labor Supply)

  • 권현정;고지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7권4호
    • /
    • pp.279-29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부양가구원과 여성가구원의 노동공급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공식적 돌봄 서비스가 부양가구원들의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한다면, 이는 부양가구원들의 시간제약을 변화시켜 노동공급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노동공급효과는 각국의 공적 돌봄 서비스의 제도적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지금까지 서구국가들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어 왔으나, 이러한 실증분석들은 혼재된 결과를 보인다. 선행연구들에서는 무엇보다 방법론상 내생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유사실험설계인 PSM(Propensity Score Matching)과 DD(Double Difference) 결합모형을 활용하여 선택편의를 최소화하였다. 한국복지패널 3차, 9차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 결과,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노동공급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단순이중차이분석에서는 노동시간과 근로소득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더 엄격하다고 볼 수 있는 이중차이 고정효과모형분석에서는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서구의 경험적 연구결과에 비춰보면, 한국의 공적 돌봄서비스인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비공식적 돌봄을 대체하지 못하고 일부만을 보완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그동안 제기되어온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급여불충분성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으며,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제도적 배열이 대상자 및 부양가족의 욕구에 맞도록 선택되어져야 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 PDF

수술 후 폐 합병증 발생의 위험 인자에 대한 연구 (A Prospective Study for Risk Factors Predicting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 전수연;김유진;경선영;안창혁;이상표;박정웅;정성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516-522
    • /
    • 2007
  • 연구 목적 및 방법: 수술 후 폐 합병증은 심장 합병증보다 흔하고 술 후 입원기간 연장 및 사망률을 높이는 중요한 합병증이다. 최근 NSQIP에서 수술 후 중요한 폐 합병증인 폐렴과 호흡 부전의 위험 인자를 제시하였으나, 복잡하고 폐기능이나 동맥혈 가스 분석 같은 기본적인 검사 소견은 고려되지 않은 면이 있다. 또한 국내 연구에서는 수술 후 폐 합병증의 위험 인자가 명확치 않다. 이에 전향적 연구로 수술 후 폐 합병증의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천의대 길병원에서 호흡기내과로 의뢰된 환자 199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폐 합병증(폐렴, 호흡 부전, 무기폐, 흉수)이 생긴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위험 인자를 비교하였다. 결 과: 22명(11.1%)에서 수술 후 폐 합병증이 발생하였고, 흉수(13명), 호흡 부전(6명), 폐렴(4명), 무기폐(2명) 순이었다. 단변량 분석에서 폐 합병증의 유의한 위험 인자는 높은 cardiac risk index, 수술 전 후 nasogastric tube 사용, 흉부/상복부 수술, 3시간 이상의 마취 시간, 술 전 11.0 g/dL 이하의 헤모글로빈으로 나타났으며,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상 독립적인 위험 인자는 응급 수술(OR 10.306, 95% CI=1.508-70.438, p=0.017), 높은 심장 위험도(OR 16.454, 95% CI=2.720-99.521, p=0.002), 수술 종류(OR 3.814, 95% CI=1.016-14.313, p=0.047)로 나타났다.

ORIGINAL ARTICLE - 자가 온레이 블럭골 이식 후 증대된 치조골과 임플란트의 평가 (Evaluation of augmented alveolar bone and dental implant after autogenous onlay block bone graft)

  • ;조민성;허정우;오철중;정광;박홍주;국민석;정승곤;오희균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6호
    • /
    • pp.329-338
    • /
    • 2012
  •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block bone graft, especially resorption rate, and outcomes of dental implants placed in the grafted site. Patients and Methods: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were reviewed. Twenty-seven patients who have been received the autogenous block bone graft which harvested from chin, ramus, and ilium, and the implant installation on 31 areas(22 maxillas and 9 mandibles) were included. Eight implants were installed simultaneously at the time of bone graft in 4 patients, and 65 implants were installed after 4.9 months(range 2~18 months) of autogenous block bone graft in 23 patients. The resorption amount and rate of augmented bone, and the success and survival rates implants were evaluated. Results: Mean height of the augmented block bone was $5.9{\pm}2.3mm$(range from 2.5 to 13.0 mm). Mean follow-up period after block bone graft was 30.4 months(range from 16 to 55 months). Mean resorption of the augmented block bone was $2.0{\pm}1.5mm$ (range from 0.5 to 7.24 mm). The success and survival rates of the implants were 78.1 % and 98.6%,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utogenous block bone graft is a useful and stable method fo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for dental implant. And more augmentation is needed to compensate the resorption of the grafted bone.

Survival Outcomes of Liver Metastasectomy in Colorectal Cancer Cases: A Single-Center Analysis in Turkey

  • Cokmert, Suna;Ellidokuz, Hulya;Demir, Lutfiye;Fuzun, Mehmet;Astarcioglu, Ibrahim;Aslan, Deniz;Yilmaz, Ugur;Oztop, Il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3호
    • /
    • pp.5195-5200
    • /
    • 2014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ur series of liver resections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mCRC) to determin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survival and to evaluate the potential roles of neoadjuvant or adjuvant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Nine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metastasectomy for liver metastases due to colorectal cancer at the Department of Medical Oncology, 9 Eylu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6 and 2010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followed through July 2013. Demographic, perioperative, laboratory, radiological and chemotherapy as well as survival data were obtained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Results: In 47 (47.5%) patients, liver metastases were unresectable at initial evaluation; the remaining 52 (52.5%) patients exhibited resectable liver metastases. Simultaneous hepatic resection was applied to 52 (35.4%) patients with synchronous metastasis, whereas 5 (64.5%) patients underwent hepatic resection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Forty-two patients with metachronous metastasis underwent hepatic resection following neoadjuvant chemotherapy. R0 resection was obtained in 79 (79.8%) patients. A second hepatectomy was performed in 22 (23.2%) patients. Adjuvant chemotherapy was given to 85 (85.9%) patients after metastasectomy. The median disease-free and overall survivals after initial metastasectomy were 12 and 37 months, respectively, the 1-year, 3-year and 5-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rates being 46.5%, 24.3% and 17.9%and 92.3%, 59.0% and 39.0%, respectively. On multivariate analysis, the primary tumor site, tumor differentiation, resection margin and DFS were independent factors predicting better overall survival. Conclusions: In selected cases, hepatic metastasectomy for mCRC to the liver can result in long-term survival. Neoadjuvant chemotherapy did not exert a positive effect on DFS or OS. Adjuvant chemotherapy also did not appear to impact DFS and OS.

근위부 심부정맥 혈전증에서 유증상 폐색전증과 무증상 폐색전증의 비교 (Comparison of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pulmonary embolism in proximal deep vein thrombosis)

  • 김동훈;서영우;김균무;고승현;장재석;장태창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31-237
    • /
    • 2017
  • Background: Deep vein thrombosis (DVT) and pulmonary embolism (PE) are conditions with significant morbidity and mortality. Proximal DVT has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E and possible fatal outcomes. Traditionally, PE is subdivided into symptomatic PE and asymptomatic PE, which have different treatments, preventions and prognoses. The growing utilization of computed tomography pulmonary angiography has led to increased detection of PE in DVT patients.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mpared symptomatic PE and asymptomatic PE following proximal DVT.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58 DVT inpatients from July, 2012 to June, 201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fter excluding the patients who did not performed PE evaluation and were not diagnosed with PE, 95 patients diagnosed with PE following proximal DV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he symptomatic PE group and asymptomatic PE group. Results: Th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thrombus size, thrombus length and location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The symptomatic PE following proximal DVT group showed an older age, higher incidence of emergency department access (85.0% vs. 38.7%, p<0.001) and preceding infection (25.0% vs. 1.3%, p<0.001) as well as a higher incidence of immobilization (45.0% vs 13.3%, p=0.016).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tudy, preceding infection and emergency department acces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symptomatic PE. Conclusion: In proximal DVT inpatients, symptomatic PE was associated with emergency department access and preceding infection. The possibility of a symptomatic PE event should be considered in proximal DVT patients, especially those who were admitted through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had preceding infect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Intermediate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Liver Resection o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 Xie, ZR;Luo, YL;Xiao, FM;Liu, Q;Ma, Y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451-4456
    • /
    • 2015
  • Background: The aim of our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quality of life (QoL) between intermediate-stage (BCLC-B) HCC patients who had undergone either liver resection o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02 intermediate-stage HCC patients participated in our study, including 58 who had undergone liver resection and 44 who had undergone TACE. Baselin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umor characteristics, and long-term outcomes, such as tumor recurre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QoL was assessed using the Short Form (SF)-36 health survey questionnaire with the mental and physical component scales (SF-36 MCS and PCS). This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at HCC diagnosis and 1, 3, 6, 12, 24 months after surgery. Results: For the preoperative QoL evaluation, the 8 domains related to QoL were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The PCS and MCS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the TACE and resection groups at1 month after surgery, and this decrease was greater in the resection group. These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resection group compared with the TACE group (P<0.05). However, these differences disappeared at 3 and 6 months following surgery. One year after surgery, the resection group showed much higher PCS scores than the TACE patients (P=0.018), and at 2 years after surgery, the PCS and MCS scores for the resect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the TACE group (P<0.05). Eleven patients (19.0%) in the resection group and 17 (38.6%) in the TACE group suffered HCC recurrence (P<0.05).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tumor recurrence (HR=1.211, 95%CI: 1.086-1.415, P=0.012)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oorpostoperative QoL in the HCC patients.Conclusions: Due to its effects on reducing HCC recurrence and improving long-term QoL, liver resection should be the first choic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termediate-stage HCC.

이 러닝의 질적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Learning Quality Improvement)

  • 조은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316-324
    • /
    • 2005
  • 우리나라의 이 러닝은 그동안 양적으로 팽창한 만큼 질적인 부분에 대한 의구심이 팽배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시점에서 이 러닝의 질적 수준을 분석해야 하는 이유는 그 동안 급속도로 발전된 이 러닝이 학습자들에게 훌륭한 학습경험을 주지 못하였고, 생각보다 결과가 저조하였으며, 무엇보다 투자된 비용에 비해 효과성이 저조하였다는 지적이 많기 때문이다. 지난 몇 년 동안 이 러닝에서의 학습경험은 오랜 세월 익숙해왔던 오프라인수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왔으며, 이 러닝에 종사하는 많은 전문가들도 대부분 오프라인에서의 교수-학습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이 러닝의 체제를 이해하여 왔다. Dublin&Cross에 의하면 과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러닝에 대한 공통된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자들이 단지 문제없이 이 러닝에 접속하여 끝까지 기술적인 문제없이 도달하는데서 끝나지 않고 얼마나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 러닝이 의도한 학습과정에 흡수되는 가를 분석해 낼 수 있는가에 따라 이 러닝의 성공여부가 달려 있다고 한다 [12]. 본 논문은 이 러닝의 확산속도에 맞추어 질적 향상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이 러닝의 현상을 심층 분석해보고 이 러닝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고려해야 하는 요소들은 무엇이 있으며 이들이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이 러닝이 질적으로 우수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